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건축의 시간성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im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0 no.3 = no.86, 2011년, pp.3 - 12  

변대중 (한성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 ,  이영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agrammatic design approaches and programmatic design approach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so that this reveals the sequential systems of circulation in the space and liberal movement of the visitors in the buildings of those diagrammatic and progra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한 시간성을 구체화하는 공간의 변화와 동선, 그리고 그러한 동선을 구체화하고 있는 시퀀스의 변화를 대표적인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탈 형태적 건축공간을 유도하는 공간의 움직임과 그러한 움직임을 통하여 구체화되는 건축의 시간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구체화하고 그러한 표현의 방식들을 구분하여 공간의 변화와 시간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그러한 공간, 시간, 시간성에 관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현대건축이 직면하고 있는 자유로운 표현과 공간의 지각이 갖는 의미를 재확인 시켜줄 것이다.
  • 본 연구는 현대 건축의 다이어그램 적이고 프로그램적인 디자인 표현방식에서 구체화되고 있는 연속적인 동선과 자유로운 움직임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형태와 의미들을 생산하고 있는 현대건축의 양상들이 동적시각에 의하여 시간성을 표현하고 시선축의 변화와 지각요소를 제시한다는 것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형태와 의미들을 생산하고 있는 현대건축의 양상들이 동적시각에 의하여 시간성을 표현하고 시선축의 변화와 지각요소를 제시한다는 것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 최종적으로 5장에서는 결론을 도출하고 현대건축의 역동적인 움직임과 시간성의 지각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 촉발되었다. 프랑스 철학자 자끄 데리다 J. Derrida의 영향에서 성립된 해체주의 건죽은 순수예술을 비롯한 제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전통적인 예술 이론과 문화가 가진 정형적인 틀을 깨뜨리고자 시도하였다
  • 해체주의 건축을 비롯한 새로운 건축 디자인 방식은 건축공간의 근본적인 토대를 해체하고 재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 건축은 복합적이며 혼성화된 성격을 가진다.

가설 설정

  • 그러한 모든 경험은 유한한 규칙과 한정에 의하여 일정한 질서가 주어진다.7)시지각에 의하여 형성되는 투시 도적 프레임은 의식적인 인지에 의존한다. 실제 공간에서 인간이 3차원적 공간감을 느끼는 것은 안차에 의한 것이지만 스크린적인 프레임은 2차원적인 깊이감을 시 지각적 효과들과 크기비교, 명암등을 통하여 구체화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rnold Hauser, 예술의 사회학, 최성만, 이병진 공역, 한길사, 1993 

  2. Chales Wallschlaeger, Cynthia Busic Snyder,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원유홍 역, 안그라픽스, 2002 

  3. Giles Deluze, Felix Guattari, 천개의 고원, 김재인 옮김, 새물결, 2003 

  4. Heinz Kimmerle, 데리다 철학의 개론적 이해, 박상선 옮김, 서광사, 2001 

  5. Manuel Gausa, Metapolis dictionary, actar, 2004 

  6. R, Stephenson, 예술로서의 영화, 송도익 옮김, 도서출판 국제, 1991 

  7. 김채형, 예술 개념의 역사, 열화당, 1987 

  8. 김형효, 베르크송의 철학, 민음사, 1992 

  9. 임석재, 건축과 미술이 만나다, 휴머니스트, 2008 

  10. 변대중, 시각적 차원에 의한 공간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5호, 2010 

  11. 장훈익, 현대건축에 있어서 탈정형적 공간구성의 다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영남대 박론, 2003 

  12. 박영호, 현대건축시각정보의 표현 변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학위논문, 2009 

  13. 김규성, 건축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주도적 형태구상 요인들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2 

  14. 윤재은, 해체주의 건축의 공간철학적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학위논문,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