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1, 2011년, pp.1582 - 1588  

손석민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권한올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호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생이를 열풍, 진공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해 건조하고 이들 건조방법이 건조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탄수화물(38.10~41.54%)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회분(31.86~33.28%), 조단백질(17.46~23.03%), 수분(4.14~6.25%) 및 조지방(1.01~1.51%)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총당 함량이 19.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다음으로 진공건조 시료가 19.22%, 동결건조 시료가 18.18%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비타민 C 함량은 진공건조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동결건조 시료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열풍건조 시료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다음으로 proline,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 가지 구성아미노산의 합은 건조방법에 따라 전체 아미노산의 33.34~34.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생이 건조방법별 무기성분 총 함량은 열풍 및 진공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보다 월등히 많은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다량 함유하고 있는 무기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Na, K, Mg, Ca, P 순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미량 무기성분으로 Fe, Mn, Zn, Cu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posiphon fulvescens was dried by the hot-air (50$^{\circ}C$), vacuum (50$^{\circ}C$), and freeze drying methods. The green alga contained high proportions of carbohydrates (38.10~41.54%), ash (31.86~33.28%), and crude proteins (17.46~23.03%) regardless of the drying method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매생이는 스펀지케이크(15), 두부(16), 식빵(17,18), 쌀국수(19) 및 쿠키(20) 등의 제조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나 소재활용 시 필수적인 매생이의 성분자체의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풍, 진공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해 매생이를 건조하고 이들 건조방법이 건조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매생이 분말의 식품소재로의 활용에 필요한 실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생이의 생물학적 분류는 어떠한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갈파래목 갈파래과 매생이속에 속하는 일년생 녹조식물로(1)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 일대 청정해역의 상부 바위에서 서식한다(2). 매생이는 무기물,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 등이 풍부하며 특유의 향기와 맛을 지니고 있고, 예로부터 숙취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3).
매생이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어디에 서식하는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갈파래목 갈파래과 매생이속에 속하는 일년생 녹조식물로(1)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 일대 청정해역의 상부 바위에서 서식한다(2). 매생이는 무기물,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 등이 풍부하며 특유의 향기와 맛을 지니고 있고, 예로부터 숙취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3).
건조시켜서 매생이 분말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던 천일건조는 어떠한 단점이 있는가? 따라서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매생이 분말은 식품소재로서 간편성을 부여하고 식품산업에서 다양한 가공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0). 매생이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건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데 해조류의 건조에 주로 사용돼왔던 천일건조는 기후에 영향을 쉽게 받고, 수분함량을 조절하기 어렵고, 건조시간이 길고, 주위로부터 오염이 쉽고, 노동집약적인 단점이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Yang HC, Jung KM, Gang KS, Song BJ, Lim HC, Na HS, Mun H, Heo NC. 2005.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12-917. 

  2. Lee JH, Lee YM, Lee JJ, Lee MY. 2006.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02-409. 

  3. Jung BM, Shin TS, Kim DW, Chong KW. 2008.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91-698. 

  4. Kwon MJ, Nam TJ. 2006. Protective effects of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on hepatotoxicity in carbontetrachloride (CCl4)-intoxicated rats. J Life Sci 16: 734-739. 

  5. Kwon MJ, Nam TJ. 2006. Effects of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30-535. 

  6. Lee JH, Lee YM, Lee JJ, Lee MY. 2006.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02-409. 

  7. Park HY, Lim CW, Kim YK, Yoon HD, Lee KJ. 2006.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apsosiphon fulvescen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43-348. 

  8. Kim HY, Kim IH, Nam TJ. 2009.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essential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J Life Sci 19: 1591-1597. 

  9. Jeong KS, Lee NG. 2010. A study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J Environ Sci 19: 407-414. 

  10.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65. 

  11. Swami SB, Das SK, Maiti B. 2007. Convective hot air dry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ri : A traditional Indian nugget prepared from black gram pulse batter. J Food Eng 79: 225-233. 

  12. Lee JH, Kim HJ. 2008. Vacuum drying kinetics of Asian white radish (Raphanus sativus L.) slices. LWT-Food Sci Technol 42: 180-186. 

  13. Irzyniec Z, Klimczak J, Michalowski S. 1995. Freeze-drying of the black currant juice. Drying Technol 13: 417-424. 

  14. Ratti C. 2001. Hot air and freeze-drying of high-value foods: a review. J Food Eng 49: 311-319. 

  15.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dd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3-89. 

  16. Jung BM, Shin TS, Kim DW, Chong KW. 2008.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91-698. 

  17. An HL, Lee KS, Park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apsosiphon fulvesce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563-568. 

  18. Hong SC, Choe SN. 2009. Studies on the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J Fish Mar Sci Edu 21: 28-42. 

  19. Jung BM, Park SO, Shin TS. 2009.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made with added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80-188. 

  20. Lee GW, Choi MJ, Jung B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381-389. 

  21. AOAC. 1997.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22. Kim JY, Sung KW, Bae HW, Yi Y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66-271. 

  23. Mill MB, Daron CM, Roe JH. 1949. Ascorbic acid, dehydroascorbic acid and diketogluconic acid in fresh and processed foods. Anal Chem 29: 707-710. 

  24. Shin SR. 2004.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yam snack by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1: 516-521. 

  25. Sousa RA, Baccan N, Cadore S. 2011. Determination of elemental content in solid sweeteners by slurry sampling and ICP OES. Food Chem 124: 1264-1267. 

  26.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 6th rev. RDA, Suwon, Korea. p 156-157. 

  27. Fleurence J. 1999. Seaweed proteins: Biochemical nutrit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 Trends Food Sci Technol 10: 25-28. 

  28. Lee MJ, Seog EJ, Lee JH.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aga (Inonotus obliquus) mushroom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Food Sci Nutr 12: 40-45. 

  29.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347. 

  30. Lin TM, Durance TD, Scaman CH. 1998. Characterization of vacuum microwave, air and freeze dried carrot slices. Food Res Int 31: 111-117. 

  31. Erenturk S, Gulaboglu MS, Gultekin S. 2005. The effect of cutting and drying medium on vitamin C content of rosehip during drying. J Food Eng 68: 513-518. 

  32. Goula AM, Adamopoulos KG. 2006. Retention of ascorbic acid during drying of tomato halves and tomato pulp. Dry Technol 24: 57-64. 

  33. Hawlader MNA, Perera C, Tian M, Yeo KL. 2006. Drying of guava and papaya: Impact of different drying methods. Dry Technol 24: 77-87. 

  34. Qing-guo H, Min Z, Mujumdar AS, Wei-Hua D, Jin-Cai S. 2006.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changes of granular edamame. Dry Technol 24: 1025-1032. 

  35. Youn KS, Choi YH. 199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kiwifruit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Food Eng Prog 2: 49-54. 

  36. Lee BY, Choi HS, Hwang JB. 2002.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Gastrodiae rhizoma and changes in several characteristics at the various dry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7-42. 

  37. FAO. 1970. Amino acid content of food and biological data on protein. Rome, Italy. 

  38. Arslan D, Ozcan MM. 2008. Evaluation of drying methods with respect to drying kinetics, mineral content and colour characteristics of rosemary leaves. Energy Convers Manage 49: 1258-1264. 

  39. Jung KJ, Jung CH, Pyeun JH, Choi YJ. 2005. Changes of food compon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7-693. 

  40. Ortega-Calvo JJ, Mazuelos C, Hermosin B, Saiz-Jimenez C. 1993. Chemical composition of Spirulina and eucaryotic algae food products marketed in Spain. J Appl Phycol 5: 425-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