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이미지 인지와 선호등위선 개발 - 성남시를 대상으로 -
Developing Cognition and Preference Contours of a City Image - A Case Study of Seongnam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3, 2010년, pp.1 - 14  

변재상 (신구대학 환경조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내 일부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지역은 도시 전체 이미지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전체 도시이미지 향상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을 사전에 찾아내기 위하여 도시이미지를 도면화하는 것은 도시 정책 입안자들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및 대응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등위선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중첩하여 관리도면을 도출함으로써 도시이미지 전략을 결과 위주가 아닌, 프로세스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서, 첫째, 성남시의 주요 상징물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인지도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선호도는 비교적 균등한 값의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도시의 이미지 경향을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한 인지와 선호등위선은 도시 전체 차원에서, 도시의 전반적인 이미지 경향을 한눈에 쉽게 판단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인지와 선호등위선을 중첩한 도시이미지 관리도면에서는 4가지 유형으로 도시 권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관리방안에 있어서 인지도가 높으나 선호도가 낮은 지역은 특별히 이미지 관리의 우선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지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이상의 결과 이외에도 인지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거나 유동 인구가 많은 곳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 중 선호도가 높은 지역들은 도시 관리를 위한 조망점 선정에 있어서 유력한 후보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와 선호등위선은 향후 도시 관리를 위한 조망점 선정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시이미지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외부 방문객들이 도시를 탐방하고 관광할 수 있는 도시탐방 네트워크 구성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도시의 전반적인 이미지 향상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해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eas with negative images in cities can degrade the image of the city as a whole and slow the city's efforts to improve its image. The identification of such areas and the development of a city contour that charts the images of various areas in advance can help urban planners establish relevant str...

주제어

참고문헌 (47)

  1. 김영석(2002)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2. 김종호, 변재상, 엄승빈(2002)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 한국조경학회지 30(4): 9-18. 

  3.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4): 2-40. 

  4. 박지해(2005) 대학 캠퍼스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마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변재상(2008a)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 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83-99. 

  7. 변재상(2008b)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2): 80-98. 

  8. 변재상(2009) 국내 도시 이미지 및 브랜드 슬로건의 경향 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6): 105-121. 

  9. 변재상, 김대수, 이정수(2010)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 이미지 비교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2): 53-63. 

  10.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2007a) 초고층 랜드마크의 인지거리 및 인지 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90-104. 

  11. 변재상, 조예지, 최형석, 김송이, 임승빈(2007b) 도시마케팅을 위한 도시이미지 관리방안 연구: 도시이미지 관리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정량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 81-89. 

  12.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c) 도시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13.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d) 도시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과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63-177. 

  14.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3): 7-20. 

  15. 손학기(2007) GIS와 공간통계에 기초한 부동산 가격변동지역의 동태적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논문집 6(1): 5-18. 

  18.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19. 정대연(1992) 기초사회통계학. 서울: 백산서당. 

  20.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18-30. 

  21.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마지 분석: 부산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2):189-202. 

  22. 홍두승(2001)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23. Ashworth, G. J. and H. Voogd(1990) Selling the City: Marketing Approaches in Public Sector Urban Planning. London and New York: Belhaven Press. 

  24. Banai, R.(1999) A methodology for the image of the city. Environmental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 133-144. 

  25. Brower, S.(1988) Design in Familiar Places: What makes home environments look good. New York: Praeger. 

  26. Byeon, J. S., M. T. Kim. and S. B. Im(2004)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Historic Landmarks in the United States. Architectural Research 6(1): 13-24. 

  27. Catchpole, T.(1987) London skyline: A study of high buildings and view. Reviews and Studies 33. London: London Research Center. 

  28. Dreaden, P. (1980) A statical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the visual quality of the landscape for land-use planning purposes. Journal of Environment Management 10: 51-68. 

  29. Golledge, R. G., V. L. Rivizzigno, and A. Spector(1976) Learning about a city: analysi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In R. G. Golledge and G. Rushton, eds., Spatial Choice and Spatial Behavior. Ohio: Ohio State University Press. pp. 95-116. 

  30. Gould, P.(1973) On mental maps. In R. M. Downs and D. Stea, eds., Image and Environment: Cognitive Mapping and Spatial Behavior. Chicago: Aldine Pub. Co.. pp. 182-222. 

  31. Gould. P. and R. R. White(1968) The mental maps of British school leavers. Regional Studies 2: 161-182. 

  32. Gould, P. and R. R. White(1974) Mental Maps. Middlesex: Penguin. 

  33. Hanyu, K.(1993) The affective meaning of Tokyo: verbal and nonverbal approach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3: 161-172. 

  34. Igarashi, Y.(2003) Visualization of regional image using GI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okyo. 

  35. Lee, D. G. (1989) Environmental data base for structural modeling in the middle rosin of Tamagawa River. Central Japan. 造園論紙 52(5): 288-293. 

  36. Leitio, A. B.(1997) Landscape capacity evaluation and visual impacts simulation a GIS approach. ESRI Database(http://www.esri.com). 

  37.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The MIT Press. 

  38. McHarg, I. L.(1971) Design with Nature(Paperback ed.). New York: Doubleday. 

  39. Meester, W. J. and P. H. Pellenbarg(1986) Subjektieve waardering van bedrijfsvestigingsmilieus in Nederland. Sociaal-Geografische Reeks 39. Groningen: GIRUG. 

  40. Milgram, S. and D. Jodelet(1976) Psychological maps of Paris. In H. Proshansky, W. Ittleson and L. Rivlin, eds., Environmental Psychology: People and Their Physical Settings(2nd ed.).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pp. 104-124. 

  41. Monheim(1972) Zur attraktivitat deutscher stade. Berichte zur Regional forsch 8. 

  42.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43. New York Times(1972) A French view of New York: Perilous city to visit. January 24, 1972. 

  44. Pellenbarg, P. H., B. Popken, G. Raggers, P. Sijtsma, and H. Voogd(1988) De markt positie van hoogeveen. Groningen. Geopers. 

  45. Snodgrass, J. and J. A. Russell (1986) Mapping the mood of a city. Paper presented at the 21st Congress of Applied Psychology. Jerusalem, Israel. 

  46. The Countryside Agency and Scottish Natural Heritage(2002) Land-scape Cbaracter Assessment: Guidance for England and Scotland. Sheffield: University of Sheffield. 

  47. Zube, E. H., R. O. Brush. and J. G. Fabos(1975) Landscape Assessment: Values, Perceptions, and Resources. Stroudsburg: Dow-den, Hutchinson & Ros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