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법의 대학수업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pplicabi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to a course in Univers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3 no.1, 2010년, pp.23 - 37  

박철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  박수홍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정선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된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연구방법으로 사용했다. 연구대상은 I 대학에서 '창의적 여성과 과학' 이라는 선택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세부연구 항목은 체계적인 문제해결 과정 실행, 창의적이고 새로운 해결방안 도출, 도출된 해결방안의 적용가능성, 팀 상호작용 및 자기 성찰 과정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학생이 실제적 문제제시, 문제인식, 문제명료화, 가능한 해결책 도출, 해결책 우선순위 결정, 액션플랜 작성 및 현장 적용, 종합발표 및 성찰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교수자는 학생이 각 단계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진행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수학습법을 통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문제를 찾고, 문제를 명확히 하고,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검토함으로써 창의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단계에서 도출된 창의적이고 새로운 해결책을 팀 구성원과 협력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찾아낸 해결책을 적용하는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시킬수 있었고. 또한 창의적 사고 기법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해결책을 도출하는 역량도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법이 대학수업에의 적용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후에는 공과대학 학생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강조하는 공학입문설계에 본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pplicabi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Methodology is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students who attended the elec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이란? 개인 혹은 팀이 상호작용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해결책을 산출하거나, 창의적 능력을 이용해 기존의 문제해결방식에 혁신을 가하는 일련의 활동을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이라고 한다.
문제중심학습이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은 학습자가 모의훈련에 참가하여 문제해결행동을 습득하고, 관련영역에 필요한 기술을 자신이 직접 개발하여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촉진자는 문제해결과 관련된 학습자의 인지적 기술을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인지적 도제환경을 구축한다(Savery, Duffy, 1995).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은 어떤 단계로 이루어져있는가?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8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단계는 실제적 문제제시 단계이다. 본 단계는 요구조사를 통한 실제 문제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당면한 문제 중 어느 것이 학습자가 해결해야할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인지 질문을 제기하고, 추후 학습자가 그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실제적 문제는 비구조화된 문제로서 첫째, 정의되지 않거나 모호하다. 둘째, 다양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 셋째, 해결책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준거를 가지고 있다. 넷째, 동일한 사례에서 조차 개념과 규칙, 원리간의 관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개념과 규칙, 원리가 해결책을 위해 필요한지 또는 어떻게 조작되는지도 모호하다(Jonassen, 1997). 2단계는 문제인식단계이다. 실제적 문제제시 단계에서 도출된 문제의 특성과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당면한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실제로 이 문제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원인을 상호간의 질문과 확산적 사고기법들을 사용하여 찾아낸다. 3단계는 문제명료화 단계이다. 수렴적 사고기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분류하고 팀에서 문제의 우선순위를 합의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순위를 선정할 때에는 팀이 모든 대안들을 토론할 수 있도록 하고, 초기의 대중적인 선택에 집중하는 경향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4단계는 가능한 해결책 도출 단계이다. 문제명료화 단계에서 산출된 문제의 우선순위 목록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새로운 해결책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해결책과 비교함으로써 실제 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5단계는 해결책 우선순위 결정 단계이다. 가능한 해결책 도출 단계에서 산출된 해결책 목록에서 제약사항 및 돌발적인 위험의 가능성을 자세하게 검토한다. 해결책 우선순위를 선정할 때, 오류가 있는 해결책이 선정되지 않도록 한다. 시간, 비용, 긴급성, 중요성, 효과성과 같은 우선순위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해결책 우선순위 목록을 결정한다. 6단계는 액션플랜 작성 단계이다. 초기목표, 수행의 촉진 ․ 제한요소, 해결해야 할 문제, 과정 상 현재 진행위치, 팀원의 사기, 조직의 지원을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선정된 해결전략을 액션플랜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운다. 2순위까지 해결전략을 다각도로 수립해보고, 실제 적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한다. 7단계는 현장적용 단계이다. 액션플랜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때, 학습자는 액션플랜 적용전략에 따라 현장에 적용하고, 현장적용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요소, 부정적인 요소 및 의견을 자세하게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각 단계에는 평가 및 성찰시간을 가진다. 각 단계별 활동상황과 산출물을 성찰하고, 나타난 문제점들이 치명적이라면,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수정/보완하고, 각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명희, 고진경 (2002). 개인 지식창출 과정의 개념적 틀. 기업교육연구, 4(1): 5-34. 

  2. 곽문규(2004). 창의적 공학설계 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동국대학교 자료. 

  3. 김병식(2001). 공학교육의 미래. 공업화학 전망, 4(1): 8-12. 

  4.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5. 김정섭, 박수홍 (2002). 지식창출을 위한 논리로서 가추법과 교수설계 적용을 위한 탐색. 교육공학연구, 18(4), 139-165. 

  6. 민계식(2007). 산업계에서 원하는 조선공업의 인재상과 공학교육의 방향. 형대중공업 CTO 서울대 특강 자료. 

  7. 박수홍 (2004). LG-RCL 프로그램 개발. 미발표논문. 

  8. 이종연 외(2005). 대학에서 이러닝을 통한 취업교육 개선방안 탐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재개발, 37(1): 161-178 

  9. 정주영(2007). 블렌디드 액션러닝(Blended Action Learning) 지원시스템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황호영 외(2006). 경쟁전략유형에 따른 인적자원관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인적자원개발연구 8(2). 

  11. Amabile. T. M. (1997). Motivating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n doing what you love and loving what you do.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1): 39-58. 

  12.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1154-1184. 

  13. Argote. L., & Kane. A. A. (2003). Learning from direct cmd indirect e.werience in organizations: The effects of experience content, timing, and distribution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NY: Oxford. 

  14. Banathy. B. H.(1992). A systems view of education: concepts and principles for effective practice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5.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Y: Springer Publishing Co. 

  16. Bottger. P. C. (1984). Expertise and air time as basis of actual and perceived influence in problem solving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214-221 

  17. De Bono. E. (1999). Six thinking hats. Boston: Back Bay Books. 

  18. Delbecq. A. L.. & Mills. P. K. (1985). Managerial practices that enhance innovation. Organizational Dynamics, 14: 24-34. 

  19. Gery. G. J. (1991).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how and why to remake the workplace through the strategic applimtion of technology. Boston. MA: Weingarten. 

  20. Gordon. W. J. J. (1961). Synectic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apacity. NY: Harper & Row. Publishers. 

  21. Jonassen. D. H.(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rnsolving learning outcomes. ETR&D, 45(1): 65-94. 

  22. King. D. G. (1998). 40 Tools for cross-functional teams: Building synergy for breakthrough creativity. Portland: Productivity Press. 

  23. Leighton. C. (1997). What is an EPSS?(2004. 5. 2), (http://itechl.coe.uga.edu/epss/whatis.htrnl). 

  24. Littlepage. G. E.. Schmidt. G. W.. Whisler.E. W.. & Frost. A. G. (1995). An input-process-output analysis of influence and perfonnance in problem-solving grou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5):877-889. 

  25. Lumsdaine. E. & Lumsdaine. M. (1995). Creative Problem Solving. NY: McGraw-Hill. 

  26. Marquardt, M. J. (1999). Action learning in action: Transforming problems and people for world-class organizational learning. Palo Alto. California: Davies-Black Publishing. 

  27. Milliken. F. J., Bartel. C. A., & Kurtzberg. T. R.(2003). Diversity and Creativity in Work Groups: A Dynamic Perspective on the Affective and Cognitive Processes That Link Diversity and Performance. Group Creativity: Innovatio Through Collaboratiml. NY: Oxford. 

  28. Nijstad. B. A. & Paulus. P. B. (2003). Group creativity: Common themes and future directions.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NY: Oxford. 

  29. Nijstad. B. A., Diehl. M., & Stroebe. W. (2003). Cognitive Stimulation and Interference in Idea-Generating Groups. Group Creativity: Innomtion Through Collaborotion. NY: Oxford. 

  30. Nonaka I. & Takeuchi. H. (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NY: Oxford. 

  31. Osborn. A. F. (1953. 1963). Appled imagination. New York: Scribner. 

  32. Park. su-hong. (2001), A systems view of team leanting: toward a theory for the design of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for team leanting. unpublished. 

  33. Parnes. S. J. (1981). Magic of y'our mind. Buffalo. NY: Bearly Limited. 

  34. Paulus. P. B., & Dzindolet. M. T. (1993). Social influence processes in group brainstorm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575-586. 

  35. Paulus. P. B., & Brown. V. R. (2003). Enhancing ideational creativity in groups: Lessons from research on brainstorming.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NY: Oxford. 

  36. Raybould B. (1995). Performance Support engineering: An emerging development methodology for enabling organizational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8(1): 7-22. 

  37. Revans. R. (1983). The ABC of action learning. London: Chartwell-Brett Ltd. 

  38. Savery. J. R. & Duffy. T. M. (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nl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 31-38. 

  39. Stasser. G., & Birchmeier. Z. (2003). Group Creativity and Collectivie choice.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NY: Oxford. 

  40. West, M. A. (2003). Innovation Implementation in Work Teams.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NY: Oxford. 

  41. Williams. J. R. (2004). Developing performance support for computer systems. NY: CRC press. 

  42. Woodman. R. W., Sawyer. J. E., & Griffin. R. W.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