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의 중년이후 성인의 염분 민감도에 따른 짠 음식 섭취 관련 식행동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alty Food Intake of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according to Saline Sensitivit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6, 2011년, pp.537 - 550  

김미경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한 장일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영진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유병율이 높고 소금이 다량 함유된 김치, 장아찌, 장류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농촌 성인의 고혈압 및 만성 퇴행성 질병의 유병율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농촌의 중년기 이후 성인의 식습관 및 건강습관과 식염섭취 행동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충북 옥천군의 옥천읍과 8개면 성인 주민을 대상으로 비례추출에 의해 402가구를 선정하고 가구당 1인씩 총 402인을 유의 추출하였다. 1% 소금물에 대한 짠맛 민감도를 조사하여 민감군, 보통군, 둔감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의 식행동과 주변인의 영향과 지원을 분석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는 남자 133명 (33.1%), 여자 269명 (66.9%), 총 402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pm}9.4$세로 남녀 모두 61~70세 (40.0%)가 가장 많았다. 2) 조사대상자의 평균 체질량 지수 (kg/$m^2$)는 남자 $23.6{\pm}3.5$, 여자 $24.6{\pm}3.3$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과체중의 경향이 컸다. 허리-엉덩이 둘레비 (WHR)도 남자 $0.90{\pm}0.12$, 여자 $0.92{\pm}0.49$로 여자가 높았고, 연령별로는 모두 50~64세 (남 $0.92{\pm}0.13$, 여 $0.98{\pm}0.74$)에서 가장 높았다가 65세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남 $0.89{\pm}0.09$, 여 $0.90{\pm}0.05$). 3) 평소 먹는 음식의 간에 대한 응답에서 보통으로 먹는다 38.1%, 짜지 않게 먹는다 35.1%, 짜게 먹는다 26.9%의 순서로 많았는데, 65세 이상의 최고령층에서 짜게 먹는다는 응답이 34.6%로 가장 많았다. 음식 간에 대해 자녀보다 더 짜게 먹는 다는 응답도 65세 이상의 최고령층에서 가장 높았다 (p < 0.01). 1% 소금물에 대해 50.3%는 짜다, 41%는 보통이다, 8.7%는 싱겁다고 응답하였다. 4) 식염섭취 관련 식습관 및 식행동 조사에서 짠맛 둔감군은 보통군이나 민감군에 비해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비율이 낮은데 반해, 과식비율, 10분 이내의 식사속도, 편식, 튀김선호 비율이 세 군 중 가장 높았다. 5) 식염섭취에 대한 견해 및 행동에서 짠맛 둔감군이 짠 음식을 습관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짠 음식 섭취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 짜게 먹는 습관을 바꾸겠다는 의지나 실천도도 가장 낮았다. 6) 식염섭취 감소를 위한 지원이나 영향력이 가장 큰 사람은 배우자 등 가족보다 의료 및 영양 전문가들 (각각 58.4%, 56.8%)이었다. 7) 식염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 조사에서 식염 섭취 조절이 어렵다고 답한 경우는 매끼니 (46.3%), 배우자가 짠 음식을 좋아할 때 (45.2%), 외식 할 때 (36.3%)의 순으로 높았다. 특히 민감군은 매 끼니, 외식시, 배우자가 짠 음식을 좋아하는 경우 모두에서 식염조절 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8) 식품군별 섭취빈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식품군은 채소류, 과일류, 매운 음식류로서, 민감군에서 채소류와 과일류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둔감군은 매운 음식류에 대한 섭취빈도가 높았다. 농촌의 중년기 이후 성인의 식습관 및 건강습관과 식염섭취 행동을 조사한 결과, 짠 음식 섭취가 습관화된 행태를 보이며 식염 섭취와 인식정도에 비해 식염 저감을 위한 실천정도는 낮아 주민들이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저염섭취를 위한 식생활 실천방안의 제시가 요구된다. 또한 의료 및 영양전문가들을 통한 영양교육과 배우자 등 가족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고 산업체에서의 저염식품 개발 등을 유도하여 염분섭취 감소를 위한 식생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alty food intake according to saline sensitivity of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Anthropometry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salt intake-related dietary behavior was surveyed by questionnaires through interviews with 402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만성질환의">만성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의 80% 이상이 중년 이상의 인구로 구성되어있는 농촌 주민을 대상으로 짠맛 민감도를 조사하고 이 민감도에 따라 농촌 주민들의 짠 음식 섭취관련 식행동과 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농촌 주민들의 고혈압의 본 연구는 옥천군 지역 건강증진 계획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건양대학교 운동처방학과의 운동습관 조사와 함께 이루어졌다. 주민의 85%가 농업에 종사하는 옥천군의 옥천읍과 8개 면에서 무작위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유병율이 높고 소금이 다량 함유된 김치, 장아찌, 장류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농촌 성인의 고혈압 및 만성 퇴행성 질병의 유병율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농촌의 중년기 이후 성인의 식습관 및 건강습관과 식염섭취 행동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 행동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충북 옥천군의 후)사회심리적">사회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농촌 주민들의 고혈압의 식이위험 요인 파악과 이를 통한 심혈관질환 예방에 기여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압을 상승시키는 환경적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한국인의 사망 원인 중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이들 질환 중 뇌졸중, 순환기계 질환, 위암은 식염의 과다 섭취와 크게 연관되어 있다.3-6) 식염의 과잉섭취, 비만, 알코올 섭취, 운동 부족, 흡연 등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환경적 요인들로 특히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고혈압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05년 통계청의 사망원인 10대 질환에서 식생활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질환은 무엇인가? 2005년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사망원인 10대 질환 중 뇌혈관질환, 심장병, 위암,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은 특히 식생활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질환들로서 이들 5개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체 사망자의 61.9%를 차지하였다.
농촌 주민이 도시인보다 영양 불균형과 함께 고혈압 같은 만성 질환의 발병 소지가 높은 이유는?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밥 중심의 식사를 하면서 소금이 다량 함유된 김치, 장아찌, 장류 등을 섭취하여 짠맛에 대한 선호도가 강해 소금섭취량이 세계적으로 높은 국가에 속한다.8,9) 특히 농촌의 식생활은 현대화된 도시의 식생활에 비해 곡류, 김치, 장류, 장아찌 등의 섭취가 많아 나트륨의 섭취량이 약 15.5% 높을 뿐 아니라8,9) 영양소 섭취 또한 제한되어 영양 불균형과 함께 고혈압 같은 만성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의 80% 이상이 중년 이상의 인구로 구성되어있는 농촌 주민을 대상으로 짠맛 민감도를 조사하고 이 민감도에 따라 농촌 주민들의 짠 음식 섭취관련 식행동과 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oon HK, Kim EG. Comparing validity of body mass index, waist to hip ratio, and waist circumference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2005; 38(6): 445- 454 

  2. Marchioli R. Antioxidant vitamins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laboratory,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trial data. Pharmacol Res 1999; 40(3): 227-238 

  3. Cambien F, Chretien JM, Ducimetiere P, Guize L, Richard JL.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risk dependent on body mass index? Am J Epidemiol 1985; 122(3): 434-442 

  4. Khattar RS, Swales JD, Senior R, Lahiri A. Racial variation in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essential hypertension. Heart 2000; 83(3): 267-271 

  5. Kotchen TA. Contributions of sodium and chloride to NaCl-induced hypertension. Hypertension 2005; 45(5): 849-850 

  6. Choi YS, Kim YO, Suh I.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with sodium and potassium intake for adolesc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5; 24(4): 493-501 

  7. U.S DHHS. Surgeon general's reports on nutrition and health; 1988. p.149-152 

  8. Song MR, Lee KJ.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 stew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1): 84-91 

  9.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2 

  10. Choe M, Kim JD, Kim SS.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Na, K intakes pattern in the family members of normal and hypertension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6; 25(6): 1045-1049 

  11.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ictures of eye measurement of food, Seoul; 1999 

  12.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ood & nutrient intakes of Koreans in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8 

  13.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6. 

  14. Lee SG.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in the rural elderly. Research information center for health.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2; 27(1): 217-224 

  15. Lee YS, Lee MS, Lee GS, Yun SJ, Gee MR, Jung GH. A study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Okchungun. Report; 1999. 36. Available from: http://bogun.healthis.org/ health_r/data5-13.pdf 

  16. Hong SM, Choi SY. A study on meal management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6; 25(6): 1055-1061 

  17.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I.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7; 2 (4): 556-567 

  18. Jang HS, Kim M. A study on dietary status of elderly Koreans with 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1): 265-273 

  19. Lundin EA, Zhang JX, Lairon D, Tidehag P, Aman P, Adlercreutz H, Hallmans G. Effects of meal frequency and high-fibre rye-bread diet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ileal excretion of energy and sterols in ileostomy subjects. Eur J Clin Nutr 2004; 58: 1410-1419 

  20. Choi YS.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life style (health practices)-based on ridit analysis [dissertation]. Daegu: Daegu Haany University; 2003 

  21. Shin EK, Lee HJ, Lee JJ, Ann MY, Son SM, Lee YK.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55). Korean J Nutr 2010; 43(1): 79-85 

  22. Cho YY.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94-400 

  23. Brown IJ, Tzoulaki I, Candeias V, Elliott P. Salt intakes around the worl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t J Epidemiol 2009; 38(3): 791-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