$\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이접기 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전략 분석

Analysis of Problem Posing Strategy of Mathematics Gifted Students in an Origami Program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2, 2010년, pp.461 - 486  

임근광 (광주농성초등학교)

초록

수학학습에서 문제 만들기는 수학적사고력 신장 및 수학학습에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을 갖게 한다. 특히 영재학생들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수준을 넘어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새로운 문제를 창안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종이를 접기 과정에서 영재학생들이 문제를 만들 때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이고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영재학생들의 사고를 촉진하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밝혀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learning math, constructing math problems helps us to improve analytical thinking ability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competency towards math leaning. Especially, gifted students should create math problems under certain circumstances beyond the level of solving given math problems. In th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영재성이란 무엇인가? 수학영재성이란 선천적으로 타고난 소질과 적성, 후천적으로 학습한 수학에 대한 기초 지식이 수학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지적, 정의적인 행동 특성과 긍정적으로 조화롭게 작용하여 수학적 과제를 창의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말한다(정인철, 2007). 따라서 수학영재교육의 목적은 수학 영재성을 수학적 재능으로 발휘하여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학생들 각자의 수준에 맞는 수학적 힘을 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장차 과학기술 분야에 종사하면서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국가의 주역인 수학 영재들에게 내실이 있는 수학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선도적인 과학 기술 문명이 싹틀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나귀수, 1998).
문제 만들기가 갖고 있는 의의는 무엇인가? 문제 만들기는 수학적 활동과 지적 탐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육과정의 목표를 도달하기 위한 수단은 물론 하나의 목표 그 자체로써 수학적 의의가 있다. 문제 만들기와 창의적 사고의 관계 및 문제 만들기와 문제 해결의 관계,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문제 만들기에 대해 Silver(1993)의 견해를 근거로 살펴보고자 한다.
박영배에 따르면 문제 만들기란 무엇인가? 박영배(윤선아,2009. 재인용)는 ‘문제 만들기’는 기존의 문제의 조건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여 새로운 문제를 만드는 활동이고 ‘문제꾸미기’는 문제가 만들어져 있지 않은 상황으로부터 문제를 만드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임문규(1992)는 교과서의 문제의 장면이나 조건을 다소 바꾸어 제시하는 ‘수학적 세계로부터 문제 만들기’와 수학적 상황이 아닌 것으로 것으로부터 문제 만들기를 하는 ‘실세계의 상황’으로부터 문제 만들기의 두 가지로 분류하면서 수학적 문제로부터 문제 만들기의 유형을 원 문제와 유사한 또는 새로운 발전적인 문제 만들기, 다양한 해결 방법에 따른 문제 만들기, 일반적인 문제에서 특수한 문제로와 그 역으로 문제 만들기, 조건이 과부족한 문제 해결에서 문제 만들기, 질문이 없는 문제 상황에서 문제 만들기 등 5가지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완 (1994). 수학적 능력의 구조에 따른 수학 영재아의 지도 방안. 수학교육학 연구, 4(2), 139-147. 

  2. 교육인적자원부 (1999).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지원 (2002).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수학 영재학급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4. 김판수 (2004). 초등 수학영재의 문제설정 과정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5. 나귀수 (1998).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학교수학, 2(1), 785-797. 

  6. 나철영 (2001). 수학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7. 남승인 (1998). 초등학교 수학영재 지도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 

  8. 서정현 (2002). 초등학생의 문제 만들기에 대한 분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9. 송상헌 (1998). 수학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윤선아 (2009). 초등수학에서 문제만들기 활동 지도의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1. 임근광, 강순자 (2008). 수학영재학생들의 독립연구 능력과 수학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 실태. 영재교육연구, 18(1). 79-106. 

  12. 임근광, 김진흥, 임동연, 장현주 (2007).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교재. 광주광역시교육청 장학자료 2007-4호. 

  13. 임문규 (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재의 문제만들기 내용 분석 및 학생들의 실태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문지, 10, 249-288. 

  14. 정인철 (2007). 영재아의 창의적 사고. 2007학년도 전라남도교육청 영재교육직무연수교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등교육연수원. 

  15. 정현정 (2000). 종이접기를 이용한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지도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6. 조송연 (2002). 문제 만들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7. 조정언 (2002). 수학문제만들기 학습이 문제발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8. 조제호 (1999). 4학년 아동들의 수학적 문제 설정 활동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 최성웅 (2009). 수학문제 만들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사고 과정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20. 황정원 (1999). 종이접기를 이용한 도형지도.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1. Brown, S. I., & Walter, M. I. (1990). The art of problem posing. Philadepia, PA: Franklin Institute Press. 

  22. Bergez, J. (1999). Unfolding mathematics with unit origami. Emeryville, CA: Key Curriculum Press. 

  23.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Moses, B., Bjork, E., & Goldenberg, E. P. (1993). Beyond problem solving: Problem posing. In T. J. Cooney & C. R. Hirsch (Eds.),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he 1990s: 1990 YearBook (pp. 82-91).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5. NCTM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6. Sheffield, L. S. (2006).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and creativ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10(1), 1-11. 

  27. Silver, E. A. (1993).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9-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