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수행과 관련 요인
Rol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the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4, 2011년, pp.524 - 537  

황윤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the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CRC). Methods: A quantita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34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in 4 hospit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있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로서의 현재 역할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 정립 및 인적 자원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수행 정도와 역할수행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역할수행 관련 요인과 역할수행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임상시험을 시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관 총 142개 중 2008년 ~ 2010년 6월말까지 식약청에서 승인된 임상시험 총 1002건(식약청 임상시험 승인현황 통계자료, 2010)중 임상시험 시행 건이 가장 많은 4대 기관에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근무기간이 3개월이 지난 임상연구코디네이터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수행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논의는 연구목적에 따라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수행 관련 요인, 역할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역할수행 관련 요인과 역할수행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임상연구코디네이터로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임상시험과 관련된 대부분의 행정적 책임을 담당하고 시험자측과 의뢰자측을 연결하며, 모니터의 방문에 앞서 자료를 검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KoNECT, 2011), 단순한 자료 수집이나 관리상의 지원을 뛰어넘어 질 좋은 자료를 모으는데도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Rico-villademoros et al, 2004). 임상연구코디네이터로 간호사 이외에도 약사, 임상병리사 등이 참여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임상연구코디네이터는 의학, 약학 및 임상시험에 대한 기본지식을 겸비해야 함은 물론 임상시험 참여자와 임상자료에 대한 이해와 접근성이 높아야 하기에 간호사가 가장 적합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에도 .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다수를 간호사가 차지하고 있고(Bowen & Rice, 1998), 연구의 대상이 되는 특정 질환 집단에 대해 지식과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임상시험 환자군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자료의 질과 임상시험 절차에 따른 순응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Spilsbury, Petherick, Cullum, Nelson, Nixon, & Mason, 2008).
본 연구에서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업무를 중심으로 분류한 네 가지 영역은 무엇인가?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 수행의 영역별 분류는 그 수행 업무를 어떻게 볼 것이냐가 중요한데 Rico-Villademoros 등(2004)은 종양임상시험에서의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업무를 행정적 활동, 임상적 활동, 모니터링 활동, 자료 관리와 통계 연구자 관련 활동의 5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활동을 조사하였고, Bird 등(2005)은 암 환자를 돌보는 영역에서의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을 사정, 임상, 의사소통, 상담, 비판적 사고, 관리, 리더십, 협동작업과 조정, 자율적 수행을 촉진하는 지식과 경험, 교육, 도움/돌봄 역할로 분류한 반면, Hill과 MacArthur(2006)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역할을 교육자, 협력자, 직접간호제공자, 돌봄과 연구의 조정자로,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와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2005)에서는 교육자, 대변자, 직접간호제공자, 임상시험 진행자로, Hwang(2008)은 행정적 업무, 직접적인 실무제공 업무, 모니터링 업무, 연구관련 업무, 교육 및 상담 업무, 옹호 및 조정 업무의 6개 영역으로 연구자 마다 다르게 분류하여 제시한 것을, 본 연구에서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업무 중심으로 4영역으로 분류를 하였다. 우선 크게는 임상시험의 대상자인 피험자를 중심으로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대상자 관리 영역으로 피험자 등록부터 이후 피험자와 관련된 임상시험 과정 진행에서의 투약, 이상반응, 연구지원비 등의 관리와 임상시험과 관련된 부작용, 식이, 검사 등과 관련된 교육, 상담 등의 역할을 포함하였다. 둘째는 피험자를 둘러싼 임상시험의 제반 영역인 행정적 업무 영역으로 임상 시험 개시승인을 위한 서류 준비 및 비용 검토, 근거자료 관리 및 각종 서류작업 등의 역할을 포함하였다. 셋째는 임상시험이 연구계획서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 자원을 조정하고 피험자를 옹호하는 조정/옹호 업무영역으로 관련 부서와의 조정·협력 및 일정관리와 서면동의 취득과정에의 참여 등의 역할을 포함하였다. 넷째는 자기계발 영역으로 교육 및 학회참석, 자료개발, 외국어와 컴퓨터 활용 능력을 위한 학습 등의 역할을 포함하였다.
임상연구코디네이터란 무엇인가? 임상연구코디네이터는 의약품임상시험관리기준(GCP)의 원칙에 따라 책임연구자를 도와 임상시험을 지원하고 운영하는 사람으로 실질적으로 임상시험의 조정과 수행에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2005). 또한 임상시험과 관련된 대부분의 행정적 책임을 담당하고 시험자측과 의뢰자측을 연결하며, 모니터의 방문에 앞서 자료를 검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KoNECT, 2011), 단순한 자료 수집이나 관리상의 지원을 뛰어넘어 질 좋은 자료를 모으는데도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Rico-villademoros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s, J. (1994). The role of research nurse. Nursing Times, 90(36), 70-72. 

  2. Bird J., & Kirshbaum M. (2005). Towards a framework of advanced nursing practice for the clinical research nurse in cancer care. Clinical Effectiveness in Nursing, 9, 161-171 

  3. Bowen, K. E., & Rice, L. S. (1998). Who is clinical research nurse? Research Nurse, 4(4), 1-4. 

  4. Do, S. J. (2010). The role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t regional clinical trials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3), 348-359. 

  5. Han, H. S. (2008). Role accomplishmen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ce nurs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Hill G., & MacArthur J. (2006). Profession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role of the research nurse. Nursing Standard, 20(39), 41-47 

  7. Hwang, Y. S. (2008). Job analysis of clinical research nurse in oncolog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8. Jeong, I. S., Kang, H. S., & Kim, W. O. (2005).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preferred educational and certification program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3(2), 195-207. 

  9. Kang, H. S., Kim, W. O., Jeong, I. S., & Baek, J. M. (2004a). The working conditions and clinical trial practice of research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9(2), 42-55. 

  10. Kang, H. S., Kim, W. O., Jeong, I. S., Choung, S. Y., & Shin, S. G. (2004b). Developing the infrastructure for clinical trial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2(2), 147-161. 

  11. Kang, H. S. et al. (2006). Developing the educational system for clinical trials(II). Kyung Hee Universit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2. Kim, J. S. (2008). Job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research nurs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yung-pook University, Taegu. 

  13. Kim, J. W., Yeom, Y. K., Lee, S. W., Lee, S. H., & Lee, Y. S. (2003). The study on the methods of activating clinical tria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policy research paper. 

  14. Kim, T. E., & Kim, K. H. (2009).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336-345. 

  15. Kirchhoff, K. T. (1993). The role of nurse researchers employed in clinical settings.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11, 169-181.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Clinical trials approved by KFDA. Retrieved October 10, 2011, from Korea National Enterprise for Clinical Trials Web site: http://www.konect.or.kr/html/02_clinic/clinic_03.jsp?header02&sub04 

  1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2005). The basic training program for clinical trial professional(clinical research nurse). 

  18. Korea National Enterprise for Clinical Trials. (2011). Clinical trial? Retrieved October 10, 2011, from Web site: http://www.konect.or.kr/html/02_clinic/clinic_01.jsp 

  19. Lee, S. Y. (2004). Role cognition of head nurses and factors affecting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1. Rickard, C. M., Roberts, B. L., Foote, J., & McGrail, M. R. (2007). Job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intensive care unit research coordinators: results from bina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640-1650. 

  22. Rico-Villademoros, F., Hernando, T., Sanz, J. L., Lopez-Alonso, A., Salamanca, O., Camps, C. & Rosell, R. (2004). The role of the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data manager- in oncology clinical trials. BioMedCentral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4:6. 

  23.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1). Role of research tea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24. Shin, J. Y., Shin, Jo, S. J., Yim, H. W., Jung, H. S., Lee, W. C., Park, Y. J., & Park, Y. M. (2007).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5(1), 57-70. 

  25. Spilsbury, K., Petherick, E., Cullum, N., Nelson, A., Nixon, J., & Mason, S. (2008). The role and potential contribu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to clinical trial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549-557. 

  26. Stephens-Lloyd, A. (2004). The extended role of the clinical research nurse: building an evidence base for practice. Nursing Times Research, 9, 18-27. 

  27. Tomamichel, M., Jaime, H., Degrate, A., De Jong, J., Pagani, O., Cavalli, F., & Sessa, C. (2000). Proposing phase I studies : patients', relatives', nurses' and specialists' perceptions. Annals of Oncology, 11, 289-294 

  28. Yanagawa H., Akaishi A., Miyamoto T., Takai S., Nakanishi R., & Irahara M. (2008). Role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in promoting clinical trials of drugs for surgical patients. International Archives of Medicine, 1(26), 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