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 유래 유산균의 항균적 특성과 이용
Chacteristics & Applications of Lactobacillus sp. from Kimchi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5, 2011년, pp.374 - 380  

김기은 (서경대학교 생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rlier in Korea Kimchi was made in every family and every province has own taste and specialties. These days almost of the Kimchis are manufactured. We collected variable Kimchis, which were made for private use and isolated microorganisms. Some interesting micobial cells were identified and stu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호박의 농도별, 발효시간별로 관능적 차이가 있는지 검사를 하였다. 이 실험은 어느 농도와 어느 발효시간이 가장 좋은 것인지 판단한 실험은 아니므로 차후 기호도 또는 선호도검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동정된 유산균중 Lactobacillus sakei KJ123는 특히 사케의 발효과정에서도 분리되었고, 일부 조건에서 특정 향기성분을 만든다는 것을 본 연구실에서 확인한 결과, 이를 건강발효음료 개발에 적용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중 항균성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으로 분석하였다.
  • 특히, 호박분말 첨가가 아닌 단호박 자체를 기질로 사용한 발효음료나 유산균을 김치에서 분리하여 사용한 발효음료에 대한 연구는 되었으나 [19], 아직 상품화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호박의 소비 수요의 유도 목적과 동시에 단호박의 식품영양학적 가치를 그대로 가진 새로운 유산균 발효 음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실에서는 맛과 향이 다양한 여러 가지 김치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이들중 식품산업화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는 균주를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식품인 김치를 이용한 여러가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설 설정

  • pH값의 측정은 pH-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적정산도는 단호박 발효배지 중 17.6 mL를 덜어낸 다음 증류수 17.6 mL를 더하여 총 볼륨 35.2 mL를 만든 후 phenolphthalein용액을 2~3적 가하였다.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채소발효 식품으로 거의 모든 채소가 김치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김치는 배추나 무에 다양한 향신료를 첨가하여 일정시간 발효시킨 것이다 [2,13].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한국 식품의 세계화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김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Probiotics는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 특히, 근래에는 probiotics라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산균이 주목을 받고 있다. Probiotics는 살아있는 균주를 섭취하는 것이라 잔류 및 내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박테리아제로 성장촉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신생 성장촉진제라 할 수 있다 [4,15,16].
호박이 무공해 식품으로도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식품의 대표적인 원료인 호박은 예로부터 위장이 약한 사람, 회복기간의 환자, 산후 부종제거 등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여, 항산화, 면역기능향상, 항암 등의 생리활성이 클 뿐 아니라, 섬유소, 펙틴 등이 함유되어 있는 건강식품이다 [23]. 또한 다른 과채류에 비해 기후조건에 대한 적용범위가 넓고, 한국의 기후 풍토하에서 잠재생산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작목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다른 박과 채소보다 병이 심하지 않고 약재를 살포할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무공해 식품으로도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국민 식생활 패턴이 고급화됨에 따라 건강을 주요시하는 소비자가 급증하면서 약품이 아닌 식품으로 인체의 조절기능에 초점이 맞춘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 녹황색 채소류의 항산화, 항암효과가 알려지고 있어 늙은 호박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가공제품은 향후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동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trih, A. et al. (1993)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C19. Can. J. Microbiol. 39. 

  2. Cheigh, H. C. and K. Y. Park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Crit. Rev. Food Sci. Nut. Busan University, Busan. 

  3. Choi, E. M. and B. M. Jung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prepared by different ratio of pumpki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4. Femandez, M. F. et al. (2003) Probiotic properties of human lactobacilli strains to be us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J. Appl. Microbiol. 94. 

  5. Heo S. J. et al. (1998) The comparision of food constituents in pumpkin and sweet-pumpkin. Korean J. Dietary Culture 13: 91-96. 

  6. Kang, H. Y. et al. (1978) Vegetable Horticulture, pp. 201, Hakamoonsa, Seoul, Korea. 

  7. Kang, Y. H. et al. (2003) Food Manufacturing Process, pp. 157, Bookshill, Seoul, Korea. 

  8. Keum, J. H. (1999) Studies on garlic and pumpkin vinegar, Korean J. Food Nutr. 12. 

  9. Kim, J. M., Y. H. Rho, and Y. J. Yoo (2004) Quality properties of cream soup added with chungdong pumpkin and sweet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 Kim, K. B. et al.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umpkin on mayonnaise. Korean Food Service Association 5: 71-87. 

  11. Kim, S. R., T. Y. Ha, H. N. Song, Y. S. Kim, and Y. K. Par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 J. Food Sci. Technol. 171-177. 

  12. Klaver, F. A. M. and R. van der Meer (1993) The assumed assimilation of cholesterol lactobacilli and Biofidobacterium bifidium is due to their bile salt conjugation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9. 

  13. Koh, J. S. (2004) Food Biotechnology, pp. 189, Yoohan Press, Seoul, Korea. 

  14. Koo, N. S. et al. (2006) Food Sensorik, pp. 111-114, Kyomoonsa, Seoul, Korea. 

  15. Lee, C. H., K. D. Jun, and W. S. Kim (2001) H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polyfementicin SCD, a newly identified bacterioci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Lett. Appl. Microbiol.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Korea. 

  16. O'Sullivan, G. C. (2001) Probiotics, pp. 88, Brit J Sung. 

  17. Paik, H. D., M. Y. Jung, H. Y. Jung, W. S. Kim, and K. T. Kim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78. 

  18. Park, Y. H.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pumpkin-citronhoney drink. J. Korean Soc. Food Nutr. 24: 625-630. 

  19. Roh, H. J. et al. (2009) Fermentation of curcurbita maxima extracts with microorganisms from kimchi. KSBB Journal 24: 149-155. 

  20. Shin, Y. S., K. S. Lee, and D. H. Kim (1993)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yoghurt from milk and sweet potato or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66-671. 

  21. So M. H. et al. (199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sychrophilic Lactobacilli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95-505. 

  22. Kim, S. R. et al.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1-177. 

  23. Yun, S. J. et al.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6: 36-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