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체형인식,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습관 비교
Comparisons of Body Image Percepti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6, 2011년, pp.672 - 682  

곽호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이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정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body weight and image and various lifestyles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hen gender was adjusted. Five hundred fifty-five participants were asked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58, 289, 160 and 48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매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군에서 남자의 비율이 높았고, 이러한 사실이 결과에 미쳤을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체 대상자의 성별에 대한 차이를 배제한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군 간의 신체계측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성별을 통계적으로 보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장의 경우 ‘매우 건강하다’라고 응답한 군(174.
  •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Kim 등 2008a)에서는 대상자 수가 적은 관계로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선행연구의 2배 수준으로 하여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의 차이를 배제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체중,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식습관 실태를 조사하여 다양한 생활 습관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적 건강상태란? 주관적 건강상태(self-rated health)는 자기가 인식하고 있는 건강상태와 함께 건강수준을 예견하는 지표중의 하나로서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매우 의미가 있고, 이를 통해 건강추구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실제보다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으나(Idler & Angel 1990) 측정이 용이하고 의료비 지출과 사망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Mossey & Shapiro 1982; Idler & Angel 1990; Crystal 등 2000).
본인의 신체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긍정적인 신체이미지는 비만도와 유의적인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hin & Paik 2003). 그러나 실제로 비만이 아닌 경우라도 자신의 체형을 뚱뚱하다고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며, 자아효능감이 떨어지고, 식습관이 올바르지 않았으며(Jung 등 2005; Verplanken & Velsvik 2008),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올바른 건강증진행위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ood 1991; Edmonds 2006; Werch 등 2007). 특히, 대학생은 체중 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기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체중조절과 관련된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anzoi & Koehler 1998).
주관적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요인은? 비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실제보다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으나(Idler & Angel 1990) 측정이 용이하고 의료비 지출과 사망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Mossey & Shapiro 1982; Idler & Angel 1990; Crystal 등 2000). 국내 연구에 의하면 연령, 교육수준, 수입, 생활환경 및 식사의 다양성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Ahn & Joung 2006), BMI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Chang & Kim 2000). 또한, Kim 등 (2008b)은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은 방향으로 인식할수록 사회적, 신체적, 경제적, 정서적 측면의 질이 높게 평가가 된다고 보고하고 있어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BC, Joung H (2006): Self-rated health and its indicators: A case of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8(1): 38-42 

  2. Cabrera EOG, Barr SI (1998): Comparison of yukon women by weight loss effort and body mass index: self-reported nutrition and exercise practices and beliefs and self-rated health. Can J Diet Pract Res 59(2): 67-74. 

  3. Chang SK, Kim CG (2000): Obesity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n urban adult females. Korean J Women Health Nurs 6(6): 594- 605 

  4. Chin JH, Chang KJ (2005):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 -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 - 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 1559-1565 

  5. Crystal S, Johnson RW, Harman J, Sambamoorthi U, Kuymar R (2000): Out-of-pocket health care costs among older American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55(1): 51-62 

  6. Edmonds JC (2006): The relationship of weight, body image, selfefficacy, and stress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 study of college educated African American women.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Washington, D. C. In ProQuest Digital Dissertations [database on-line]; Available from http:// www.proquest.com/ (publication number AAT 3214670) [cited 2008 July 10] 

  7. Fallon A (1990): Culture in the mirror: sociocultural determinants of body image. In: Cash TF, and Pruzinsky T eds.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The Guilford Press New York, pp.80-109 

  8. Franzoi SL, Koehler V (1998):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body attitudes: a comparison of young and elderly adults. Int J Aging Hum Dev 47(1): 1-10 

  9. Hertzler AA, Frary RB (1996): Family factors and fat consumption of college students. J Am Diet Assoc 96(7): 711-714 

  10. Idler EL, Angel RJ (1990):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the NHANES-1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Public Health 80(4): 446-452 

  11. Jung YM, Chung KS, Lee SE (2005):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body composition and body image in college women by BMI (Body Mass Index). Korean J Health Educ & Promot 22(1): 87-102 

  12. Kim BR (2006):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 1215-1223 

  13. Kim HK, Kim JH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 1388-1397 

  14. Kim IS, Yu HH, Han HS (2002):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dietary habits and life style on the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7(1): 45-57 

  15. Kim WY (1984):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17(3): 178-184 

  16. Kim MJ, Lim YR, Kwak HK (2008a) : Dietary behaviors and body imag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self-rated health condition. Nutr Res Pract 2(2): 107-113 

  17. Kim YM, Hyeon SH, Song HS (2008b):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health program participants. J Leisure Recreation Stud 32(4): 33-46 

  18. Kim YR (2009): The relationship among types of leisure activit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appy life. Korean J Sport Science 20(3): 553-566 

  19. Lee KA (1999): A comparison of eating and general health practices to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in Pus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3): 732-746 

  20. Mossey JM, Shapiro E (1982): Self-rated health: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 J Public Health 72(8): 800-808 

  21. Murray MF (2000): Body mass index and quality of life in a survey of primary care patients. J Fam Pract 49(8): 734-737 

  22. O' Brien J (1980): Body image, mirror, why me? Nursing Mirro 150(17): 36-37 

  23. Ryu HK, Yoon JS (2000):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health status with body size and weight control experience in adolescent fe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5(3): 444-451 

  24. Schilder P (1935): The image and appearance of the human body Londone: Kegan Paul, Trench, Trubner 

  25. Shin HS, Paik SN (2003):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college female students - Normal and overweight -. J Korean Acad Nurs 33(3): 331-338 

  26. You SY, Kim HK (2003): Food habits and health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adults in the Ul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6): 889-900 

  27. Verplanken B, Velsvik R (2008): Habitual negative body image thinking as psychological risk factor in adolescents. Body Image 5(2): 133-140 

  28. Vingilis E, Wade TJ, Adlaf E (1998): What factors predict student self-rated physical health? J Adolesc 21: 83-97 

  29. Werch CE, Bian H, Moore MJ, Ames S, DiClemente CC, Weiler RM (2007): Brief multiple behavior interventions in a college student health care clinic. J Adolescent Health 41(6): 577- 585 

  30. Whitaker A, Davies M, Shaffer D, Johnson J, Abrams S, Walsh BT, Kalikow K (1989): The struggle to be thin: a survey of anorexic and bulimic symptoms in a non-referred adolescent population. Psychol Med 19(1): 143-163 

  31. Wood MH (1991):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with health concep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steem in obese women. Texas Woman's University, Available from http:// www.twu.edu/ [cited 2011 September 1]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Health interview surveys: Towards internatinal harmonization of methods and instruments. WHO Regional Publications, European Series, p.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