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The Gifted Students' View on Argumentation and the Aspects of the Argumentation in Problem-Solving Type Experi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4, 2011년, pp.567 - 586  

신호심 (한국교원대학교) ,  김현주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논의 양상을 확인하고 논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매우 활발한 논의활동이 확인되었으나 차시에 따른 논의 질 향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 전반에 걸쳐 대화적 논의과정 요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그 중 요청 및 요청응답의 비율이 높았다. 빈도는 낮지만 한정과 근거질문이 3차시에서만 나타났고, 차시에 따라 단순호응이 줄면서 강화 및 정교화, 메타질문의 빈도는 약간씩 높아졌다. 교사가 주도하는 일부 학습 단계에서 학생들의 논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등 단계별 논의 양상이 교사의 수업 접근 방식과 관련 있음이 확인되었고, '문제해결활동 및 결과분석'에서 이전의 단계보다 2배 많은 논의과정 요소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은 영재 학생들의 논의 활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본 탐구실험에서 자유로운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였고 논의활동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논의를 활성화시킨다고 인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생소하거나 어려움'이 논의활성화에 저해요인으로 작용됨이 확인되었다. 주제별 논의활동은 '표면성장 실험'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논의가 가장 활발한 단계는 '해결방안모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도움이 논의활동의 어려움 해소와 촉진제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되었으며 실험수업에서 논의활동이 진행되는 것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등 논의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ifted students' view on argumentation and the aspects of the argumentation in problem-solving type experiment. As a result, very lively argumentation was identified but quality enhancement on argumentation wasn't found over time. Students made fre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사회과학적 이슈는 개념적으로나 절차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로 정의되는 등 과학적 상황과는 다르며(Zeidler et al., 2002), 과학적 논의활동이 사회과학적 이슈를 활용한 토론보다 과학의 본성을 더 적절히 반영한다(Driver et al., 2000; Hofstein et al., 2008)는 점과 과학교육 목표달성의 중심적인 방법의 하나로 구체적인 현상과 접촉하여 과학탐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고하는 실험활동이 제시된 점(Chinn & Malhotra, 2002)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상황이 가장 잘 드러나는 실험활동 중 하나로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논의활동에서 나타나는 논의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더불어, 논의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논의활동이 거의 진행되지 않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학생들이 논의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논의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논의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의 적용한 후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논의 양상을 확인하고 논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매우 활발한 논의활동이 확인되었으나 차시에 따른 논의 질 향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영재학급 영재수업에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논의양상을 알아보고, 논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 학생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논의활동은 선행연구들에서의 토론이나 논증, 논변활동과 본질적으로는 다르지 않으나, 본 실험수업의 특성 상 상호작용적인 요소를 더 많이 드러낼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순민(2004)의 정의에 따라 언어적이고 사회적인 상호작용의 추론활동을 의미하는 논의활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활동의 특징을 논의과정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탐구실험의 적용이 모두 끝난 후 논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리커트 형태와 서술형 또는 단답형이 혼합되어있으며 각 응답에 대한 이유까지 기술하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교육과학기술부(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서울: 대학교과서 주식회사. 

  2. 강경희, 이강진, 이선경(2004). 중학교 과학수업의 소집단 토론의 특징 및 상호작용 유형, 교과교육연구, 25(1), 239-357. 

  3.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2011). 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탐구활동 프로그램 I. 서울: 북스힐. 

  4.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강순민, 곽경화, 남정희(2006). 논의과정을 강조한 교수 학습 전략이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과학개념 이해, 과학관련 태도 및 논의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56-461. 

  6. 곽경화, 남정희(2009).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00-413. 

  7.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2008).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에서의 학생 간 대화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1-21. 

  8. 김희경, 강태욱, 송진웅 (200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단원 실험의 특징, 새물리, 47(6), 387-394. 

  9. 김희경, 송진웅(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 탐구 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16-1234. 

  10. 박국태, 박현주, 김경미(2005). 현직 중등과학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72-479. 

  11. 박영신(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4), 401-415. 

  12. 성숙경, 최병순(2007).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70-880. 

  13. 신호심, 김현주(2009).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표면성장에 관한 탐구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새물리, 58(5), 530-539. 

  14. 오진아, 이선경, 김찬종(2008). 지구과학 MBL 수업의 과학 탐구와 논의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9(2), 189-203. 

  15. 오필석, 이선경, 김찬종(2007). 지식 공유의 관점 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297-308. 

  16. 위수민, 조현준, 김선홍, 이효녕(2009). 학생 특성에 따른 소그룹 논중 수준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1), 1-11. 

  17. 이선경(2006).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지, 50(1), 79-88. 

  18. 이은경, 강성주(2006). 문제해결형 탐구 모듈의 적용에서의 SWH 활용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37-545. 

  19. 이은경, 강성주(2008).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문제해결형 탐구 모듈에서의 SWH 활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0-138. 

  20. 이정수, 강경희, 이선경(2005). 과학소집단 토론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과정과 이유유발 조건, 과학교육연구, 26(1), 91-112. 

  21. 이하룡, 남경희, 문성배, 김용권, 이석희(2005). 논의과정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4(2), 183-191. 

  22.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이상권, 강성주,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23. 이효녕, 조현준, 손정주(2009). 학교과학교육에서 의 논증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66-679. 

  24. 임희영, 강성주(2009). 문제해결형 일반화학 실험에서 나타나는 대학생의 반응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193-202. 

  25. Anderson, R., Howe, C., Soden, F., Holiday, J.,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 1-32. 

  26. Aufschnaiter, C., Erduran, S., Osborne, J., & Simon, S. (2008). Arguing to learn and learning to argue: Case studies of how students'argumentation relates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5(1), 101-131. 

  27. Barrows, H. (2002). Commentary: Is it truly possible to have such a thing as PBL? Distance Education, 23(1), 119-122. 

  28. Berland, l., & Reiser, B. (2009). Making sense of argumentation and explanation. Science Education, 93, 26-55. 

  29. Billing, M. (1996). Arguing and thinking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Bodner, G. M., & Herron, J. D. (2002). Problem-solving in Chemistry. In Gilbert, J. K., & Jong, O. D., & Justi, R., & Treagust, D. H., & Deiel, J. V. (Eds.)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pp. 235-266). Kluwer Academic Publishers. 

  31. Bricker, L., & Bell, P. (2009). Conceptualization of argumentation from science studies and learning sc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2, 473-498. 

  32.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on inquiry task. Science Education, 886, 175-218. 

  33. Driver, R. (1995). Constructivist approaches to science teaching. In L. P. Steffe & J. Gale (Ed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pp. 385- 400).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4.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 287-312. 

  35. Driver, W., & Heather, W. (1996). Vygotsky: Tutoring and learning. Oxford Review of Education, 22(1), 5-16. 

  36. Duschl, R. (2008). Science education in three-part harmony: Balancing conceptual, epistemic, and social learning goal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32, 268-291. 

  37. Erduran, S., Osborne, J., & Simon, S. (2005). The role of argumentation in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In Boersma, K., Goedhart, M., Jong, O., & Eijkelhof, H. (Eds.).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pp. 381-394). Springer. 

  38. Hofstein, A., Kipnis, M., & Kind, P. (2008). Learning in and from science laboratories: Enhancing students' meta-cognition and argumentation skills. In Petroselli, C. L. (Ed.). Science Education Issues and Developments. (pp. 59-94). Nova. 

  39. McNeill, K. L., & Pimentel, D. S. (2010). Scientific discourse in three urban classroom: The role of the teacher in engaging high school students in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4(2), 203-229. 

  40. Kuhn, D., Shaw, V., & Felton, M. (1997). Effects of Dyadic Interaction on Argumentive Reason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15(3), 287-315. 

  41. Newton, P., Driver, R., & Osborne, L.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553-576. 

  42. Norris, S., & Phillips, L.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 224- 240. 

  43. Osborne, L., Erduran, S.,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schoo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 1020. 

  44.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235-260. 

  45. Sternberg, R. J. (1988). A three-facet model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125-147.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Watson, J. R., Swain, J. R. L.,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 25-45. 

  47.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 343-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