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임상시험센터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 구명
The Role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t Regional Clinical Trials Center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3, 2010년, pp.348 - 359  

도선주 (한국얀센 메디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linical Research Nurses (CRN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at the Regional Clinical Trial Centers (RCTCs). Method: A questionnaire focused on the role of CRNs was crafted by a researcher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pan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지역임상시험센터에 고용되어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있는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을 구성하는 업무의 수행도와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현행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 구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행 임상연구간호사(이하, ‘연구간호사’라 한다)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임상시험센터 연구간호사 역할별 업무 조사지’를 이용하여 지역임상시험센터 연구간호사의 역할을 구성하는 업무의 수행도와 중요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문헌고찰과 현장조사를 통해 작성한 안을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은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지역임상시험센터 연구간호사의 역할별 업무의 수행도와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연구간호사를 위한 체계적인 자격인증제가 도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간호사의 역할 정립 및 전문직으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간호사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동일한 연구도구를 이용한 주기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임상시험센터 연구간호사의 업무 개선을 위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 , 2005)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점차 그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임상시험센터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이나 업무에 관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지역임상시험센터에 고용된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에 따른 현행 업무를 파악하여 국내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 정립 및 전문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시험은 무엇인가? 임상시험은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위한 의약품 개발 단계에서 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할 목적으로, 약동, 약력, 약리,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또는 연구를 말한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08). 과학기술의 발달로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및 신약의 개발이 증가됨에 따라 임상시험은 국가 경제성장 및 고용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Kim, 2008; Shin et al.
임상연구간호사란 무엇인가? 임상연구간호사(Clinical Research Nurse)는 이러한 임상시험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운영하는 사람으로, 시험책임자의 지휘 하에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Good Clinical Practice, GCP)의 원칙에 따라 임상시험의 조정과 수행에 책임을 가지고 일하는 전문직 간호사이다(Kang, 2006). 시험책임자인 의사는 임상시험에 전념할 여건이 되지 못해, 임상시험 업무의 대부분을 임상연구간호사에게 위임하고 있어(Kang et al.
본 논문에서 임상시험센터 연구 간호사 역할별 업무 조사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어떤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1)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업무관련 특성은 서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각 역할별 업무의 수행도와 중요도의 차이는 Mann-Whitney U검정으로, 수행도와 중요도의 관계는 Spearman의 상관관계 분석(rank order coefficient of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역할별 업무의 수행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Mann-Whitney U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4) 대상기관에 따른 각 역할별 업무의 수행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5)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로 확인하였다. 6. 연구의 윤리성과 과학성 심의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rpentier, W. S. (1998). Clinical research nurse career ladder. Res nurs, 4(5), 1-13. 

  2. Hong, J. H. (2009). South Korea and Japan comparative study of awareness of the clinical trial, resear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Hwang, Y. S. (2008). Job analysis of clinical research nurse in oncolog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Jang, I. J. (2006). Modanization of Clinical Trial Infrastructure.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14(1), 29-32. 

  5. Jung, I. S., Kang, H. S., & Kim, W. O. (2005).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preferred educational and certification program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13(2), 195-207. 

  6. Kang, H. S. (2006). Developing the educational system for clinical trials (II).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7. Kang, H. S., Jeong, I. S., Choung, S. Y., Shin, S. G., & Kim, W. O. (2004b). Developing the infrastructure for clinical trial in Korea.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12(2), 147-162. 

  8. Kang, H. S., Kim, W. O., Jeong, I. S., & Baik, J. M. (2004a). The working conditions and clinical trial practice of research nurses. J Korean Clin Nurs Res, 9(2), 42-55. 

  9. Kim, J. S. (2008). Job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research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Taegu.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2005). Training for clinical trial involved (CRC). 

  1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Korea Good Clinical Practice.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Bioequivalence Guideline. 

  13. Korea National Enterprise for Clinical Trials. http://www.konect.or.kr/ 

  14. Lee, T. H. (2007, January 3) The government's clinical trials industrialization strategy. Digital Bosa. http://www.digitalbosa.co.kr/ 

  15.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35(6), 382-385. 

  16. Park, M. S. (2006, May). The role of RCTC to activate early-phase clinical trials.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 Spring symposium, 2006, 19-24. 

  17. Rico-Villademoros, F., Hernando, T., Sanz, J., Antonio Lopez- Alonso, A., Salamanca, O., Camps, C., & Rosell, R. (2004). The role of the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 data manager- in oncology clinical trial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On-line], 4(6), http://www.pubmedcentral.nih.gov/ 

  18.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Trials Center (2008).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19. Shin, J. Y., Shin, Jo, S. J., Yim, H. W., Jung, H. S., Lee, W. C., Park, Y. J., & Park, Y. M. (2007).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Eesearch Coordinators in a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15(1), 57-70. 

  20. Shin, S. G., & Jang, I. J. (2001). New drug application process.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9(2), 126-137. 

  21. Song, S. M. (2008). The recognition of KGCP among CRC in an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