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2, 2011년, pp.427 - 447  

고민석 (한국교원대학교) ,  박병태 (서울대치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recognitions of a teacher's discernment & recommend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targeting 18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district and compared and contrasted their awarenes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the discernment of 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영재판별을 위해 담임교사에게 필요한 영재교육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영재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담임교사에게 필요한 영재교육전문성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서혜예와 박경희(2007)는 Shulman (1986)의 교과지식, 교과교육학지식, 일반 교육학지식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영재의 인지적 ․ 사회적 특성 이해, 영재판별 및 선발 방법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능력, 전공교과 전문지식, 첨단지식에 대한 이해, 영재에게 적합한 교수 ․ 학습 방법 적용, 영재교육평가 방법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능력, 영재 학생과의 상담 능력, 교사의 연구 수행능력, 영재교육의 철학 및 목적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 관련 행정적 문제해결능력, 학부모, 지역 사회와의협력관계 구축능력의 영재교사전문성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요인 분석을 통해 ‘지식기반 전문성’ ‘능력기반 전문성’ ‘상황기반 전문성’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에 대한 인식과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았다.
  • 영재판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영재관찰추천에서 교사의 영재판별척도의 중요성 인식정도를 관찰과정에서의 인식 정도와 추천과정에서의 인식 정도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를 판별하는데 어떠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적인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오늘날 영재들에 대한 교육적 관심은 단순한 개인적 수준을 넘어서서 국가적 차원의 관심으로까지 증대되어 나타나고 있다(이인호와 한기순, 2009). 효과적인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정하고 정확한 판별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최근 영재선발제도가 변해야 한다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는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 서울시에서는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는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아닌 영재성을 가진 아동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추천하도록 하고 있으며(서울시교육청, 2010), 이를 위해 현장의 교사들은 잠재적 영재발굴을 위해 체계적인 관찰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한기순과 이정용, 2011),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잠재적인 영재를 추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영재관찰추천에서 잠재적인 영재 아동의 생활을 최초로 관찰하고 판별하는 것은 담임교사이기 때문에 담임교사가 영재교육의 목적을 이해하고 합당한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는 것은 진정한 영재가 판별되는데 매우 중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애남, 이규민 (2006). 학생들의 동료평가를 활용한 수행평가 결과의 일반화가능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19(3), 107-121.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내년,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시험 폐지 구체화.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8월 24일 보도자료. 

  3. 김대현 (2007). 공립영재교육기관에 선발된 초등과학영재 학부모의 자녀 지원에 대한 실태 조사 - OO광역시를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6(2), 5-36. 

  4.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2), 119-137. 

  5. 김미숙, 이행은, 이홍란, 배종수, 박만구, Cramond, B., & Zysberg, L. (200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8-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류지영 (2010). 관찰?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59-178. 

  7.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9-289. 

  8.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영재와영재교육, 8(3), 5-21. 

  9. 서울시교육청 (2010). 관찰?추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매뉴얼. 서울: 서울시교육청. 

  10. 서혜애, 조석희, 정현철, 강호감, 박인호, 박일영, 소광섭, 손정우, 이선경, 최호성 (2004). 과학영재학교 신입생 선발체제 분석 연구. 수탁연구. (CR 2004-4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서혜애, 박경희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영재교육연구, 17(1), 77-98. 

  12. 이동혁 (2010).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영재교육연구, 20(2), 595-619. 

  13.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4.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15. 임희연 (2008). 초등교사의 발달단계외 교직전문성 인식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6. 진현정, 최호성 (2010).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영재학회, 20(2), 621-647. 

  17. 홍서민 (2007).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자율연수 요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8. 한기순, 이정용 (2011).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07-122. 

  19.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20. Betts, G. T., & Neihart, M. (1988). Profiles of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32, 248-253. 

  21. Cramond, B., & Martin, C. E. (1987).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academically brilliant. Gifted Child Quarterly, 31, 15-19. 

  22. Davis, G. A., & Rimm, S. B. (Eds.) (200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3. Feldhusen, J. F., Asher, J. W., & Hoover, S. M. (1984). Problem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alent, or ability. Gifted Child Quarterly, 28(4), 149-151. 

  24. Gagnee, F. (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ining to exceptional human abilities. In K. Heller, H. Passow, & F. Monks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69-87). Oxford: Pergamon Press. 

  25. Hannninen, G. E. (1988). A study of teacher traning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10(3), 139-143. 

  26. Hultgren, H. (1982). Competencies for teachers of the gift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27. McCoach, D. B., & Siegle, D. (2007). What predicts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51, 246-255. 

  28. Neber, J. (2004). Teacher identification of students for gifted children in junior high school: A comparison of methods. Exceptional Children, 25, 300-304. 

  29. Passow, A. H. (1989). Need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ng high ability children. Roeper Review, 11, 223-229. 

  30. Prieto, L., Parra, J., Ferrandiz, C., & Sanchez, C. (2004). The role of the teacher with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ritish Education Index, Rrotherton Library, University of Leeds, UK: lEEDS. 

  31. Renzulli, J. S., Hartman, R. K., & Callahan, C. M. (1971). Teacher indentification of superior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 211-214. 

  32.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33.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erg, K. L. (Eds.) (2002).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4. Schack, G. D., & Starko, A. (1990).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An analysis of criteria preferred by preservice teacher classroom teacher and teachers of the gifted.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 346-363. 

  35. Schroth, S. T., & Helfer, J. A. (2008). Identifying gifted students: Educator beliefs regarding various policies, processes, and procedure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2(2), 155-179. 

  36. Scott, J. P., & Jillian, C. G. (2010). The teacher observation form: Revisions and updates. Gifted Child Quarterly, 54(3), 179-188. 

  37.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8. Siegle, D., & Powe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1), 21-29. 

  39. Sternberg, R. J. (Ed.) (2004). Definitions and conceptions of giftedness. Thousand Oaks, CA: CorwinPress. 

  40. Tannenbaum, A. J. (2000). A history of giftednessin school and society.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pp. 23-53). London: Elsevi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