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피교육자의 성장과 발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필시험, 객관식 고사와 같은 전통적인 평가 방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행평가가 등장하였다. 수행평가는 피교육자가 과제를 완성한 정도나 상태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보활용교육은 피교육자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수행평가는 정보활용능력의 상태나 정도를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수행과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수자가 수행평가의 요건을 모두 고려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정보활용교육을 전개함에 있어서 수행과제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는 템플릿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4단계 즉, 교육목적 및 학습목표, 지식과 기능, 과제 유형, 측정 및 채점기준으로 구성하였다.
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피교육자의 성장과 발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필시험, 객관식 고사와 같은 전통적인 평가 방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행평가가 등장하였다. 수행평가는 피교육자가 과제를 완성한 정도나 상태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보활용교육은 피교육자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수행평가는 정보활용능력의 상태나 정도를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수행과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수자가 수행평가의 요건을 모두 고려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정보활용교육을 전개함에 있어서 수행과제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는 템플릿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4단계 즉, 교육목적 및 학습목표, 지식과 기능, 과제 유형, 측정 및 채점기준으로 구성하였다.
In education, evalu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because instructor can judg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it has been to bring about quality improvement in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has emerged to overcome traditional evaluation such as paper test, multiple choice test. Performan...
In education, evalu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because instructor can judg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it has been to bring about quality improvement in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has emerged to overcome traditional evaluation such as paper test, multiple choice test. Performance assessment is an approach to measuring a student's status based on the way the student completes a specified task.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s aimed at cultivating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assessment suitable for measurement to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 order to performance assessment, task should have the first. However, instructor is difficult to develop a good performance task to meet the assessment need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the developmental tool of performance task applicable to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e proposed tool is a template type, consists of 4 steps, educational goals and learning objective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ask types, measurement and scoring criteria.
In education, evalu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because instructor can judg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it has been to bring about quality improvement in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has emerged to overcome traditional evaluation such as paper test, multiple choice test. Performance assessment is an approach to measuring a student's status based on the way the student completes a specified task.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s aimed at cultivating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assessment suitable for measurement to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 order to performance assessment, task should have the first. However, instructor is difficult to develop a good performance task to meet the assessment need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the developmental tool of performance task applicable to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e proposed tool is a template type, consists of 4 steps, educational goals and learning objective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ask types, measurement and scoring criteri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교육평가는 궁극적인 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성취되었는가를 확인 · 판단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과제의 특성, 좋은 수행과제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추출하고, 기존의 수행과제 개발 모형을 분석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수행과제 개발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고자 하는 수행과제 개발도구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가 수행과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목적이 있으며, 서식의 지침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채울 수 있는 템플릿 형태로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과제의 특성, 좋은 수행과제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추출하고, 기존의 수행과제 개발 모형을 분석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수행과제 개발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고자 하는 수행과제 개발도구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가 수행과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목적이 있으며, 서식의 지침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채울 수 있는 템플릿 형태로 개발하고자 한다. 수행과제 개발 모형은 교육 분야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는 Herman과 권대훈 모형, 정보활용교육에 있어서 평가 모형을 제시한 Oakleaf의 ILIAC 모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보활용교육은 정보활용에 대한 지식 전달보다는 교과학습이나 실제 상황에서 야기되는 정보 과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Thomas는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서 수행평가 전략을 들고 있으며, 이용자의 실제 상황을 고려한 수행과제가 적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수행과제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부분 초 · 중등학교의 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교육 분야의 수행과제 개발 모형 연구에서 널리 알려진 허만과 국내의 권대훈 모형, 정보활용교육에 있어서 평가 모형을 제시한 Oakleaf의 ILIAC 모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반영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과제의 유형, 수행과제의 요건, 수행과제 개발의 절차 등을 고려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를 템플릿 형태로 제안하고자 한다. 템플릿은 설계를 위한 지침이나 틀 구조를 말한다.
위깅스와 멕타이는 교수자가 수업에 적용할 수행과제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목표(goal), 역할(role), 대상(audience), 상황(situation), 수행(performance)결과, 기준(standard)의 머리글자를 따서 GRASPS라는 수행과제 개발 모형을 <표 4>와 같이 제시한 바 있다. 위깅스와 멕타이의 GRASPS 모형을 참고하되, 수행과제의 유형과 요건, 수행과제 개발 절차 등을 고려하여 재구성하고자 한다.22)
수행과제의 유형은 수행과제의 소재(교과 및 강좌 연계, 실생활 연계), 과제 형태(정형 과제, 비정형과제), 과제 반응(닫힌 반응, 열린 반응), 도구 활용(구체적 조작물, 정신적 조작물) 등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수행과제의 요건에 해당하는 교육목표와의 일관성 및 구체적 실현성, 피교육자가 습득해야 할 지식과 기능의 포괄성, 결과와 과정의 측정성,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수준의 적절성, 현실 세계의 반영과 실세계와의 맥락성, 다양한 평가 목적 달성 및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구조화 등은 별도의 항목을 설정하기 보다는 다른 요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반영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동일한 패턴이나 형식으로 수행해야 하는 닫힌 반응과 자유롭게 수행하는 열린 반응으로 구분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글을 읽고 독서감상문을 작성하는 수행과제를 부여한다고 할 때 저자, 줄거리, 감명 받은 문구, 소감 등 일정한 패턴을 주고 감상문을 작성케 한다면 정형과제, 닫힌 반응에 해당하며, 자유로운 형식에 의거 독서감상문을 작성토록 한다면 비정형, 열린 반응의 수행과제가 될 것이다.
제안 방법
제안하고자 하는 수행과제 개발도구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가 수행과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목적이 있으며, 서식의 지침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채울 수 있는 템플릿 형태로 개발하고자 한다. 수행과제 개발 모형은 교육 분야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는 Herman과 권대훈 모형, 정보활용교육에 있어서 평가 모형을 제시한 Oakleaf의 ILIAC 모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교수활동과 평가를 하나로 봄으로써 학습을 촉진하며, 단편적인 영역에 대한 일회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전체적인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지향한다.
오크리프는 정보활용교육에 있어서 전문 혹은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이 초 · 중등교육 혹은 대학교수에 비해 교육평가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함을 지적하면서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평가 모형 즉, ILIAC(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ssessment Cycle)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 분야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행과제의 특성과 요건을 고려하되, 정보활용교육이 갖는 특징 특히, 정보활용과정이 반영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 도구를 제안한다.
둘째, 템플릿에 제시된 요소와 순서를 따라 가면서 작성하면 전체적으로 수행과제가 완성될 수 있도록 템플릿 형태로 수행과제 도구를 제안한다. 위깅스와 멕타이는 교수자가 수업에 적용할 수행과제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목표(goal), 역할(role), 대상(audience), 상황(situation), 수행(performance)결과, 기준(standard)의 머리글자를 따서 GRASPS라는 수행과제 개발 모형을 <표 4>와 같이 제시한 바 있다.
셋째, 수행과제의 유형과 수행과제의 요건을 반영하고, 수행과제 개발 절차를 고려하여 제안한다. 수행과제의 유형은 수행과제의 소재(교과 및 강좌 연계, 실생활 연계), 과제 형태(정형 과제, 비정형과제), 과제 반응(닫힌 반응, 열린 반응), 도구 활용(구체적 조작물, 정신적 조작물) 등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수행과제의 유형과 수행과제의 요건을 반영하고, 수행과제 개발 절차를 고려하여 제안한다. 수행과제의 유형은 수행과제의 소재(교과 및 강좌 연계, 실생활 연계), 과제 형태(정형 과제, 비정형과제), 과제 반응(닫힌 반응, 열린 반응), 도구 활용(구체적 조작물, 정신적 조작물) 등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수행과제의 요건에 해당하는 교육목표와의 일관성 및 구체적 실현성, 피교육자가 습득해야 할 지식과 기능의 포괄성, 결과와 과정의 측정성,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수준의 적절성, 현실 세계의 반영과 실세계와의 맥락성, 다양한 평가 목적 달성 및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구조화 등은 별도의 항목을 설정하기 보다는 다른 요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반영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림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보통 교육 분야에서는 학습 성과를 추리기능, 의사소통 기능, 심동적 기능 등 일반적인 기능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템플릿)에서는 정보활용과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능을 중심으로 구조화하였다. 템플릿에 제시한 기능은 아이젠버그와 버코비츠의 ‘Big6 Skills’ 모형에 제시된 기능을 바탕으로 하였다.
템플릿에 제시한 기능은 아이젠버그와 버코비츠의 ‘Big6 Skills’ 모형에 제시된 기능을 바탕으로 하였다. 다만, 6가지의 기능(과제 정의, 정보탐색전략 수립, 정보소재확인 및 접근, 정보 이용, 정보 종합, 정보 평가) 중에서 정보탐색전략 수립, 정보소재확인 및 접근은 정보탐색으로 통합하였고, 정보이용은 정보분석과 해석으로, 정보종합은 정보종합과 표현으로 명칭을 수정하였다. 특히, 템플릿에 제시된 기능은 피교육자에게 어떤 활동을 부여함으로써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수행과제를 개발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세부 기능을 열거(예, 정보분석 및 해석 : □ 특정 정보 확인, □ 비교/대조, □ 순서/열거 등)하고, 해당 부분에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템플릿에 제시된 기능은 피교육자에게 어떤 활동을 부여함으로써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수행과제를 개발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세부 기능을 열거(예, 정보분석 및 해석 : □ 특정 정보 확인, □ 비교/대조, □ 순서/열거 등)하고, 해당 부분에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피교육자들이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산출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알 수 있도록 말에 의한 표현, 글에 의한 표현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해당 부분에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만, 템플릿에 제시된 기능은 피교육자들에게 어떤 학습 활동을 시킬 것인가를 사전에 구상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우선 다른 교과 및 강좌 혹은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제 소재’를 제시하였으며, 정해진 순서와 해법에 따라 과제를 해결하는 정형 과제와 새로운 해결책을 필요로 하는 비정형 과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행과제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따라서 설명(사건, 아이디어를 ‘왜, 어떻게’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능력), 해석(의미를 제공하는 서술이나 변환 능력), 적용(지식을 새로운 상황이나 다양한 맥락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관점(비판적이고 통찰력 있는 견해를 갖는 능력), 공감(타인의 감정과 세계관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자기지식(자신의 무지를 아는 지혜 혹은 자신의 사고와 행위를 반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수행과제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따라서 설명(사건, 아이디어를 ‘왜, 어떻게’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능력), 해석(의미를 제공하는 서술이나 변환 능력), 적용(지식을 새로운 상황이나 다양한 맥락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관점(비판적이고 통찰력 있는 견해를 갖는 능력), 공감(타인의 감정과 세계관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자기지식(자신의 무지를 아는 지혜 혹은 자신의 사고와 행위를 반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능력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어휘 수준(예, 관점 : 통찰력 있는 → 무비판적인)을 열거하여 채점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측정 및 채점 기준에서 사용한 6가지 능력(설명,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은 위깅스와 멕타이가 제시한 이해의 수준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과제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즉, 수행과제의 특성과 종류, 좋은 수행과제의 요건, 수행과제의 절차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행과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를 템플릿 형태로 제안하였다. 수행과제 개발을 위한 도구인 템플릿은 교수자들이 서식의 항목을 따라 가면서 체크하거나 필요한 사항을 기술하면 바로 수행과제를 도출해 낼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첫째, 수행과제 개발도구는 서식 형태의 템플릿으로 제안하였으며, 수행과제 개발 절차를 고려하여 1단계(교육목적 및 학습목표 확인), 2단계(지식과 기능), 3단계(과제 유형), 4단계(측정 및 채점 기준)로 구성하였다.
이론/모형
템플릿에 제시한 기능은 아이젠버그와 버코비츠의 ‘Big6 Skills’ 모형에 제시된 기능을 바탕으로 하였다.
성능/효과
첫째, 정보활용능력은 정보요구의 인지와 파악 기능, 정보탐색 기능, 정보분석 및 종합기능, 정보 표현 및 전달 기능 등 새로운 기능의 총체이다.
셋째, 정보활용능력은 인쇄, 영상, 전자 매체 등 모든 매체를 대상으로 하며 독서능력, 비주얼 리터러시, 컴퓨터 리터러시, 네트워크 리터러시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넷째, 정보활용능력과 더불어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평생학습능력, 창의력 등은 모두 결과와 동시에 과정을 중시하며 상호 관련이 있다.
Thomas는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서 수행평가 전략을 들고 있으며, 이용자의 실제 상황을 고려한 수행과제가 적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12) Vance와 Nickel은 개념도, 관찰, 체크리스트, 학습일지, 노트작성 등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실제 수행평가 도구를 제시하여 과제 중심의 교수법과 수행평가를 강조하고 있다.1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허만, 권대훈, 오크리프의 ILIAC 모형을 중심으로 수행과제 개발 과정을 분석한 결과 모형마다 사용하고 있는 용어나 단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내용상으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공통점을 바탕으로 수행과제를 개발하기 위한 전반적인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셋째, 실생활이나 다른 교과 혹은 학문 분야와 연계할 수 있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후속연구
이상에서 제시한 수행과제의 요건은 앞서 분석한 수행과제의 유형과 더불어 수행과제를 개발, 적용할 때에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에 해당하며, 교수자가 수행과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도 반영되어야 할 요소이다.
둘째, 교수-학습 목적 및 목표에 근거하여 교육 전개 시간에 다루어야 할 지식과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넷째, 피교육자가 수행해야 할 학습 활동을 세부 기능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최종 학습 결과물이 무엇인가를 명료화할 수 있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피교육자가 수행한 학습 활동의 수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채점 준거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템플릿의 각 항목이나 요소별로 교수자가 직접 문장으로 기술하거나 필요한 요소에 체크 표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수행과제를 개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행과제 개발도구는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학이나 학교 등 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과제 유형 즉, 과제의 소재, 과제 형태, 과제 반응에 대한 추가 연구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교수자가 특정 지식을 전달하거나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면 강의 형태로 가르치고, 시험에 의한 지필고사로 평가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지식을 습득하기 보다는 실무적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면 강의보다는 실습에 의한 교수법과 실기평가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활용교육의 목적은?
정보활용교육은 이용자의 정보활용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정보활용능력이란 말은 Zurkowski가 1974년에 NCLIS(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교육평가의 목적은?
교육평가를 초 · 중등학교의 중간고사나 기말고사 혹은 진학시험과 같이 지식의 습득 정도를 측정하는 객관식 시험으로 오해함으로써 야기된 현상으로 판단된다. 교육평가는 궁극적인 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성취되었는가를 확인 · 판단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교육평가는 단순히 가르친 내용의 숙달 정도를 측정하여 점수 매기는데 그치지 않고, 어떻게 가르칠 것이며 피교육자들에게 어떤 활동을 시켜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것이냐 하는 거시적인 문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전통적인 평가에 비해 수행평가가 갖고 있는 특징은?
첫째, 교수활동과 평가를 하나로 봄으로써 학습을 촉진하며, 단편적인 영역에 대한 일회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전체적인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지향한다.
둘째, 고정되어 있는 선택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개방형의 과제에 대하여 피교육자들이 반응을 구성하거나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피교육자에게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며, 분석하고, 연구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허용하며 피교육자의 이러한 활동은 판단력, 문제해결력, 고등사고능력, 의사소통과 같은 복합적인 기술을 포함한다.
셋째, 수행평가는 피교육자가 풍부한 반응을 구성하고 산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필요로 하며, 피교육자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넷째, 학습의 결과는 물론 과정도 중요한 평가대상으로 삼는다. 수행평가의 점수화 방법은 학생들의 수행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판단에 기초한다. 따라서 수행평가에서는 점수 부여 기준이나 준거를 개발해야 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