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on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 on Proba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4 no.2, 2011년, pp.164 - 172  

정인주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for the improving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Methods: The subject were 36 (Experimental. 20, Control. 16) adolescents on probation who were refer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에서 장래성이 있는 그리고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장석민, 1997).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대상자들이 일과 직업의 세계를 이해하고 직접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진로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자세하게 다루었으며, 이로 인하여 대상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보호관찰청소년의 진로 및 직업선택과 관련하여 자신의 결정 및 선택에 대한 확신 정도의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과제를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서 확신감이나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다양한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여 직업정보를 얻는데기여하였으며 자신의 적성이나 성격, 능력에 맞는 목표를 선택하는 시간과 미래를 계획하고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청소년에게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신간호중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영화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심영섭 등, 2008)의 내용 중 직업적성에 맞는 직업군을 영화를 통해 설명, 영화를 통해 과거 · 현재 · 미래의 모습 표현, 영화감상 후 직업윤리관 교육, 영화를 통해 내가 생각하는 성공의 의미 찾기 등의 내용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대상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표 1>.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의 목적은 대상자들에게 다양한 직업을 이해하고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계획하여 진로에 대한 확신을 주는데 있다. 각 회기에 사용된 영화와 구조화된 질문지는 한국영상응용연구소 영화목록을 참조하여 영화치료전문가 1인과 간호학교수 1인의 자문을 얻어 연구목적과 회기별 주제에 적절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 보호관찰이란 재범방지를 위해 6개월~2년간 체계적인 사회 내 처우가 필요하다고 인정된 자에 대하여 지도와 원호를 함으로써 사회복귀를 촉진하고 개인 및 공공의 복지를 증진함과 아울러 사회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다(임성모, 2000). 본 연구에서는 G시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청소년 중 N정신보건센터에 의뢰된 청소년을 의미한다.
  • 이형득(1989)은 청소년이 자기 자신의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많은 집단경험학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집단상담이 효과적이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대상자들에게 집단상담 실시를 통해 자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과 꿈을 탐색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긍정적인 자원을 스스로 찾아볼수 있었고 자신의 흥미, 적성, 가치관, 성격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자아개념의 발달을 촉진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총체적인 모습을 있는 그대로 파악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Holland 직업적성검사’를 통해 집단원들의 적성에 맞는 직업유형을 파악하여 각각의 직업유형 특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캐릭터를 활용하여 직업유형에 접근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청소년이 효과적으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최근 새로운 심리치료의 도구로 떠오르고 있는 영화를 기존의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활용하여 재구성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청소년 정신간호중재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아정체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진로 발달단계에서 진로탐색과 설계, 진로에 대한 준비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자신의 능력, 적성, 흥미, 여건 등을 고려한 다양한 진로 상담활동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은 자기 탐색과 다양한 직업 정보를 통해 진로결정의 합리적 과정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한정아, 2010).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정체감이란 개인의 영속성, 단일성, 독자성 또는 불변성이고, 개인의 동일성에 대한 의식적 감각이며,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갖는 영속성과 단일성에 사로잡히는 주관적 느낌이다(박아청, 2003). 본 연구에서 자아정체감은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영화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영화치료의 효과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실시되고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화치료 연구를 살펴보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고(박선민, 2003),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과 성고정관념 완화에 효과가 있었으며(서정임, 2007),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최영희, 2009). 영화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관한 연구로는 고교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한정아, 2010)과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김미선, 2010)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영주(2004). 진로집단상담이 학업중단 비행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3, 서울. 

  2. 김문수, 박소현(1998). 학습과 행동. 서울: 시그마프레스. 

  3. 김미선(2010). 영화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3, 부산. 

  4. 김준형(2006). 영화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실현과 영성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7 (1), 183-200. 

  5. 김충기(1994). 대학에서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994 (2), 120-161. 

  6. 문가연(2004).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여중생의 진로성숙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6, 순천. 

  7. 박선민(2003). 영상자료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8, 창원. 

  8. 박아청(2003).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3), 373-392. 

  9. 박은성(2008).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6, 광주. 

  10. 서정임(2007).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6 (2), 105-121. 

  11. 심영섭 역(2006). 시네마테라피. 서울: 을유문화사. 

  12. 심영섭, 김준형, 소희정, 주순희(2008). 영화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서울: 한국영상응용연구소. 

  13. 유태웅(2001). 청소년의 영화 관람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 서울. 

  14. 이경애(2003).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향상 및 진로장애 요인 감소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50, 부산. 

  15. 이은경(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47, 서울. 

  16. 이은경(2005). 보호 관찰소 청소년을 대상으로한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검증.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 21, 353-366. 

  17. 이형득(198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8. 이혜경(2002). 청소년 인성교육에 있어 영화상담 적용방법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0,서울. 

  19. 임성모(2000). 비행학생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자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1, 공주. 

  20. 임은미, 김현진(2002).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18, 425-443. 

  21. 장석민(1997). 중퇴생의 예방과 진로선도 대책. 진로교육연구, 7, 1-52. 

  22. 장선숙(2003). 인터넷활용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62, 진주. 

  23. 조영선(2005).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8, 안양. 

  24. 최명선(2004). 영화치료가 병사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 석사학위논문, 1-62, 서울. 

  25. 최영희(2009).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3), 625-641. 

  26. 최혜경(2009).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7, 춘천. 

  27. 한정아(2010). 영화치료를 활용한 진로 프로그램이 고교생의 진로 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48 (5), 51-75. 

  28. 황지현(2006). 컴퓨터 교과 수행 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 결정 수준 간의 상관관계 연구. 건설환경연구, 5 (4), 127-140. 

  29. Schulenberg, S. E. (2003). Psychotherapy and movies: On using film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3 (1), 35-48. 

  30.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 63-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