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ir Adult Attachment Styl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7 no.2, 2011년, pp.117 - 124  

오은진 (경상대학교 병원) ,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ccording to nurses'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ing Adult attachment styl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성인애착과 직업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2년의 종단적 연구에서 불안정 애착인 경우 직장에서 긴장 및 불안감, 작업량의 과다함을 많이 느끼고, 안정적 애착인 경우 2년이 지난 후 일로부터 보람, 만족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점(Burge, Hammen, Davila, Paley, Herzberg & Lindgerg, 1997)과 교대근무 간호사가 고정근무 간호사보다 건강문제 호소율이 높고 건강상태가 나쁘며(Sung, Kim,& Han, 2007), 밤 근무가 스트레스의 중요한 요인으로 규명되어 스트레스 도구 개발에 포함된 점(Gu & Kim, 1984)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2년차 이상 된 교대근무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의 질을 높이고 간호 서비스를 향상시켜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으로 애착증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간호사의 성인애착 관련 연구가 필요하나 아직까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성인애착 연구는 미흡하며 특히 직업경험과의 관계를 보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직장에서의 성취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성인애착과 직업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2년의 종단적 연구에서 불안정 애착인 경우 직장에서 긴장 및 불안감, 작업량의 과다함을 많이 느끼고, 안정적 애착인 경우 2년이 지난 후 일로부터 보람, 만족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점(Burge, Hammen, Davila, Paley, Herzberg & Lindgerg, 1997)과 교대근무 간호사가 고정근무 간호사보다 건강문제 호소율이 높고 건강상태가 나쁘며(Sung, Kim,& Han, 2007), 밤 근무가 스트레스의 중요한 요인으로 규명되어 스트레스 도구 개발에 포함된 점(Gu & Kim, 1984)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2년차 이상 된 교대근무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였다.
  • 8을 적용할 때 39명의 표본이 필요하지만 가능한 표본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모든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성인애착이 2년 이상의 직업경험과 관련이 있고 대부분의 일반간호사가 교대근무를 하며 이는 간호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근무 환경이 유사한 집단으로 2년차 이상의 교대근무자를 대상자로 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urvey research)이다.
  • 지금까지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간호학 영역에서는 새로운 의미있는 시도로 부정적인 직업경험에 대해 병원환경개선이나 조직 관리자의 변화 등을 제언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간호사 개인의 내면적 성숙을 통해서 긍정적 직업경험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대상자가 일 지역병원 간호사로 한정되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병원 2년차 이상의 간호사 전수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을 조사하여 간호사 배치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평가해 볼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대근무 간호사 25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연구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 이제까지 국내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성인애착과 관련된 연구보고는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 성인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몇몇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대상자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회피차원 평균점수는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대근무 간호사를 위한 애착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볼 것을 제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한 것으로 연구대상자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경우 회피차원과 불안차원의 점수가 높은 두려움형이 가장 많았고 이는 일반성인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의 차이에서는 안정형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높고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가장 바람직한 양상을 보였으며, 몰두형은 두려움형에 비해 직무만족만 높았고, 무시형은 두려움형보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높았다. 그러나 두려움형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다른 유형에 비해 모두 낮은 수준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가장 높게 나왔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임상 교대근무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이 그들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애착증진을 통해서 간호사의 직업경험을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를 위한 애착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볼 것을 제언한다.
성인애착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전 생애 발달 중 성인기는 사랑과 일이 주요 발달과업(developmental task)으로 이 둘의 성취는 성인기의 건강과 행복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Erickson, 1950). 성인애착(adult attachment)은 친밀한 사람과의 정서적 유대감으로 성인애착을 통해서 특정한 사람과 접촉을 유지하고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얻게 된다. 즉, 성인애착은 일과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 기반을 제공하므로 사람이 애착 대상과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고 있을 때 건강하게 일하고 쉬고 놀이를 할 수 있다(Hwang & Choi,  2002; Jung, Choi, & Kang, 2000; Lee, 2007).
인생의 초기 단계인 영아기에 무엇이 형성되는가?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며, 인생의 초기단계인 영아기에 사회적 발달의 중요한 선행요인인 애착이 형성된다. Bowlby (1969)는 애착(attachment)을 한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강한 감정적 유대관계로 아동이 주 양육자인 어머니에게 근접과 접촉을 추구하는 성향으로 전 생애를 통해 지속되며 개체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as cited in Kaya, 2010; Lee & Je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insworth, M. D. S. (1991). Attachment and other affectional bonds across the life cycle. London: Routledgy. 

  2.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226-244. 

  3.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4. Bong, Y. S., So, H. S., & You, H.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 425-433. 

  5.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In A. shimpson & W. A. Rholes(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46-76). New York: Guilford Press. 

  6. Burge, D., Hammen, C., Davila, J., Daley, S. E., Paley, B., Herzberg, D., et al. (1997). Attachment cognitions and college and work functioning two years later in late adolescent wome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6(3), 285-301. 

  7. Choi, W. S. (2003).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Eric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9. Gu, M. O., & Kim, M. J.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8-37. 

  10. Hawkins, A. C., Howard, R. A., & Oyebode, J. R. (2007). Stress and coping in hospice nursing staff: The impact of attachment styles. Psycho-Oncology, 16, 563-572. 

  11. Hazan, C., & Shaver, P.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12. Hwang, E., & Choi, H. K. (2002). Effect of couple attachment on the male young adult's job attachment and job qualit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5(1), 123-146. 

  13. Hwang, K. O.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in Wonkang University, 22, 135-156. 

  14. Jung, O. B., Jung, S. H., & Hwang, H. J. (2009). Attachment and development. Seoul: Hakjisa. 

  15. Jung, T. Y., Choi, S. J., & Kang, J. K. (2000). Relations of adult attachment with romantic love and personality traits.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2), 85-102. 

  16. Jung, U. J., & Do, B. N. (2002).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1, 398-405. 

  17. Kaya, N. (2010). Attachment styles of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and a longitudin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0, 666-673. 

  18. Kim, H. K., Ji, H. S., Ryu, E. K., & Jeon, M. K. (2005).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by Personalities of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 109-121. 

  19. Kim, H. S., & Park, G. R. (2010). Effect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using MBTI: effects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in company employee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9, 261-270. 

  20. Kim, K. U. (2005). Marital satisfaction and coping strategies of marital conflict in relation with adult attachment styles.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17, 707-734. 

  21. Kim, M. H., & Min, K. H. (2007).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married couples: focusing on mediating variables between attachment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 213-233. 

  22. Kim, Y. J. (2005).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ype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3. Lee, S. J. (2007). Adult attachment styles and job satisfaction/involvement among unmarried men and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Lee, Y. Y., & Jeon, H. J. (2009). Factors of college students' love styles: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adult attachment.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4(2), 99-121. 

  25. Lee, H. R, Lee, S. Y., & Lee, M. A. (2009). The influenc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5, 99-101. 

  26. Oh, J. A. (2007).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 adult attachment and an empathy ability of a mo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27. Park, H. T. (1997).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s in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55-58. 

  28. Roh, K. H., & Choi, H. K. (2008).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d love on organizational activity commitment.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 77-112. 

  29. Seo, Y. J. (1995).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memb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5, 173-201. 

  30. Seo, Y. J., & Kim, J. H. (200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Korea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1, 62-86. 

  31.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B.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 337-352. 

  32. Sung, M. H., Kim, H. J., & Han, Y. M. (2007). A study of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day shift and nurses on night shift.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3, 32-39. 

  33.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 463-470. 

  34. Yoon, S. H., & Kim, B. S. (2006). New graduate nurses' stress, stress coping, adap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 change comparison by personality.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2, 491-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