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ussion Program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Living in Residential Car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5 = no.113, 2011년, pp.153 - 163  

이경진 (명지대학교 음악치료학과) ,  김수지 (명지대학교 음악치료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ussion program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the elderly lived in residential care. 12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40-min. percussion program for 4 weeks(10 sessions). The percussion program consisted of three steps; 1) introduction for cr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타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치료적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근거를 제시 할 수 있었다. 이처럼 타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노인인구와 최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발맞추어 노인들의 심리적인 문제를 도울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서 음악 치료적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타악기의 일정한 리듬 연주의 다이나믹은 그룹원 간의 청각적 피드백을 통하여 움직임을 유도하고 신체적 움직임을 조절 하여 긴장을 이완시키고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리듬 연주 시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에너지를 발생하는데 이는 소리 강도의 변화와 함께 자극적인 요소로 작용을 하여 내면에 있는 감정을 발산하도록 유도하고, 정서적인 변화를 가질 수있도록 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도록 한다(Radocy & Boyle, 199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우울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노인의 경우 다른 연령대에 비해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데, 노인우울은 일차적 우울(내인성)과 이차적 우울(외인성)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되며(Cohen, 1990), 신체질병, 가족 또는 친구의 사망 등으로 인한 외생적 요인에 의한 이차적 우울발생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atz et al., 1996).
우울의 증상은 어떠한가? 우울(depression)은 정신장애 중 정동장애에 해당되는 것으로 심리적 증상으로는 감정의 변화와 정신기능의 저하를 보이며, 신체적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불면증, 체중감소 등을 보인다(이영호, 2006; 하정은, 2002). 우울로 인해 발생되는 이러한 변화들은 일반적인 노인질환의 증세와 유사한 경우가 많아 우울장애로 인식되지 못하거나(Koenig & Blazer, 1996), 일반적인 노화의 과정으로 여겨 방치할 경우 인지기능의 저하까지 발생하게 된다(전은영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강선경(2009).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629-643. 

  2. 강환세?마은경(2008). 노인복지시설 사회화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39, 303-322. 

  3. 김광수(2007). 노인의 거주형태가 스트레스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13(1), 139-160. 

  4. 김귀분?김인숙?정미영?오혜경?권영숙?이은자?서은주?김세란(1999). 시설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대한 음악 요법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1(2), 213-223. 

  5. 김동휘(2008).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혜?이금룡?정순돌(200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20(3), 211-226. 

  7. 김성숙(2010). 노인미술치료를 통한 자아존중감 형성에 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원경(2001). 노년기 신체적 건강과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노년학연구, 10, 55-74. 

  9. 김이량?전혜자(2009). 여성노인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2), 15-27. 

  10. 김정선(1998). 가정노인과 양로원 노인의 자아존중감, 일상생활활동 능력,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1), 148-158. 

  11. 김주현?한경혜(2001).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21(2), 209-224. 

  12. 나미희(1999). 노인의 우울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통해본 치료적 음악활동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민 숙?장숙희?박재경(2001).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과의 관계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2), 135-145. 

  14. 박금자?이지현?배경의?강양희?송후승(2007).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과 우울. 노인간호학회지, 9(1), 51-59. 

  15. 박미영(2006). 무료요양시설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용순?김희영(2010).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시설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2), 1-9. 

  17. 배재남(2001). 도시지역 노인의 치매 우울장애, 물질사용 장애에 대한 역학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www.stat.mw.go.kr. 

  19. 변호순(2005). 미신고 복지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대한 다층분석(HLM): 개인요인과 시설요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서경현?김영숙(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사회심리학회지, 9(1), 115-137. 

  21. 송명훈(2010). 타악기 연주 방법에 따른 치매노인의 반응비교 연구: 진동촉각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신창환(2010). 삶의 특성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2), 453-469. 

  23. 양혜경(2010).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노인의 우울증 감소와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49, 127-143. 

  24. 유미나(2009). 시설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타악기연주 효과성 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유용권?정효영(2010).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 식물, 환경학회지, 13(3), 7-15. 

  26. 이덕조(2003). 타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미진.이기옥(2005). 장기요양 보호노인의 수발만족과 노인의 우울증의 상관관계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25(1), 119-131. 

  28. 이애경?이근매(2006).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케어복지학, 2(2), 51-69. 

  29. 이영호(2006). 정신건강론. 서울: 공동체. 

  30. 이재모?이신영(2006). 노인의 재가복지 서비스 이용의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203-222. 

  31. 이주희(2001). 집단 음악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3(1), 42-52. 

  32. 이화자(2006). 시설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연구. 간호과학, 18(2), 31-38. 

  33. 임영식(2002).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우울과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전병재(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e ability. 연세총론, 11(1), 107-130. 

  35. 전은영?김숙영?김귀분(2005).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우울 및 건강상태 분석. 노인 간호학회지, 7(2), 157-165. 

  36. 정순둘(2004).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노년학, 24(4), 107-122. 

  37. 정인과?곽동일?조숙행?이현수(1997). 한국형 노인우울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 KGDS) 표준화 연구. 노인정신의학, 1(1), 61-72. 

  38. 정진오(2008). 여가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의 지각된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1), 715-724. 

  39. 정현주(2005).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40. 정현주(2007). 음악치료 기법과 모델. 서울: 학지사. 

  41. 차주원(1991).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관한 연구: 일반가정 노인과 양로원 노인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최말옥?박혜령(2005). 노인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대한 집단 음악프로그램 효과성 비교 연주. 한국노인복지학회, 27, 303-324. 

  43. 최애나?김윤희?정광조(2010). 음악치료활동이 주간보호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6(1), 103-121. 

  44. 최영희(1999). 노인의 자긍심, 무력감, 의존성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1(1), 93-108. 

  45. 하정은(2002). 우울증의 진단과 치료. 병원약사회지, 19(3), 315-318. 

  46. 한경희?이상미?서정근(2009). 집단원예치료가 노인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 식물, 환경학회지, 12(4), 1-12. 

  47. 한정숙?이경순(2002). 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1(4), 609-620. 

  48. Bittman, B. B., Berk, L. S., Felten, D. L., Westengard, J., Simonton, O. C., Pappas, J., & Ninehouser, M. (2001). Composite effects of group drumming music therapy on modulation of neuroendocrine-immune parameters in normal subjects. Alternative Therapy and Health Medicine, 7(1), 38-47. 

  49. Boxill, E. H.(1985). Music Therapy Developmentally Disabled. Rockville, MD: Aspen Systems. 

  50. Clair, A. A., & Memmott. J.(2008). 노인음악치료연구회 역(2009) 노인음악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51. Cohen, G. D.(1990). Psychopathology and mentel health in the mature and elderly adult. In J. E. Birren & K. W.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pp. 359-371). San Diego, CA: Academic Press. 

  52. Chen, X.(1992) Active music therapy for senile depression. Chinese Journal of Neurology and Psychiatry, 25(4), 208-252. 

  53. Davis, W. B.(1999). 김수지.고혜경.권혜경 역(2002). 음악료학개론: 이론과 실제. 음악치료와 노인. 서울: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54. Gatz, M., Kasl-Godley, J. E., & Karel, M. J.(1996). Aging and mental disorders. In J. E. Birren & K. W.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4th ed.). San Diego, CA: Academic Press. 

  55. George, L. K.(1990). Self-and identity in later life: Protecting and Enhancing the self. Journal of Aging and Identity, 3, 133-152. 

  56. Gfeller, K. E.(1999). 김수지.고혜경.권혜경 역(2002). 음악치료학 개론: 이론과 실제. 음악: 인간 고유의 현상 및 치료의 도구. 서울: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57. Hooyman, N. & Kiyak, H. A.(2002).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6th Edition. Boston, MA. Pearson Education Company 

  58. Koenig, H. G. & Blazer, D. G., III(1996). Minor depression in late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4(Suppl 1), Fall 1996, S14-S21. 

  59. Kwak, E. E.(2007).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ournal of Music Therapy. XLIV(3), 198-216. 

  60. Maddox, G. L., Atchley, R. C., Evans, J. G., Hudson, R. B., Masoro, E., J., Mezey, M. D., Poon, L. W., & Siegler, I. C.(2001). The Encyclopedia of Ag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Y.. 

  61. Maxfield, M.(1990). Effects of Rhythmic Drumming on EEG and Subjective Experience. San Francisco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Doctoral Dissertation. 

  62. Meyer, L. B.(1956). Emotion and meaning in music.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 Morgan, L., & Kunkel, S.(2001). Aging: The social context. N.Y.: Pine Forge Press. 

  64. Payne, J. L., Sheppard, J. E., Steinberg, M., Warren, A., Baker, A., Steele, C., Brandt, J., & Lyketos, C. G. (2002). Incidence, prevalence, and outcomes of depression in residents of a long-term care facility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7, 247-253. 

  65. Radocy, R. E., & Boyle, J. D.(1997). 최병철?방금주 역(2001). 음악 심리학. 서울: 학지사.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