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반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ience Club Activity on Science-Related Attitud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4, 2011년, pp.505 - 512  

신애경 (제주대학교) ,  장치훈 (새서귀초등학교) ,  현동걸 (제주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과학탐구 및 체험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반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과학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반 활동의 효과를 지역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지역 세 개의 초등학교에 있는 4~6학년으로 구성된 과학반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과학반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비교집단은 같은 학교, 학년의 여학생으로 구성하였다. 비교집단은 교과외 과학 활동을 하지 않았고, 실험집단은 10개월간 교과외 과학반 활동을 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과학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는 비모수통계 중 윌콕슨 대응표본 부호순위 검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반 활동은 여학생들의 과학태도 뿐만 아니라 과학태도의 하위범주인 인식, 흥미, 과학적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들의 거주 지역에 따른 과학태도의 변화를 하위범주별로 알아 본 결과, 인식에서는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여학생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서는 읍면지역 여학생에게서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과학태도에 대한 효과가 지역별로 차이가 있고, 중소도시보다 읍면지역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tracurricular science club activities affect sciencerelated attitud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ganised with thirty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a school in a small city and two school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학생 친화를 강조하지 않고 남녀학생이 모두 선호할 수 있는 과학탐구 및 체험활동을 기반으로 한 과학반 활동이 여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고등학교에서 나타난 것처럼 초등학교에서도 지역별로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반을 초등학교에서 가장 일반적인 구성으로 남녀 학생이 모두 포함되도록 편성하여 운영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학생 친화를 강조하지 않고 남녀학생이 모두 선호할 수 있는 과학탐구 및 체험활동을 기반으로 한 과학반 활동이 여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고등학교에서 나타난 것처럼 초등학교에서도 지역별로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과학탐구 및 체험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반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과학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분야에서 나타나는 성차(gender gap)에 대한 연구에서 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어떻게 나누어 연구되어 왔는가? 과학 분야에서 나타나는 성차(gender gap)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 왔는데, 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나누어 연구되어 왔다(Armstrong, 1981; Benbow & Stanley, 1980; Johnson, 1987; Manthorope; 1982; Kahle & Lakes, 1983; Kahle & Meece, 1994; Kelly, 1987; Kimura, 1992). 그러나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과학 분야에서의 성차가 당연한 것으로 고정불변의 것으로 여겼으나, 그 근거가 희박하다는 연구가 제기되기도 하였다(염만숙, 2004).
과학에서 성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주로 어떤 대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가? 그리고 창의적인 문제해결에서 다양한 풀이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학생들에게 학교 밖 교육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에서 성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주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드물다. 그리고 여학생을 고려한 여성친화적 과학프로그램 운영시 남학생들에 대한 역차별의 우려도 있었고, 지역별로 그 효과가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탐구 및 체험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반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과학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사전과 사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과학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는 비모수통계 중 윌콕슨 대응표본 부호순위 검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반 활동은 여학생들의 과학태도 뿐만 아니라 과학태도의 하위범주인 인식, 흥미, 과학적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들의 거주 지역에 따른 과학태도의 변화를 하위범주별로 알아 본 결과, 인식에서는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여학생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서는 읍면지역 여학생에게서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과학태도에 대한 효과가 지역별로 차이가 있고, 중소도시보다 읍면지역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3. 박병태, 신동희 (2010). 과학성취도 최상위 학생의 과학문제해결 과정에서 성공자와 실패자의 성별 특성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173-189. 

  4. 신동희 (2000).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자연'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193-199. 

  5. 신영준 (2000).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이 반영된 문제중심 간학문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100-109. 

  6. 염만숙 (2004). 과학창의력에 나타나는 성차 연구: 제3회 한국과학창의력 경시대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과 과학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8. 전영석, 신영준 (2004).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42-458. 

  9. 정영란, 권혜영 (2003).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 경험, 흥미 등에서의 성 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학연구, 7(1), 19-33. 

  10. 최경희 (2001). 과학교과에서의 양성 평등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개발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213-230. 

  11. 최경희, 김경미 (2001). 여학생에게 친근한 과학 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49-159. 

  12. 최수연 (2008). 성별에 따른 과학 관련 흥미, 태도, 학교 밖 경험의 추이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3. Armstrong, J. M. (1981).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women in mathematics: results of two national surve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2(5), 356-372. 

  14. Benbow, C. P., & Stanley, J. C. (1980). Sex differences i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More facts. Science, 222, 1029-1031. 

  15. Johnson, S. (1987).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ompetitions. Science Education, 75(2), 159-167. 

  16. Manthorope, C. A. (1982). Men's science, women's science or science?: Some issues related to the study of girl's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9(1), 65-80. 

  17. Kahle, J. B., & Lakes, M. L. (1983). The myth of equality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2), 131-140. 

  18. Kahle, J. B., & Meece, J. (1994). Research on gender issues in the classroom.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VolumeII), (pp. 542- 557). New York: MacMillan. 

  19. Kelly, A. (1987). Why girls don't do science. In A. Kelly (Ed.), Science for girls?, (pp. 100- 112). Milton Keynes, UK: Open University Press. 

  20. Kimura, D. (1992). Sex difference in the brain. Scientific American, 267, 18-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