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노인들의 걷기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2, 2011년, pp.65 - 72  

이형숙 (경원대학교 조경학과) ,  안준석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  전승훈 (경원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상적인 걷기활동과 신체활동은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활동으로, 걷기활동을 지원하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의 제공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노인의 걷기활동의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걷기운동 수행과 관련성이 있는 개인적, 물리적 환경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하여, 일주일 동안의 이동목적이나 운동목적의 걷기활동 참여빈도와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행동변화 단계모델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걷기운동 수행 현황을 고찰하였다. 또한 공원 접근성, 보행로 시설, 교통시설 등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및 평소 걷기활동에 장애가 되는 물리적인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과반수가 넘는 노인들이 규칙적인 걷기운동을 실천하고 있었으며, 행동변화 단계에 있어서는 6개월 이상 걷기운동을 지속하는 유지단계의 노인들 비율도 높았다. 걷기 운동장소로 선호되고 있는 곳은 도보권 내의 공원이나 산책로, 아파트 단지 등이 많았으며, 유료시설의 체육시설이나 실내 운동기구 이용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걷기운동 빈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는 공원접근성, 교통안전, 신호등, 가로등이 있었으며,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노인들은 걷기운동에 대한 선호도가 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노인들은 교통안전에 대한 만족도를 매우 낮게 평가하였고, 교통사고에 대한 우려가 걷기활동에 있어 큰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노인시설을 중심으로 한 안전한 노인보행환경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노인들의 일상적인 걷기활동 지원 및 증진을 위한 근린환경의 제공, 노인들의 걷기활동 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walking and physical activity are critical for older adults to maintain their health, it is important to provide neighborhood environments which encourage their walking in daily lif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walking activity patterns of older people in an urban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노인을 대상으로 걷기활동의 참여시간 및 빈도, 운동장소 행동변화단계 등의 걷기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걷기운동 수행과 관련성이 있는 개인적, 물리적 환경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영임,정혜선,최숙자,이창현(2003)직장인의 걷기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3):255-267 

  2. 김현지(2008)행복한 노년의 조건-운동으로 건강을.동아일보.2008.09.09. 

  3. 박소현,최이명,서한림(2008)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1):161-172. 

  4. 보건복지부(2010)2009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5. 선우덕(2008)노인 신체활동증진대책의 정책방안.보건복지포럼.25-36 

  6. 송현철,이무식,김은영(2008)일부 농촌 노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한국스포츠 리서치 19(1):49-6 

  7. 오성재(2006)중년여성의 운동수행실태와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선애(2007)노인 운동행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구성인자 분석.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임세형(2008)노인삶의 질 지속적으로 낮아졌다.메디컬 업저버.제 460 호. 

  10. 통계청(2010)2010고령자 통계.통계청 사회복지통계과 

  11. Ball,K., A. Bauman and E.Leslie (2001) Perceived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convenience and company are associated with walking for exercise among Australian adults. Preventive Medicine 33:434- 440. 

  12. Berrigan,D.and R.P.Troiano(2002)The association between urban form and physical activity in U.S.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3(suppl):74-7 

  13. Frank, L. D.and G. Pivo(1994) Impacts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single-occupant vehicle, transit, and walking. Transportation 14:44-52. 

  14. Giles-Corti, B. and R. J. Donovan(2002)Socioeconomic status differences in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real and perceived access to a supportive physical environment. Preventive Medicine 35: 601-611. 

  15. Hoehner, C. M., L. K. Brennan and M. B. Elliott (2005) Perceived and objective environmental measure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urban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suppl2): 105-116. 

  16. King,W.C.(2005)Objective measur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5): 461-469 

  17. King, W. C., J. S. Brach and S. Belle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of destinations and walking levels in older wome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74-82 

  18. Marcus, B. H., S. W. Banspach and R. C. Lefebvre (1992) Using the stages of change model to increase the adoption of physical activity among community participants.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6(6):424-429 

  19. Pikora, T. J., B. Giles-Corti and M. W. Knuiman(2006).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ed with walking near home : using SPACES. Medical Sciences and Sports Exercixe 38:708-714 

  20. Saelens, B. E., J. F. Sallis and J. B. Black (2003) Neighborhood-based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 An environment scale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1552-1558. 

  21. Suminski, R. R., W. S. Poston and R. L. Petosa (2005) Feature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walking by U.S.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149-1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