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항산화 효과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2, 2011년, pp.243 - 249  

강근옥 (국립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The crude catechin extract yield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were 4.9%, 3.4%, and 2.5%,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were 40.9%, 43.0%, and 38.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차, 오룡차 및 홍차의 조 카테킨(crude catechin)을 추출한 후 생리활성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이들의 전반적인 생리활성에 관한 기능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녹차, 오룡차 및 홍차에 대한 조 카테킨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 비교하고자 하였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의 조 카테킨 추출 수율은 각각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 무엇이 변화하는가? daum.net/boicha-court), 발효 정도에 따라 차 성분, 색, 향기 및 약리 작용이 변화한다(Shon et al 2004).
차는 체내에서 어떤 효능이 있는가? 이러한 차 성분들은 식품에 대한 항산화 작용 이외에 체내에서 고혈압과 동맥경화 억제 작용, 과산화 지질 생성 억제에 의한 노화 예방, 중성지질 생성 억제에 따른 비만 방지, 수은 및 카드뮴 등 유독성 중금속과 결합 용이, 니코틴 등 알칼로이드 성분과의 결합에 의한 해독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 Rhee 1994, Muramatsu et al 1986, Sakanka et al 1992, Cheng SJ 1986).
차 잎에 함유되어 있는 차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차 잎 중에는 카테킨(catech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의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10~25%로 비교적 많이 들어 있으며, 또한 테아닌(theanine), γ-aminobutyric acid(GABA)등의 유리아미노산, 항산화 비타민(Vit. A, C, E 등), 사포닌(saponin) 및 미량무기질(Zn, Mn, Cu, Se 등) 등도 함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mad N, Feyes DK, Nieminen R, Agarwal R, Mukhtar H (1997) Green tea constituent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induc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carcinoma cells. J National Vancer Institute 89: 1881-1886. 

  2. AOCS (1990)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d 8-53 

  3. Benzie IF, Szeto YT (1999)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teas by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J Agric Food Chem 47: 633-636.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5. Cheng SJ (1986) The preliminary study of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antioxidant on mutation. Asia Experimen Biol 9: 328-334. 

  6.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7. Folin O, Den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8. Gray JI, Dugan J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9. Ho CT, Chen CW, Wanasundara UN, Shahidi F (1997) Natural antioxidants from tea in natural antioxidants. Chemistry, Health Effects and Applications, Champaign Illinois. pp 213-223. 

  10. Kim EJ, Hwang SY, Son JY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esame, black sesame, perilla and olive oi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80-286. 

  11.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3-738. 

  12. Kim MJ, Rhee SJ (1994) Effects of Korean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cadmium in fat. J Korean Soc Food Nutr 23: 784-791. 

  13. Lee HS, Son JY (2002)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ly green, oolong and black tea. Korean J Food Nutr 15: 377-381. 

  14. Lee MJ, Kwon DJ, Park OJ (2007)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ies and catechin contents of Korean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Culture 22: 449-453. 

  15. Lee YJ, Ahn MS, Oh WT (1998) Study on the catechin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 370-376. 

  16.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17. Muramatsu K, Fukuyo M, Hara Y (1986)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cholesterol 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32: 613-622. 

  18. Park JH, Kim KS, Kim JH, Choi HK, Kim SW (1997)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free amino acid, theanine, catechin contents in domestic tea shoots. J Korean Tea Soc 2: 197-207. 

  19. Sakanka S, Shimura N, Aizawa M, Kim M, Yamamoto T (1992) Preventive effect of green tea polyphenols against dental caries in conventional rats. Biosci Biotech Biochem 56: 592-594. 

  20. SAS (1987)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 version 6th ed. SAS Institute Inc. North Carolina. pp 60. 

  21. Shon MY, Kim SH, Nam SH, Park SK, Sung N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reen and fermented tea extracts. J Life Science 14: 920-924. 

  22. Yeo SG, Yeum DM, Lee DH, Ahn CW, Kim SB, Park YH (1994)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component of green tea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3: 287-292. 

  23. Yeo SG, Ahn CW, Lee YW, Lee TG, Park YH, Kim SB (1995a) Antioxidative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9-304. 

  24. Yeo SG, Kim IS, Ahn CW, Kim SB, Park YH (1995b)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160-168. 

  25. Yeo SG, Ahn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1995c)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26. Yeo SG, Park YB, Kim IS, Kim SB, Park YH (1995d)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154-159. 

  27. Web site searching (2010) http://cafe.daum.net/boicha-court/ BGm8/161?doci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