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우 가족에게 적용한 죽음준비 교육의 효과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Family Caregivers of Disabled Individual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4 no.1, 2011년, pp.20 - 27  

김복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장애우 가족에게 적용한 죽음준비 교육이 삶의 의미, 부담감, 극복력 및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인 종합복지관에 등록된 장애우 가족 16명이었다. 죽음준비 교육은 총 4부로 구성되었으며, 1부는 삶과 죽음의 신비와 소중함, 2부는 죽음의 의미와 평화로운 죽음을 위한 준비, 3부는 장례예식의 이해와 사별 후 적응, 4부는 유서 쓰기와 입관체험으로 진행되었다. 각 회기당 150분씩 주 1회, 총 10주간 실시하였으며, 회기별로 주제와 관련된 강의를 한 후 5~6명씩 3조로 나누어 토의하고 발표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Window용(ver. 9.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죽음준비 교육 후 장애우 가족의 삶의 의미와 극복력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부담감은 감소하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결론: 죽음준비 교육이 장애우 가족에게 삶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부담감을 감소시켰으므로 더 많은 장애우 가족들에게 확대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죽음준비란 죽음의 순간을 준비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삶에 대한 점검이며 의미있는 삶을 사는 과정이므로 건강 프로그램(well-being)과 더불어 죽음준비 교육(well-dying)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which had been provided to family caregivers of disabled individuals. A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for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애우 가족들을 대상으로 1회 150분씩, 주 1회, 10주간 동안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하여 장애우 가족이 삶과 고통과 죽음에 관한 궁극적인 의미를 찾고 위기와 역경에 잘 대처하도록 돕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장애우 가족에게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한 후 효과를 파악하는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로 이루어진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우 가족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 교육이 삶의 의미, 부담감, 극복력 및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 Yu(19)는 장애아 어머니의 삶의 의미수준은 비장애아 어머니보다 낮았다고 하였고, Eker와 Tüzün(20)은 자녀가 뇌성마비인 어머니는 정상인 자녀의 어머니 보다 삶의 질이 낮았다고 하였다. 죽음은 삶의 결과이며 생의 의미는 죽음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우 가족이 삶과 고통과 죽음에 관한 궁극적인 의미를 찾고 위기와 역경에 잘 대처하도록 돕기 위하여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IV부에서는 유서쓰기와 입관체험을 하도록 하였다. 학문적인 것보다는 실제적인 것에, 이론적인 것보다는 응용적인 것에, 정보나 지식보다는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되도록 하였다. 죽음준비 교육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인 종합복지관 강의실에서 오전 9시 30분에서 12시까지(150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실험 전후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한 변화는 어떠한가? 죽음에 대한 태도는 실험 전 중앙값이 59.5점에서 실험 후 67.0점으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P=0.040) (Table 2).
장애우를 둔 부모의 현실은 어떠한가?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환자관리에 있어 가족이 담당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가정에서 장애우를 신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돌보는 가족들이 경험하는 고통도 큰 실정이다. Lee(16)는 장애진단을 받은 자녀를 둔 부모들은 심리적인 어려움과 미래에 대한 두려움에 직면한다고 하였으며, Seo(17)는 장애자녀는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녀의 성장과 함께 부모들이 경험하는 부담감은 가중된다고 하였다. Han(18)은 장애아동을 둔 부모는 양육 스트레스로 인해 좌절감, 불행감, 자신없음, 죄책감, 슬픔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며, 이러한 감정들을 극복하지 못할 때 가정의 갈등이 만성화되고 위기가 초래될 수 있다고 하였다. Yu(19)는 장애아 어머니의 삶의 의미수준은 비장애아 어머니보다 낮았다고 하였고, Eker와 Tüzün(20)은 자녀가 뇌성마비인 어머니는 정상인 자녀의 어머니 보다 삶의 질이 낮았다고 하였다. 죽음은 삶의 결과이며 생의 의미는 죽음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우 가족이 삶과 고통과 죽음에 관한 궁극적인 의미를 찾고 위기와 역경에 잘 대처하도록 돕기 위하여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죽음준비 교육이란 무엇인가? 죽음은 또 다른 형태의 삶으로서 삶과 죽음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교육하여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를 가지도록 하고, 정보를 나눔으로써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죽음준비 교육은 죽음에 대한 준비이자 각자에게 남은 생을 좀 더 잘 살도록 돕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ang SH. A study on the adult education for death preparatio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 2009. Korean. 

  2. Kim YS. A study about the requirement different of death-preparation- education pursuant to distinction of sex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 2007. Korean. 

  3. Jo KH, Lee HJ, Lee YJ.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on death. J Korean Acad Nurs 2007;37(4):442-52. 

  4. Kim SN, Choi SO, Lee JJ, Sin KI.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iety Health Educ Promot 2005;22(2):141-53. 

  5. Kubler-Ross E. On death and dying. New York:Macmillan Co.;1969. 

  6. Ryu HO. Death anxiety among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Sungshin Women's Univ.; 2004. Korean. 

  7. Suh WK. On conditions of volunteering at hospice and the volunteers' death anxiety: centered on Daegu area [dissertation]. Gyeongsan: Yeungnam Univ.; 2007. Korean. 

  8. Sogyal R. The Tibetan book of living and dying. Soeul:Minumsa Publishing Group;1999. 

  9. Yang KS.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centering on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2009. Korean. 

  10. Yoon MO. Effect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volunte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4):199-208. 

  11. Smith-Cumberland T. The evaluation of two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EMT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ath Stud 2006;30(7):637-47. 

  12. Park JH.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dissertation]. Daejeon: Mokwon Univ.; 2007. Korean. 

  13. Kim EH, Lee E,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09;39(1):1-9. 

  14. Shin SJ. The effect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for death and suicide of university students [dissertation]. Busan: Catholic Univ. of Busan; 2004. 

  15.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 8(2):163-72. 

  16. Lee SM.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mothers bring up a child with double disabilities, mentally and intellectually [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 2008. Korean. 

  17. Seo NS. A study on permanency planning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e parents of Seoul and Kyunggi-do area [dissertation]. Anyang: Sungkyul Univ.; 2009. Korean. 

  18. Han SI. A study on overcoming the crisis on the parents of the disabled children [dissertation]. Osan: Hanshin Univ.; 2003. Korean. 

  19. Yu BS. A comparative study on Self-Esteem and Meaning level of life in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dissertation]. Gongju: Kongju National Univ.; 2006. Korean. 

  20. Eker L, Tuzun EH. An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2004;26(23):1354-9. 

  21. Nam HS. Analysis on adult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nee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 2000. Korean. 

  22. Won DR, Kim KH, Kwon SJ.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Korean J Health Psychol 2005; 10(2):211-25. 

  23.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 2004. Korean. 

  24. Montgomery RJV, Gonyea JG, Hooyman NR.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 Relat 1985;34:19-26. 

  25. Choi YS. The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of mentally ill patient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 1997. Korean. 

  26. Park SC. A study on the death orientation of hospice volunteers. J Korean Acad Nurs 1992;22(1):68-80. 

  27. Lee E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7;13(1):52-8. 

  28. Steinhardt M, Dolbier C. Evaluation of resilience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strategies and protective factors and decrease symptomatology. J Am Coll Health 2008;56(4):445-53. 

  29. Baek KW. A study about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nd family resilience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 2005. Korean. 

  30. Laskar AR, Gupta VK, Kumar D, Sharma N, Singh MM. Psychosocial effect and economic burden on parents of children with locomotor disability. Indian J Pediatr 2010;77(5):529-33. 

  31. Mackey S, Goddard LD. The experience of health and wellness in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 Intellect Disabil 2006;10(4):305-15. 

  32. Choi JS. A study on the burden and social supports of family cargivers of mentally ill patients [dissertation]. Gongju: Kongju National Univ.; 2003. 

  33. Chung KS, Lee SE, Cho KM, Jung YM. A study on mental health statu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4;13(3):28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