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신 중 스트레스, 우울과 모-태아 애착 및 태아체중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2, 2011년, pp.276 - 283  

권미경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enatal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mother and inf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gnant women's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ir impact o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부는 임신기간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경험하므로, 임부의 심리적 상태와 태아에 대한 이의 영향요인을 보기 위해서는 임신기간과도 연관지어 현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임신기간의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 중 스트레스와 우울 및 모-태아 애착을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우울이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임부의 정서적 안정과 모-태아 애착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모-태아 애착 정도를 파악하고 임부의 심리적 상태가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모-태아 애착, 태아체중을 파악하고 임부의 심리적 상태가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임신이라는 상황은 많은 부모들이 고대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임부에게 신체적, 정서적으로 많은 변화를 요구하는 일이며, 이 시기에는 그만큼 스트레스와 우울감, 임신에 대한 부정적 느낌을 느끼는 일도 드물지 않다(Bowen & Muhajarine, 2006; Kwon, 2007). 최근 국내에서도 임신우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임부의 스트레스나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뿐 아니라 이들이 모-태아 애착이나 태아 체중 등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이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임부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우울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스트레스는 태아의 성장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저체중출생아 출산과 부정적인 모-아 애착은 아기의 건강과 발달에 주요한 위험요인이므로,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조절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임부의 심리적 상태가 임부의 태아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태아에게 미치는 생리적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산후우울뿐 아니라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을 스크리닝하여 위험군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학력이나 경제 수준이 낮고 남편과 주위의 지지가 부족한 경우 등 임부의 스트레스나 우울의 요인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심리적 간호를 위한 지역 내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이란? 우울은 현실에 부적절하거나 불균형적으로 나타나는 슬픈 감정, 침울, 의기소침, 무가치감, 공허, 절망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정서 상태로(Ji, 2006), 본 연구에서는 임부가 느끼는 우울을 Lee와 Song(1991)이 한국어판으로 번안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모-태아 애착 정도를 파악하고 임부의 심리적 상태가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임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모-태아 애착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임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기타 특성에 따른 모-태아 애착 및 태아체중을 비교한다. 셋째, 임부의 스트레스와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과의 상관관계를확인한다. 넷째, 임부의 우울과 모-태아 애착 및 태아 체중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임신 우울의 비율은 얼마인가? 이러한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서 많은 임부가 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함에 따라 임부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임신 우울에 대해 메타분석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임신 우울의 비율은 연구에 따라 6-38%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산후우울보다 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ield, 2011). 임부가 스트레스나 우울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 임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태아와 출생 이후의 아동 건강과 발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R. (1984).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 Boukydis, C. F., Treadwell, M. C., Delandy-Black, V., Boyes, K., King, M., Robinson, T., et al. (2006). Women's responses to ultrasound examinations during routine screens in an obstetric clinic. Journal of Ultrasound Medicine, 25, 721-728. 

  3. Bowen, A., & Muhajarine, N. (2006). Antenatal depression. Canadian Nurse, 102(9), 27-30. 

  4. Cranley, M. S.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 281-284. 

  5. Deave, T., Heron, J., Evans, J., & Emond, A. (2008). The impact of maternal depression in pregnancy on early child development.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15, 1043-1051. 

  6. Diego, M. A., Field, T., Hermandez-Rief, M., Schanberg, S., Kuhn, C., & Gonzalez-Quintero, V. H. (2009). Prenatal depression restricts fetal growth. Early Human Development, 85, 65-70. 

  7. Diego, M. A., Jones, N. A., Field, T., & Hermandez-Rief, M. (2006).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prenatal cortisol, and fetal weight. Psychosomatic Medicine, 68, 747-753.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9. Field, T. (2011). Prenatal depression effects on early development: A review.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34, 1-14. 

  10. Field, T., Diego, M., Dieter, J., Hernandez-Reif, M., Schanberg, S., Kuhn, C., et al. (2004). Prenatal depression effects on the fetus and the newbor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7, 216-229. 

  11. Figueiredo, B., & Costa, R. (2009). Mother's stress, mood and emotional involvement with the infant: 3 months before and 3 months after childbirth.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12, 143-153. 

  12. Ji, J. G. (Ed.). (2006). Medical dictionary (1st ed.). Seoul: Academya. 

  13. Jung, M. H., & Kim, J. 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38-45. 

  14. Kim, H. W., & Jung, Y. Y. (2010). Influencing factors on antenatal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95-104. 

  15. Kim, K. Y. (2000).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by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Kim, Y. A. (2007).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and neonatal stress respon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Kwon, J. H. (1996). A test of a vulnerability-stress model of pre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 33-43. 

  18. Kwon, M. K. (2007). Antenatal depression and mother-fetal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416-426. 

  19.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 98-113. 

  20. Leigh, B., & Milgrom, J. (2008). Risk factors for antenatal depression, postnat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BMC Psychiatry, 8(24), 1-11. 

  21. Mercer, R. T., & Walker, L. O. (2006).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568-582. 

  22. Nakamura, Y. (2010).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acceptance of pregnancy in first time mothers: Focusing on the comfortable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7, 29-36. 

  23. Nelson, L. J., & Fazio, A. F. (1995). Emotional content of talk to the fetus and healthy coping behaviors during pregnanc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6, 179-191. 

  24. O'Connor, T. G., Caprariello, P., Blackmore, E. R., Gregory, A. M., Glover, V., Fleming, P., et al. (2007). Prenatal mood disturbance predicts sleep problems in infancy and toddlerhood. Early Human Development, 83, 451-458. 

  25. Park, M. K., & Lee, Y. S. (1999).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ful life events, maternal-fetal attachment behaviors and childbirth variables during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3(1), 47-61. 

  26. Pascoe, J. M., & French, J. (1993). Third-trimester maternal psychosocial factors and infants' home stimulation: a prospective study. Archives in Family Medicine, 2, 624-627. 

  27. Rahman, A., Bunn, J., Lovel, H., & Creed, F. (2007). Association between antenatal depression and low birth weight in a developing countr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15, 481-486. 

  28. Rahman, A., Iqbal, Z., Bunn, J., Lovel, H., & Harrington, R. (2004). Impact of maternal depression on infant nutritional status and illness: a cohort stud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1, 946-952. 

  29. Schore, A. N. (2001). Effects of a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on right brain development, affect regulation, and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2, 7-66. 

  30. Yarcheski, A., Mahon, N. E., Yarcheski, T. J., Hanks, M. M., & Cannella, B. L. (2009).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708-71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