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의가 강조된 일반화학실험이 예비교사의 글쓰기 능력 및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hemistry Concepts and Writ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8, 2011년, pp.1077 - 1091  

남정희 (부산대학교) ,  고미례 (부산대학교) ,  박덕찬 (부산대학교) ,  임재항 (부산대학교) ,  이동원 (부산대학교) ,  최애란 (켄트주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가 강조된 일반화학실험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화학개념 이해와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5개의 주제를 선정하여'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 SWH)'전략을 바탕으로 일반화학실험에 적합하도록 논의가 강조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 Summary Writing 검사 도구와 이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틀, 그리고 학생들의 화학개념이해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일반화학실험 강좌는 15주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3명의 실험집단은 5개의 논의가 강조된 일반화학실험 프로그램과 전통적 방식의 일반화학 실험을 병행하여 수행하였고, 16명의 비교집단은 전통적 방식의 일반화학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Summary Writing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영역인'Big Idea'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논의', '과학개념 이해', '수사적 구조'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화학개념 이해 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논의가 강조된 일반화학실험 프로그램이 일반화학실험에서의 학생들의 화학개념 이해와 글쓰기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hemistry concepts understanding and writing. Five topics about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ctivities were developed using Science Writing 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의과정 교수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글쓰기가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논의는 단순히 말로 하는 토론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사고와 글쓰기를 통한 개인적 활동과 협상적인 사회적 활동을 포함한다(Duschl & Ellenbogen, 2002). 따라서 논의과정 교수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글쓰기가 강조되고 있다(Voss & Means, 1991).
과학적 소양이란? 이처럼 미래 사회에서 과학적 소양을 갖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이며(Harms & Yager, 1981; NSTA, 1982, 1990), 1980년대 이후부터 일관성 있게 강조되어 왔다(조정일, 1991). 과학적 소양은 상황과 목적에 맞게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 능력이며, 과학에 대해 최소한의 수준에서 지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을 ‘과학적 소양이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Hurd, 1958). 이러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은 학생들에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계발을 통해 성취할 수 있으며, 또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좋은 의사 결정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에서(Collette & Chiappetta, 1984; Driver et al.
과학적 소양이 있는 사람이란? 이처럼 미래 사회에서 과학적 소양을 갖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이며(Harms & Yager, 1981; NSTA, 1982, 1990), 1980년대 이후부터 일관성 있게 강조되어 왔다(조정일, 1991). 과학적 소양은 상황과 목적에 맞게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 능력이며, 과학에 대해 최소한의 수준에서 지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을 ‘과학적 소양이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Hurd, 1958). 이러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은 학생들에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계발을 통해 성취할 수 있으며, 또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좋은 의사 결정자를 양성한다는 측면에서(Collette & Chiappetta, 1984; Driv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교원정책과. 

  3. 교육부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5.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Hand, B.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6. 이강님 (2007). 구성주의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과학 개념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 글쓰기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리포트. 

  8. 이효녕, 조현호, 손정주 (2009). 학교과학교육에 서의 논증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66-679. 

  9. 조정일(1991). 과학-기술-사회 교육과정에 관한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87-101. 

  10. Bodmer, G. M. (1986). Constructivism: A theory of knowledge.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63(10), 873-878. 

  11. Burke, K. A., Greenbowe, T. J., & Hand, B. M. (2006). Implement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the chemistry laborato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3(7), 1032-1038. 

  12.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on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1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4. Collette, A. T., & Chiapetta, E. L. (1984).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St. Louis: C.V. Mosby Company 

  15. Connolly, P., & Vilardi, T. (Eds.). (1989). Writing to learn mathematics and scien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6. Cooper, M. M. (2005). An introduction to small-group learning. In N. J. Pienta, M. M. Cooper, & T. J. Greenbowe (Eds.), Chemists' guide to effective teaching, 117-128.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17. Dewey, J. (1916). How we think. Lexington, MA: D. C. Heath. 

  18.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19.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20. Driver, R., & Oldham, V. (1986).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3, 105-122. 

  21. Duschl, R., Ellenbogen, K., & Erduran, S. (1999). Middle school students' dialogic argumentation. Paper presented at the Europea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Kiel, Germany. 

  22. Duschl, R. & Ellenbogen, K. (2002). Argumentation processes in science learning. Paper presented at an International Conference entitled Ontological, Epistemological, Linguistic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of Language and Science Literacy: Empowering Research and Informing Instruction. University of Victoria, BC. 

  23. Eisenberg, A., & Garvey, C. (1981). Children's use of verbal strategies in resolving conflicts. Discourse Processes, 4(2), 149-170. 

  24. European Commission (1995). White paper on education and training: Teaching and learning-toward the learning society (white paper).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in European Countries. 

  25. Halliday, M. A., & Martin, J. 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London: Falmer Press. 

  26. Hand, B., Norton-Meier, L., Staker, J., & Bintz, J. (2006). When science and literacy meet in the secondary learning space: Implement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University of Iowa. 

  27. Hand, B., Prain, V., Lawrence, C., & Yore, L. D. (1999). A writing in science framework designed to enhance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0), 1021-1035. 

  28. Harms, N. C. & Yager, R. E.(1981).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 3. Washington D. C. :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94-112. 

  29. Hodson, D. (1998).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owards a personalized approach. Buckingham &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30. Hohenshell, L. H. (2004). Enhancing science literacy through implementation of writingto- learn strategies : Exploratory studies in high school biology.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31. Hohenshell, L. M., & Hand, B. (2006). Writing-to-learn strategies in secondary school cell biology: A mixed metho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61-289. 

  32. Hurd, P. (1958). Scientific literacy: Its meaning for american school. Education Leadership, 16(1), 13-16. 

  33.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34.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62(2), 155-178. 

  35. Means, M. L., & Voss, J. F. (1996). Who reasons well? Two studies of informal reasoning among children of different grade, ability, and knowledge levels. Cognition and Instruction, 14(2), 139-178. 

  36. Munby, A. H. (1980). Analysing teaching for intellectual independence. In H. Munby, G. Orpwood, & T. Russell (Eds.), Seeing curriculum in a new light: Essay from science education. Toronto: OISE Press.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8. Norris, S. (1997). Intellectual independence for nonscientists and other content-transcendent goal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1(2), 239-258 

  39. NSTA (1982).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 Atistsn NSTA Position Statement, NSTA, Washington D. C. 

  40. NSTA (1990). Science-Technology-Society: A New Effect for Providing Appropriate Science for All. An NSTA Position Statement, NSTA. Washington D. C. 

  41. Osborne, J., Collins, S., Ratcliffe, M., Millar, R., & Duschl, R. (2003). What "ideasabout- science"should be taught in school science? A delpi study of the expert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7), 692-720. 

  42.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43. Phillips, L. M., & Norris, S. P. (1999). Interpreting popular reports of science: What happens when the readers' world meets the world on pap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3), 317-327. 

  44. Prain, V., & Hand, B. (1996).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Rethinking practi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6), 609-626. 

  45. Rivard, L. P., & Straw, S. B. (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5), 566-593. 

  46. Schwarz, B., & Glassner, A. (2003). The blind and the paralytic: Supporting argumentation in everyday and scientific issues. In J. Andriessen, M. Baker, & D. Suthers (Eds.), Arguing to learn: Confronting cognition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227-260. 

  47. Shiland, T. W. (1999). Constructivism: The implications for laboratory work.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1), 107-109. 

  48. Stein, N. L., & Bernas, R. (1999). The early emergence of argumentative knowledge and skill. In G. Rijlaarsdam, E. Esperet (Series eds.), Andriessen, J. E. B., Coirier, P. (Vol. Eds.), Studies in writing 5: Foundations of argumentative text processing.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49. Stein, N. L., & Miller, C. A. (1991). I winyou lose: The development of argumentative thinking. In J. F. Voss, D. N. Perkins, & J. W. Segal (Eds.), Informal Reasoning and Education. Hillsdale, NJ: Erlbaum. 

  50.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Voss, J. F., & Means, M. L. (1991). Learning to reason via instruction in argumentation. Learning and Instruction, 1, 337-350. 

  52. Yore, L. D., Bisanz, G. L., & Hand, B. M. (2003). Examining the literacy component of science literacy: 25 years of language arts and scienc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89-725. 

  53.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