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활용한 탐구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An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among Science-Gifted Students in Inquiry Learning Based on Analogical Experimental Design Strategy Emphasizing Understanding and Checking Stag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4, 2012년, pp.671 - 685  

유지연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개발 적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영재로 구성된 4개의 소집단을 대상으로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실험 설계 과정의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영재들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개별 진술 및 상호작용 단위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소집단이 확장이동형(RM), 1개의 소집단이 후진-확산이동형(BDM)에 해당하였다. 과학영재들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개별 진술 및 상호작용 단위 수준에서 과제관련 진술의 빈도가 높았으며 특히, 의견제시 진술과 대칭적 정교화 상호작용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전략의 단계별 분석 결과, 이해 단계에서는 설명하기와 질문하기, 누적형 상호작용이 많았으며, 설계 단계에서는 의견제시와 누적형, 논쟁형 상호작용이 많았고, 검토 단계에서는 의견제시와 의견받기, 논쟁형 상호작용이 많았다.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략의 모든 단계에서 유형간 상호작용 단위 수준에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개별 진술의 경우 설계 및 검토 단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ogical experimental design strategy emphasizing understanding and checking stages and applied it to four groups consisting of 7th grade science-gifted students. We classified the patterns of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and analyzed the verbal interactions amo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모든 소집단이 비유 실험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부피와 개수를 이용한 전략이나 곡물을 일렬로 나열한 후 전체 길이를 개수로 나누는 전략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소집단 A, B, C의 경우 새로운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자신이 비유 실험에서 사용한 전략 뿐 아니라 다양한 다른 전략들을 동시에 논의하며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 과정에서 곡물과 올레산 분자를 잠재적으로 대응시키고 '올레산 분자는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개수를 셀 수 없다'와 같은 차이점을 파악하여 올레산의 전체 부피와 넓이를 활용하는 새로운 전략을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의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탐구 학습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개발∙적용하여,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 1차시의 비유 실험 활동은 학생들에게 친숙한 소재인 곡물을 올레산 분자의 비유물로 설정하여 곡물의 크기를 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개별적으로 설계하고, 곡물을 직접 조작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으로, 실제 탐구 문제에 대한 실험 설계 과정에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교사는 과학영재 학생들이 설계한 다양한 실험 방법을 정리하고 학생들이 직접 실험을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유실험 활동을 실시한 후, 2차시의 이해 단계에서 비유 실험을 회상하여 정리해보는 활동을 10분 동안 실시 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험 설계 과정 및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발된 수업 전략이 과학영재의 실험 설계 과정 및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창의적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전략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략의 모든 단계에서 유형간 상호작용 단위 수준에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개별 진술의 경우 설계 및 검토 단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험 설계 과정 및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발된 수업 전략이 과학영재의 실험 설계 과정 및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창의적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전략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또한 토론의 초점 유지 여부에 따른 상호작용 단위는 한 사람에 의해 시작된 대화의 초점이 질문하기, 조절하기 등의 진술로 인하여 바뀌는 경우 새로운 상호작용 단위가 시작되는 것으로 정하였다. 상호작용 단위의 분류틀(그림 1)은 대화를 주고받는 형태에 따라 구성원이 모두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는 대칭적 상호작용과 일부가 기여하는 형태인 비대칭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을 상호작용의 질에따라 단순 또는 정교화 상호작용으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경순 (2005). 화학 개념 학습에서 협동적 CAI와 상호동료교수적 CAI의 효과: 개념 이해와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 김현경 (2008). 과학고 화학 토론수업에서 모둠별 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3. 류설진 (2009). 생물학자와 과학영재의 실험설계활동에서 나타나는 과정요소와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5.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6.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 (2006).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 상호작용, 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5), 509-520. 

  7. 유지연, 박연옥, 노태희 (2011). 비유 실험을 활용한 탐구 학습이 과학영재의 실험설계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986-997. 

  8. Alexopoulou, E., & Driver, R. (1997). Gender differences in small group discussion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4), 393-406. 

  9. Anderson, T., Howe, C., Soden, R., Holliday, J.,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1), 1-32. 

  10. Bryce, T., & MacMillan, K. (2005). Encouraging conceptual change: The use of bridging analogies in the teaching of action reaction forces and the 'at rest' condition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6), 737-763. 

  11. Darius, P. L., Portier, K. M., & Schrevens, E. (2007). Virtual experiments and their use in teaching experimental design.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5(3), 281-294. 

  12. Derry, S., Tookey, K., & Chiffy, A. (1994). A microanalysis of pair problem solving with and without a computer too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13. Etkina, E., Heuvelen, A. V., White-Brahmia, S., Brookes, D. T., Gentile, M., Murthy, S., Rosengrant, D., & Warren, A. (2006). Scientific abilities and their assessment.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 2(2), 1-15. 

  14. Kirby, J. R., Moore, P. J., & Schofield, N. J. (1988). Verbal and visual learning styl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3(2), 169-184. 

  15. Lou, Y., Abrami, P. C., & d'Apollonia, S. (2001). Small group and individual learning with technology: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1(3), 449-521. 

  16. Lumpe, A. T. (1995). Peer interaction in science concept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6), 302-309. 

  17. McKnight, L. (2000). Changing the middle years: Reflections and intentions. Melbourne, Victoria: DEET.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Orgill, M., & Bodner, G. M. (2004).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using analogies to teach chemist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5(1), 15-32. 

  20. Paatz, R., Ryder, J., & Schwedes, H. (2004). A case study analysing the process of analogy-based learning in a teaching unit about simple electric circu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9), 1065-1081. 

  21. Richland, L. E., Zur, O., & Holyoak, K. J. (2007). Cognitive supports for analogi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Science, 316, 1128-1129. 

  22. Sternberg, R. J., Kaufman, J. C., & Pretz, J. E. (2002). The creativity conundrum: A propulsion model of kinds of creative contributions. New York: Psychology Press. 

  23. Taber, K. S. (2001). When the analogy breaks down: Modelling the atom on the solar system. Physics Education, 36(3), 222-226. 

  24. Watson, J. R., Swain, R. L.,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s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25-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