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첨가된 미네랄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nerals Added to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lcohol Metabolism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3, 2011년, pp.393 - 400  

이석준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김안드레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이재화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김미희 ((주)대한심층수) ,  이봉상 ((주)대한심층수) ,  지영택 ((주)대한심층수) ,  빈재훈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  하종명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복분자, 울금, 산수유 추출물과 알코올분해 효소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미네랄수(HSMW)를 첨가한 복합물(MIX)이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체내 알코올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에서 복분자, 산수유의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정량되었으며, DPPH radical scavenging과 SOD 활성에서는 MIX가 유의적으로 높아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에서 10% HSMW 투여군이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MIX와 CP 투여군은 모든 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농도가 저농도에 비해 5~10% 더 감소하였다. MIX와 CP 투여군의 간 균질액의 ADH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ALDH 활성은 MIX와 CP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혈청 중 간 기능 지표 효소인 GOT, GPT 활성은 MIX 투여군이 정상군과 비슷한 활성을 보여 간 손상이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IX에 함유된 미네랄수(HSMW)인 Zn, Ca, Mg, Mn 등이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을 조절함과 동시에 약용식물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을 하여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숙취 증상과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며, 체내 알코올 대사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간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성 숙취 음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hangover beverage (MIX) that contains minerals (highly-salty mineral water, HSMW) and several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ntioxidant and alcohol-metabolizing enzymes in alcohol administered Sprague-Dawley rats. HSMW is pumped from below the sedimentary roc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미네랄의 숙취해소에 관련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지고 있으나 명확한 메카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여기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ADH와 ALDH의 활성화를 통해 숙취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 미네랄수(HSMW)와 항산화 효과 및 ADH, ALDH의 활성에 도움을 주는 약용식물 추출물(복분자, 울금, 산수유)을 첨가하여 개선된 숙취효과를 in vivo에서 확인하고자 하며, 숙취 음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항산화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복분자, 울금, 산수유 추출물과 알코올분해 효소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미네랄수(HSMW)를 첨가한 복합물(MIX)이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체내 알코올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에서 복분자, 산수유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정량되었으며, DPPH radical scavenging과 SOD 활성에서는 MIX가 유의적으로 높아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1)Each point represents the mean±SD for group of six rats.
  • 1)Mean±SD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3)Each point represents the mean±SD for group of six rats.
  • 3)Sample concentration in the reaction system was 1 mg/mL.
  • 6)Mean±SD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체내의 알코올 대사에서 어떤 영향을 주나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소장점막의 손상을 유도하여 vitamin B12, folic acid, thiamin, amino acids(leucine, phenylalanine, glycine, methionine 등), 칼슘(Ca)과 마그네슘 (Mg)의 영양소의 소화흡수 및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외에도 일부 영양소의 소변 내 배설을 증가시켜 영양장애를 초래한다(8,9). 알코올은 체내 대사과정에서 알코올 그 자체 및 알코올 대사물질이 간조직의 손상을 일으키므로 만성적 알코올 섭취는 간에 중성지방을 축적시켜 지방간을 일으키고 과량의 NADH가 생성되어 NADH oxidase의 활성이 높아져 ·OH와 ·O2-와 같은 oxygen radical을 생성함으로써 항산화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세포에서 지방의 증가는 곧 지방의 산화억제에 관여하는 셀레늄(Se), 아연(Zn), 망간(Mn), 구리 (Cu)의 대사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요 중 아연, 칼슘, 마그네슘, 망간, 인(P), 철분(Fe) 등의 배설을 증가시킨다(10). 자동산화(autoxidation) 반응은 항산화물질에 의해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는데 셀레늄, 구리, 아연, 망간 등의 무기질은 대표적인 항산화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11).
알코올 산화에서 생성된 숙취의 주요 인자는 무엇인가?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acetaldehyde가 되고 다시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산화되어 acetic acid로 되고 최종적으로는 요와 CO2 등으로 배설된다 (4). 알코올이 산화되어 만들어진 일차 대사산물인 acetaldehyde는 숙취의 주요한 인자이며, 알코올 섭취 시 체내의 독성작용을 통해 알코올 그 자체보다 acetaldehyde에 의한 숙취의 영향이 더 크다(5). 체내에서 생성된 acetaldehyde는 뇌로 전해져 많은 유해화합물로 바뀌어 맥박 증가나 발한, 홍조,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6,7).
체내 알코올은 어떤 대사과정을 거치나요?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신체적, 정신적 현상으로 그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함, 두통, 근육통 등이 있다(3).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acetaldehyde가 되고 다시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산화되어 acetic acid로 되고 최종적으로는 요와 CO2 등으로 배설된다 (4). 알코올이 산화되어 만들어진 일차 대사산물인 acetaldehyde는 숙취의 주요한 인자이며, 알코올 섭취 시 체내의 독성작용을 통해 알코올 그 자체보다 acetaldehyde에 의한 숙취의 영향이 더 크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Marshall EK, Fritz WF. 1953. The metabolism of ethyl alcohol. J Pharmacol Exp Ther 109: 431-445. 

  2. An SW, Kim YG, Kim MH, Lee BI, Lee SH, Lwon HI,Hwang B, Lee HY. 1999.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J Medicinal Crop Sci 7: 263-268. 

  3. Swift R, Davidson D. 1998. Alcohol hangover, mechanisms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22: 54-60. 

  4.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090. 

  5. Lieber CS. 1973. Liver adaptation and injury in alcoholism.New Eng J Med 288: 356-362. 

  6. Paek SC. 1993.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Korean J Biochem 25: 137-143. 

  7. Kim CI. 1999.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Food Ind Nutr4: 26-30. 

  8. Haisted CH. 1980. Alcoholism and malnutrition. Introduction to the symposium. Am J Clin Nutr 33: 2705-2708. 

  9. Bujanda L. 2000. The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up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m J Gastroenterol 95: 3374-3382. 

  10. Karkainen P, Mussalo-Rauhamaa H, Poikolainen K, LehtoJ. 1988. Alcohol intake correlated with serum trace elements.Alcohol 23: 279-282. 

  11. Janero DR. 1990. Malondialdehyde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ity as diagnostic indices of lipid peroxidation and peroxidative tissue injury. Free Radic Biol Med 9: 515-540. 

  12.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J Am Oil Chem Soc 52: 59-63. 

  13. Farag RS, Badei AZMA, Hewedi FM, El-Baroty GSA.1989.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on linoleic acid oxidant in aqueous media. J Am Oil Chem Soc 66: 792-798. 

  14. Park SK, Lee HJ, Kim DH, Deung YK, Yang EJ, Lim SJ,Ryang YS, Kim HW, Lee KJ. 2005. The effect of high-salted mineral water on blood pressure and sodium excretion.J Exp Biomed Sci 11: 275-279. 

  15. Miyamura M, Yoshioka S, Hamada A, Takuma D, YokotaJ, Kusunose M, Kyotani S, Kawakita H, Odani K, TsutsuiY, Nishioka Y. 2004. Difference between deep seawater and surface seawater in the preventive effect of atherosclerosis. Biol Pham Bull 27: 1784-1787. 

  16. Yohioka S, Hamada A, Cui T, Yokota J, Yamamoto S,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Kaneda R, TsutsuiY, Odani K, Odani I, Nishioka Y. 2003. Pharmacological activity of deep-sea water: Examination of hyperlipemia prevention and medical treatment effect. Biol Pharm Bull 26:1552-1559. 

  17. Jung SJ, Joo EJ, Yoo JY, Kim YK, Cho YJ, Yoon BS, ChoJK, Nam KT, Hwang SG. 2006. Effect of the supply of natural water from deep sea rock on the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Korean J Anim Sci 48: 211-218. 

  18.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19. Kwon KH, Cha WS, Kim DC, Shin HJ. 2006.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05-409. 

  20. Cha HS, Park MS, Park KM.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409-415. 

  21. Deshpande UR, Gadre SG, Raste AS, Pillai D, Bhide SV,Samuel AM. 1998. Protective effect of tumeric (Curcuma longa L.)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in rats. Indian J Exp Biol 36: 573-577. 

  22. Mesa MD, Aguilera CM, Ramirez TCL. 2003. Oral administration of a tumeric extract inhibits erythrocyte and liver microsome membrane oxidation in rabbits fed with an atherogenic diet. Nutrition 19: 800-804. 

  23.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ecinal plants (I). Korean J Pharmacogn23: 264-267. 

  24. Das M, Sur P, Gomes A, Vedasiromoni JR, Ganguly DK.2002. Inhibition of tumor growth and inflammation by consumption of tea. Phytother Res 1: 40-44. 

  25. Lee JH, Lee SR.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26. Dewanto V, Xia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50: 4959-4964. 

  27.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Japan. p 61. 

  28.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 Wiss Technol 28: 25-30. 

  29. Bergmeyer HU. 1974. Alcohol dehydrogen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Vol 1, p 428-429. 

  30. Bostian KA, Betts GF. 1978.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 of potassium-activated aldehyde dehydrogen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Biochem J 173: 787-798. 

  31. Lee SE, Han HS, Jang IB, Kim GS, Shin YS, Son YD, ParkCB, Seong NS. 200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Mentha viridis L. and Mentha piperit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55-260. 

  32.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EastAsian Soc Dietary Life 12: 23-31. 

  3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4. Jeong JH, Wee JJ, Shin JY, Cho JH, Jung DH. 2005.Antioxidative effect of crude saponin fraction prepared from culture product of basidiomycota cultured with fresh ginseng as substr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7-72. 

  35. McCord JM,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at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 

  36. Kim YK. 2004. Antioxidants. Ryo Moon Gak P. Co., Seoul, Korea. p 5-95. 

  37. Cross C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Saul RA, McCord JM, Harman D.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07: 526-545. 

  38. Allen KGD, Klevay LM. 1994. Copper: an antioxidant nutrient for cardiovascular health. Curr Opin Lipidol 5: 22-28. 

  39. Bettger WJ, O'ell BL. 1981. A critical physiological role of zinc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iomembranes. Life Sci 28: 1425-1438. 

  40. Qing J, Park JR, Kim JB, Cha MH. 1999. Physiological activity of Zizyphus jujub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93-598. 

  41. Park EM, Ye EJ, Kim SJ, Choi HI, Bae MJ.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71-75. 

  42. Jung YJ, Han DO, Choi BH, Park C, Lee HJ, Kim SH, HahmDH. 2007.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Korea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387-391. 

  43. Lebsack ME, Gordon ER, Lieber CI. 1981. Effect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on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n the baboon. Biochem Pharm 30: 2273-2277. 

  44. Park TH, Kim JW, Joo CN. 1985.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Korean Biochem J 18: 279-284. 

  45. Lee IS, Lee SO, Kim HS. 2002.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11-416. 

  46.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47. Reinhold JG, Pascoe E, Arslanian M, Bitar K. 1970. Relation of zinc metalloenzyme activities to zinc concentrations in tissues. Biochem Biophys Acta 215: 430-437. 

  48. Underwood EJ. 1977. Trace elements in human and animal nutrition. 4th ed.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 196-242. 

  49. Van Meijl LE, Vrolix R, Mensink RP. 2008. Dairy product consump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Nutr Res Rev21: 148-157. 

  50. Zimmerman HJ, Seeff LB. 1970. Enzymes in hepatic disease. In Dagnostic Enzymology. Goodley EL, ed. Lea and Febiger Publisher, Philadelphia, PA, USA. p 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