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깻잎 첨가 국수 대량 생산 공정 개발 및 이의 항산화 효과
Mass Production Process for Flour Noodles Containing Perilla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Effe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688 - 1693  

현효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이은화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노정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깻잎 부산물(깻잎)의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깻잎이 첨가된 기능성 면 대량생산 제조공정을 개발하고, 깻잎 첨가면의 항산화 기능을 유리기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각 공정별 최적조건 결정은 각 단계별로 제조된 면으로 물 국수를 만들어 외관, 맛, 향, 질감, 기호도에 대해 9점 척도로 관능 평가하였다. 깻잎 데치기 과정은 깻잎 중량 30배의 끓는 물에서 중불로 8분간 깻잎을 데치기 하였을 때 가장 관능평가 결과가 좋았다. 깻잎균질액의 농도는 40%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를 밀가루 중량의 60%(w/w) 첨가하였을 때(최종 농도 19%) 외관, 질감 및 기호도 평가가 다른 조건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만들어진 제조공정에서는 깻잎을 수세하는 과정, 그리고 반죽 시 물을 첨가하는 과정을 단축할 수 있었다. 깻잎첨가면의 DPPH 소거능$IC_{50}$ 0.56 mg/mL로 일반면의 11.00 mg/mL에 비해 19.6배 높아졌다(p<0.001). 깻잎첨가면의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IC_{50}$ 9.53 mg/mL로 일반면의 13.1 mg/mL에 비해 1.4배 높았다(p<0.01). Hydroxyl radical 소거능 역시 $IC_{50}$ 169.2 ${\mu}g$/mL로 일반면의 3 mg/mL에 비해 17.8배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깻잎 첨가에 의해 밀가루면의 관능성과 기능성이 증가되었고, 이는 깻잎에 함유된 페놀화합물 때문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evaluated mass production processes for flour noodles containing perilla leaf (FNPL) and to exa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FNPL. The processes for perilla leaf preparation before dough making were the main focus. The sensory evaluation was used as a tool to determine the opt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남지역은 우리나라 깻잎 최대 생산지로 한해 수확되는 깻잎 양에 비해 상품화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깻잎의 비율이 대단히 높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깻잎을 첨가하여 면의 기능성과 관능적 특성을 증진하고 대량 생산을 위한 최소한의 공정으로서 깻잎균질액을 제조하여 생면에 첨가할 방법을 관능평가를 통해 결정하고, 제조된 면의 기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깻잎의 영양성분은? 과거에는 들깨유 생산을 위해 주로 종실을 채취할 목적으로 재배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들깻잎(이하 깻잎)이 채소의 형태로 주로 소비되고 있어 이를 위한 잎들깨용 품종이 개발되어 연중 생산되고 있다(12). 깻잎의 영양성분으로는 칼슘, 칼륨, 인,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과 아미 노산, 비타민 A, B2 및 α-linolenic acid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13). 깻잎에 함유된 주요 색소는 anthocyanins, flavones 및 flavone glycosides와 같은 안토시안계 색소가 함유되어 있어 일본에서는 식용 착색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14).
깻잎 부산물의 이용 증진을 위한 관능평가를 위해 데치기를 했을 때 어떤 조건에서 가장 관능 평가 결과가 좋았는가? 각 공정별 최적조건 결정은 각 단계별로 제조된 면으로 물 국수를 만들어 외관, 맛, 향, 질감, 기호도에 대해 9점 척도로 관능 평가하였다. 깻잎 데치기 과정은 깻잎 중량 30배의 끓는 물에서 중불로 8분간 깻잎을 데치기 하였을 때 가장 관능평가 결과가 좋았다. 깻잎균질액의 농도는 40%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를 밀가루 중량의 60%(w/w) 첨가하였을 때(최종 농도 19%) 외관, 질감 및 기호도 평가가 다른 조건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
들깨는 무엇인가?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중국 및 동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재배되어온 대표적 유료 작물 중 하나이다(11). 들깨는 식용 들깨유, 공업용 원료로 사용되는 종실과 신선채소를 얻기 위해 재배하는 잎 두 종류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SJ, Lee MA. 2009. Possibility analysis of a rice based bread by analyzing customers' needs of menus for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Community Nutr 14: 545-555. 

  2. Yang HS, Kim C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in Korean mark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37-744. 

  3.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4. Lee YS, Lim NY,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 59-66. 

  5. Kwak DY, Kim JH, Choi MS, Shin SR, Moon KD.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powder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on quality of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60-464. 

  6. Kim ML.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37-243. 

  7.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8.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9. Lee JH, Shim JY. 2006.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and noodles added with onion juice. J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54-59. 

  10. Jeon JR, Kim HH, Park G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85-692. 

  11.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perilla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376-383. 

  12. Choi YH, Han JS. 2001.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in perilla leaves by leaf age and storage condi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583-588. 

  13. Kim KH, Chang MW, Park KY, Rhee SH, Rhew TH, Sunwoo Y. 1993. Antitumor activity of phytol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and its augmentative effect on cellular immune response. Kor J Nutr 26: 379-389. 

  14. Ishikura N. 1981. Anthocyanins and flavones in leaves and seeds of perilla plant. Agric Biol Chem 45: 1855-1859. 

  15. Kim KH, Chang MW, Park KY. 1993. Antitumor activity of phytol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and its augmentate effect on cellular immune response. Kor J Nutr 26: 379-389. 

  16. Hong YP, Kim SY, Choi WY. 1986.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255-258. 

  17. Hyun KW, Kim JH, Song KJ, Lee JB, Jang JH, Kim YS, Lee JS. 2003.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75-979. 

  18. Oh SI, Lee M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19. Kim JY, Kim JS, Jung CS, Jin CB, Ryu JH. 2007.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Korean J Pharmacogn 38: 1-24. 

  20. Lee KI, Rhee SK, Kim JO, Chung HY, Park KY. 1993.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2: 175-180. 

  21.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 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22. Jo MJ, Min KJ. 2007.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oral microbes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of oral tumor cell of extracts of perilla and mugwort. Korean J Env Hlth Soc 33: 115-122. 

  23. Lee JK, Kee HJ, Park YK, Rhim JW, Jung ST, Ham KS, Kim IC, Kang SG.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305. 

  24. Hatano T, Edamatsu R, Hiramatsu M, Mori A, Fujita Y, Yasuhara T, Yoshida T, Okuda R. 1989.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2021. 

  25. Candan F, Sokmen S. 2004. Effects of Rhus coriaria L. (Anacardiaceae ) on lipid peroxid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hytother Res 18: 84-86. 

  26. Chung SK, Osawa T, Kawakishi S. 1997.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 (Brassica nigra).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27. Cho SH, Cho KR, Kang MS, Song MR, Choo NY. 2008. Food science. 1st ed. Kyomunsa Publisher, Gyeonggi, Korea. p 168-172. 

  28. Kim YS, Rhee HS. 1985. The change of chlorophylls in blanched and fermented chinese cabbage. Korean J Soc Food Sci 1: 27-32. 

  29. Peng YY, Ye JN, Kong JL. 2005.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Agric Food Chem 53: 8141-8147. 

  30. Xin Z, Song KB, Kim MR.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J Food Sci Nutr 9: 289-2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