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초밥 소비행동 분석
Sushi Consumption Behavior of Korean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Type among Consumer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6, 2011년, pp.574 - 582  

이경원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Korean consumers based on their food-related lifestyle typ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shi consumption and food-related lifestyle typ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00 Korean adults.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 외식 소비자의 특성별 초밥에 대한 인식이나 선호도,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초밥 시장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미시적 관점에서 외식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식 소비자 집단을 구성하는 하부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초밥 소비행동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초밥의 소비자를 효율적으로 세분화하고,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날 것의 부재료를 선호하지 않는 소극적 식생활 유형 군집의 소비자에게는 한식 메뉴를 적용한 부재료를 얹은 초밥을 제공하여 선호도를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초밥 시장의 소비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외식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라서 세분화된 시장에 맞게 기존의 부재료를 이용한 초밥과 함께 한식을 응용한 부재료를 얹은 초밥의 판매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20대 이상의 외식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군집을 나누어 유형화하고, 각 군집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초밥 인식 및 선호도, 초밥 소비행동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밥 시장을 구성하는 외식 소비자를 효율적으로 세분화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에 있는 초밥 시장의 타겟팅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밥이 개발된 시기는 언제인가? 배합초를 넣은 밥을 기본으로 만드는 초밥은 에도시대에 개발된 것이며 그 이전에는 생선을 장기보관하기 위해 밥과 해산물을 함께 발효시킨 발효음식이었다. 초밥의 시원이 되는 어장발효식품은 멀리 라오스와 타이의 국경지역 메콩강 유역 동북부지역으로 추정하고 있으며(石毛直道1995), 이 발효식품의 제법이 중국을 거쳐 일본으로 갔다는 것이 통설이다.
어장발효식품이 처음으로 등장한 지역은 어디인가? 배합초를 넣은 밥을 기본으로 만드는 초밥은 에도시대에 개발된 것이며 그 이전에는 생선을 장기보관하기 위해 밥과 해산물을 함께 발효시킨 발효음식이었다. 초밥의 시원이 되는 어장발효식품은 멀리 라오스와 타이의 국경지역 메콩강 유역 동북부지역으로 추정하고 있으며(石毛直道1995), 이 발효식품의 제법이 중국을 거쳐 일본으로 갔다는 것이 통설이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될 때 한국을 거쳤느냐 거치지 않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견이 있지만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역사학자인 시나노 오사무(#田 統)와 이시게 나오미치(石毛直道)는 초밥이 한국의 식해에서 전래되었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石毛直道 1995; #田 統1966).
일본 요리로써 오늘날의 초밥이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된 시기는 언제쯤인가?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될 때 한국을 거쳤느냐 거치지 않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견이 있지만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역사학자인 시나노 오사무(#田 統)와 이시게 나오미치(石毛直道)는 초밥이 한국의 식해에서 전래되었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石毛直道 1995; #田 統1966). 에도시대 이후 오늘날의 형태로 변화한 초밥이 언제 한국에 처음 소개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1923년 8월 12일 『동아일보』에 일본에서 유학한 경험이 있는 이서구(李瑞求, 1899-1982)가 쓴 「月尾島의 一夜」라는 글에 “스시 한 접시 五十錢”이라는 표현으로 미루어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 한국인의 일본에서의 경험과 일본인의 한국 내 거주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파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田 統. 1966. すしの本. 柴田書店. p 124 

  2. 石毛直道. 1985. 鹽辛.魚醬油.なれずし 論集 東アジアの食事文化. 平凡社. pp 235-237 

  3. Choi JH. 2009. A study on the type of food-related lifestyle.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pp 13-42 

  4. De Boer M, McCarthy M, Cowan C. 2004. Does the reduced food-related lifestyle questionnaire correctly classify new consumers? Journal of Food Products Marketing, 10:1-4 

  5. Fang CH, Lee HJ. 2009.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Taiwan. Application of the food-related lifestyle instrument. American Journal of Applied Sciences, 6:2036-2042 

  6. Grunert KG. 2006. Food quality: A means-end perspectiv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6(3):171-176 

  7. Grunert KG, Perrea T, Zhou Y, Huang G, Sorensen BT, Krystallis A. 2011. Is food-related lifestyle (FRL) able to reveal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non-Western cultural environments? Its adaptation and application in urban China. Appetite, 56:357-367 

  8. Han IK, Ha AH. 2009.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r by female consumers eating life style. Korean J. Food & Nutr, 22(2):177-184 

  9. Han JS, Lee YJ, Choi SH, Choi SK, Kwon SY, Choi YH. 2008.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 and image and preference of Japanes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3):322- 328 

  10. Hoek CA, Luning AP, Stafleu A, De Graaf C. 2004. Food-related lifestyle and health attitudes of Dutch vegetarians, nonvegetarian consumers of meat substitutes, and meat consumers. Appetite, 42:265-272. 

  11. Jeon KC. 2002. A study on the tourist hotels setting goals and controlling on portion standardization on Japanese restaurant - Based on the five-star hotels in Seoul -.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pp 7-65 

  12. Jung HS. 2011. A study on the purchase behavior of HMR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s by female consumer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 3-12 

  13. Kim BS. 2003. A study on the preference about Japanese food - Based on metropolitan area -.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pp 5-36 

  14. Kim JY, Park SS, Song HJ. 2005.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lacement(HMR) market by lifestyle: the case of department store in Kang-nam.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8(2):137-154 

  15. Kim MJ, Jung HS, Yoon HH.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od-related lifestyle of undergraduates and th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 Korean J. Food Culture, 22(2):210-217 

  16. Kim SY, Kim JY. 2002. A study on the patterns and preference of eating out of workers in JinJu. Korean J. Food Culture, 17(2):171-184 

  17. Kim HC, Won YE, Lee JE. 2007. An analysis of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es by food lifestyle types among Korean office workers. Journal of the Tourism Research, 34(7): 187-205 

  18. Ko JY, Jung MR. 2006. The selection attribute of the wine : Wine-related lifestyle approach.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9(1):51-67 

  19. Lee HW. 2010. Consumers attitude toward rice processed foods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 29-46 

  20. Lim YM. 2006. A study on the food-related life style to wine selection attribution.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pp 6-45 

  21. Oh SK. 2007. A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use of sea food buffet restaurant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University. p 11 

  22. Oh WK. 2008. A study on the HMR(Home Meal Replacement) marketing strategy of dietary life style through analysi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pp 15-53 

  23. Park JY. 2011.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of salad dressing purchases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s of housewives. Master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pp 15-28 

  24. Reid M, Li E, Bruwer J, Grunert KG. 2001. Food-related lifestyles in a cross-cultural context: Comparing Australia with Singapore, Britain, France and Denmark. Journal of Food Products Marketing, 7(4):57-65 

  25. Scholderer J, Brunsø K, Bredahl L, Grunert KG. 2004. Crosscultural validity of the food-related lifestyles instrument (FRL) within Western Europe. Appetite, 42:197-211 

  26. Yoon TH. 2005. A study of the motivation for eating out & selection attributes.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8(3):47-66 

  27. Korea Restaurant Association. 2011. http://www.ekra.or.kr. Accessed 31/08/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