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Directors'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4 = no.106, 2010년, pp.29 - 42  

조성연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이정희 (우송정보대학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directors'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323 childcare teachers in Chung nam Province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Job Stress Scale by Cho(2004), Ego-r...

주제어

참고문헌 (58)

  1. 고은정(1996).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은미 . 김광웅(2005).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변인의 인과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39-157. 

  3. 구자은(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이경(2004). 상담종격 경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간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지혜(2006).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설명요인에 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보들맘 . 신혜영(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7. 김용미(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8. 김은화(2004).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휘 . 고홍화(1994).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서울: 배영사. 

  10. 김주연(2007).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지은 . 안선희(2007).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3), 149-162. 

  12. 김지현(1995).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명준희(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선우(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정서(1997).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사회적 지원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현진(1996). 자아탄성력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희연(2005). 아동상담자의 의욕 상실(burnout)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보건복지부(2004). 전국 보육실태 조사결과. 서울:보건복지부. 

  20. 성영혜(1994).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 1-21. 

  21. 손경애 . 고종욱(2006).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3), 98-118. 

  22. 송미선 . 김소양(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23. 신성아(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 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혜영(2006).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Annual Report of Human Ecology Institute, 20, 21-29. 

  25.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안효진 . 안선희 . 문혁준(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27. 여선영(2005).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Burn Out)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선균(2001)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혜미 . 권혜경(200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2(3), 303-319. 

  30. 윤혜미 . 정경진(2008).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2(1), 81-95. 

  31. 이경선(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민규(2001). 현대 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서울: 교육과학사. 

  33. 이상옥(2005).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적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정희 . 조성연(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 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35. 이현(2008). 사회적 지지와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춘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형민(200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6(1), 187-208. 

  37. 임정숙(1997).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 연구: 충남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진형(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미아(1996).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장철영 . 권영주(2006). 사회적 지원의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무원들의 심리적 탈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7(3), 157-180. 

  41. 장휘숙(2001). 애착과 다섯 가지 성격특성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 105-119. 

  42. 정승언(1992).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역할.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44.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45. 조성연 . 구현아(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46. 탁진국 . 윤혜진(2002).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건강, 7(2), 197-210. 

  47. 한국여성개발원(1998).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98 연구보고서 230-5.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8. 한임순 . 김향자(1998).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4, 171-218. 

  49. 홍준호(2004). 상담자의 자아강도와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소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51.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52. Fuqua, R., & Couture, K. (1980). Burnout and locus of control in day care staff. Child Care Quarterly, 15(2), 155-162. 

  53. Heck, S. F., & Williams, C. R. (1984). The complex roles of the teacher: An ec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4. Heck, S. F., & Williams, C. R. (1981b).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55. Kahn, R. l., & Antonucci, T. 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In Paul B. B., & Orville G. B., Jr. (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5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0).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hild care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4, 116-135. 

  57. Phillips, D. A., McCartney, K., & Scarr, S. (1987).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3, 537-543. 

  58. Tellegen, A. (1985). Structures of moo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 emphasis on self- report. In A H. Tuma & J. D. Maser (Eds.), Anxiety disorders (pp. 681-706). Hillsdale, NJ: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