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 문제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한 반항성 도전장애의 선별 : 공격성 및 비행 하위척도의 역할
Screening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with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 The Role of the Subscales of Aggressive and Delinquent Behavio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2 no.2, 2011년, pp.95 - 102  

이소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박준호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임은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정한용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present study examined the power of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ubscales to predict a DSM-IV diagnosi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Methods : The sample included 37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DD and 46 normal controls. The participants and their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가정했던 것처럼 공격성 소척도가 유의했으며 그 이외에 비행 소척도가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추가적으로 탐색되었다. 공격성 소척도는 선행연구들에서 반항성 도전장애 집단과 다른 집단을 구분하는 공통적인 소척도였지만, 반항성 도전장애와 정상대조군을 구분하지 않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집단과 반항성 도전장애를 비교하거나 반항성 도전장애와 품행장애가 공존하는 집단들에서 나온 결과들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 집단과 정상대조군만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반복검증되는지 알아보았다. 즉, 공격성 소척도는 여러 가지 집단으로 설계된 연구에서도 반항성 도전장애와 다른 집단들을 성공적으로 구분함을 반복검증하였다.
  • 하지만, 다른 연구들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와 정상대조군을 구분하지 않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집단과 반항성 도전장애를 비교하거나 반항성 도전장애와 품행장애가 공존하는 집단들에서 나온 결과들이므로 집단 구성에 따른 효과가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혼입(confounding)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연구대상을 더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와 정상대조군만을 비교하여 예측력 있는 소척도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공격성 소척도 이외에 다른 소척도들이 유의하게 예측력을 나타내는지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CBCL이 DSM 진단체계에 근거한 반항성 도전장애의 진단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향후 반항성 도전장애의 임상적 진단법과 경험 및 양적 접근법을 어떻게 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지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 초점을 두어 CBCL의 어떤 소척도들이 반항성 도전장애 진단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항성 도전장애군과 정상 대조군을 종속(준거)변인으로 설정하고 CBCL 소척도를 독립(예측)변인으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 초점을 두어 CBCL의 소척도들이 반항성 도전장애 진단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전 연구 결과들10,12,13,15,16,18)에 근거하여 CBCL 8개 소척도 중에 공격성 소척도가 반항성 도전장애 진단을 잘 예측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예측력이 있는 나머지 소척도들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와 정상대조군만을 비교하여 예측력 있는 소척도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공격성 소척도 이외에 다른 소척도들이 유의하게 예측력을 나타내는지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CBCL이 DSM 진단체계에 근거한 반항성 도전장애의 진단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향후 반항성 도전장애의 임상적 진단법과 경험 및 양적 접근법을 어떻게 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지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하면 반항성 도전장애 집단과 다른 집단의 구분을 예측하는 것은 CBCL 외현화 척도에 포함되는 세 가지 소척도 중에서 공통적으로 공격성 소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공격성 소척도가 유의하게 예측력을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다른 연구들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와 정상대조군을 구분하지 않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집단과 반항성 도전장애를 비교하거나 반항성 도전장애와 품행장애가 공존하는 집단들에서 나온 결과들이므로 집단 구성에 따른 효과가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혼입(confounding)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연구대상을 더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 초점을 두어 CBCL의 소척도들이 반항성 도전장애 진단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전 연구 결과들10,12,13,15,16,18)에 근거하여 CBCL 8개 소척도 중에 공격성 소척도가 반항성 도전장애 진단을 잘 예측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예측력이 있는 나머지 소척도들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반항성 도전장애와 정상 대조군 간의 CBCL 소척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 검증을 하였고, CBCL 소척도가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과 반항성 도전장애가 없는 아동들을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항성 도전장애의 여부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CBCL 8가지 소척도(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사회미성숙, 사고문제, 주의집중, 비행, 공격성)의 T점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항성 도전장애 어떤 종류의 장애들과 동시 이환되는 비율이 높은가? 이 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들은 정신과적 장애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고 가족 기능과 사회적 기능의 문제가 더 많이 나타나므로4) 조기에 선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반항성 도전장애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품행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 등 여러 장애와 동시 이환되는 비율이 높으며2,4) 이들 질환들의 공존 여부는 아동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반항성 도전장애와 품행장애가 공존하게 되면 반항성 도전장애만 있는 것에 비해서 기분장애와 사회적 기능 손상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경험 및 양적(empirical-quantitative) 접근법이 임상적 진단법과 비교하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이 방법은 장애 유무에 관한 임의적 진단기준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증상의 개수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고, 성별과 연령 규준에 근거하여 점수의 상대적인 위치에 근거한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주어 예후에 관한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이는 임상적 진단법에 비해 시간이 적게 들고 빠르게 시행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그러나 아동과 청소년의 정신병리를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있어 두 가지 접근법 어느 하나가 충분하거나 더 우월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항성 도전장애란? 반항성 도전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는 아동이 권위적 대상에 대해 부정적, 반항적, 불순종적, 그리고 적대적 행동을 보이는 대표적인 소아청소년기 정신장애 중 하나로,1) 이들 아동들은 어른이 요구하는 것에 대해 순응하지 않고, 빈번하게 감정적으로 폭발하며, 과도한 언쟁을 하여 어른이나 또래와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이고 심각한 손상을 일으킨다.2)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IV) 진단 체계에서는 아동의 이러한 행동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정신증이나 기분장애로 인한 것이 아니며, 이로 인해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반항성 도전장애 진단이 내려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re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2. Greene RW, Biederman J, Zerwas S, Monuteaux MC, Goring JC, Faraone SV. Psychiatric comorbidity, family dysfunction, and social impairment in referred youth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m J Psychiatry 2002;159:1214-1224. 

  3. Loeber R, Burke JD, Lahey BB, Winters A, Zera M. Oppositional defiant and conduct disorder: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part I.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39:1468-1484. 

  4. Steiner H, Remsing L, Arnold V, Beitchman J, Benson RS, Bernet W, et al. Practice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46:126-141. 

  5. Lahey BB, Waldman ID, McBurnett K.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behavior: an integrative causal model.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9;40:669-682. 

  6. Ferdinand RF, Visser JH, Hoogerheide KN, Ende J, Kasius MC, Koot HM, et al. Improving estimation of the prognosis of childhood psychopathology; combination of DSM-III-R/DISC diagnoses and CBCL score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4;45:599-608. 

  7. Achenbach T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1991b. 

  8. Oh KJ, Lee HL. Development of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preliminary stud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 452-462. 

  9. Kim JH, So YK, Jung YS, Lee IS, Hong SD. A validity study of parent behavioral rating scales as diagnostic tool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11:282-289. 

  10. Edelbrock C, Costello AJ. Convergence between statistically derived behavior problem syndromes and child psychiatric diagnoses. J Abnorm Child Psychol 1988;16:219-231. 

  11.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New York: New York State Psychiatric Institute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1992. 

  12. Eiraldi RB, Power TJ, Karustis JL, Goldstein SG. Assessing ADHD and comorbid disorders in children: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the Devereux Scales of Mental Disorders. J Clin Child Psychol 2000;29:3-16. 

  13. Reich W, Shayka JJ, Taibleson C. Diagnostic Interview for Children and Adolescents-Revised-Parent version; DICA-R-P; DSM-III-R version. St Louis: Washington University;1991. 

  14. Hudziak JJ, Copeland W, Stanger C, Wadsworth M. Screening for DSM-IV externalizing disorders with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4;45:1299-1307. 

  15. Biederman J, Ball SW, Monuteaux MC, Kaiser R, Faraone SV. CBCL Clinical Scales Discriminate ADHD Youth With Structured- Interview Derived Diagnosi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J Atten Disord 2008;12:76-82. 

  16. Kaufman J, Birmaher B, Brent D, Rao U, Flynn C, Moreci P, et al. 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for schoolage children-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ini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 980-988. 

  17. Kim HW, Cho SC, Kim BN, Kim JW, Shin MS, Yeo JY. Does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have temperament and psychopathological profiles independent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pr Psychiatry 2010;51:412-418. 

  18. Drabick DA, Gadow KD, Carlson GA, Bromet EJ. ODD and ADHD symptoms in Ukrainian children: external validators and comorbidit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735-743. 

  19. Gadow KD, Sprafkin J, Schneider J, Nolan EE, Schwartz J, Weiss MD. ODD, ADHD, versus ODD+ADHD in clinic and community adults. J Atten Disord 2007;11:374-383. 

  20. Biederman J, Faraone SV, Milberger S, Jetton JG, Chen L, Mick E, et al. Is childhoo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 precursor to adolescent conduct disorder? findings from a four-year follow-up study of children with ADHD.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1193-1204. 

  21. Hinshaw SP, Lahey BB, Hart EL. Issues of taxonomy and comorbidity in the development of conduct disorder. Dev Psychopathol 1993;5:31-49. 

  22. August GJ, Realmuto GM, Joyce T, Hektner JM. Persistence and desistance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in a community sample of children with ADHD.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 38:1262-1270. 

  23. Kwak KJ, Park HW, Kim CT. K-WISC-III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Seoul: Special Education;2001. 

  24. Oh KJ, Lee HR, Hong KE, Ha EH. Manual For K-CBCL: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Choong-Ang Aptitiude Publisher; 2001. 

  25. Kim YS, Cheon KA, Kim BN, Chang SA, Yoo HJ, Kim JW,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orean Version. Yonsei Med J 2004;45:81-89. 

  26. Hamilton S, Armnado J.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m Fam Physician 2008;78:861-868. 

  27. Coie JD, Dodge KA.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Damon W, Eisenberg N, editor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5th ed.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1998. p.779-862. 

  28. Loeber R, Farrington DP, editors. Serious and Violent Juvenile Offenders: Risk Factors and Successful Interventions. Thousand Oaks: Sage;1998. 

  29. Loeber R, Stouthamer-Loeber M. Development of juvenile aggression and violence. Some common misconceptions and controversies. Am Psychol 1998;53:242-259. 

  30. Vitiello B, Stoff DM. Subtypes of aggression and their relevance to child psychiatr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 307-315. 

  31. Tackett JL, Krueger RF, Sawyer MG, Graetz BW. Subfactors of DSM-IV Conduct Disorder: evidence and connections with syndromes from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J Abnorm Child Psychol 2003;31:647-654. 

  32. Lee SJ, Ha EH, Ho KJ. Discriminating of ADHD children with K-CBCL subscales: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Korean J Clin Psychol 2008;27:191-2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