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전략과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bility to Infer the Effects of Variables and Variable-Controlling Strategy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inking Scienc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4, 2011년, pp.587 - 599  

이상권 (전남대학교) ,  백명화 (전남대학교) ,  이종백 (전남대학교) ,  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  박종윤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이 이를 경험하지 못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변인 통제 전략의 적용과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변인 통제 전략 유형은 조작변인의 인식과 변인 통제의 여부에 따라 변인 통제전략 성공형, 변인 통제전략 미완성형, 부분통제형, 통제 불가능형, 변인 통제전략 실패형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변인 통제 전략을 보다 정화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의 효과 추론 능력을 분석한 결과 가역적 사고가 가능한지의 여부와 변인의 효과를 추론할 수 있는지에 따라 변인효과 추론 가능형, 변인효과 추론 불가능형, 가역적 사고 불가능형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이 변인효과 추론 가능형에서 통제집단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보상논리 조작을 포함하는 가역적 사고가 가능한 학생들은 형식적 조작기 이상의 학생들에게서 가능하였다. 직관적으로 얻기 힘든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은 두 집단 모두 형식적 조작기 후기에 도달한 인지 수준의 비율과 비슷하였으며, 추론에 성공한 학생들의 비율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1.5배 정도 더 많았다. 따라서 변인 통제능력과 변인을 추론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 프로그램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able-controlling strategy (below vcs) and the ability to infer the effect of variabl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inking Science' activities in a CASE program. For this study, 71 9th grade students experienced in CASE program for 2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SRT Ⅶ 검사지에서 사용하는 변인 통제 문항은 완벽하게 통제되지 않는 조건에서 시범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변인 통제의 효과를 추론하여 종속변인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통제되지 않은 변인 가운데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의 효과를 보상 논리 조작이 가능한 가역적 사고를 통하여 연역적으로 추론할 수 있어야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SE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교재인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과 이를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을 비교하여 변인 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변인 통제 전략을 적용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의 효과와 직관적으로 얻기 힘든 변인의 효과를 연역적으로 추론하는 능력은 어떠한가를 분석하여 변인 통제의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위한 처치 프로그램과 교수 학습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이 이를 경험하지 못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변인 통제 전략의 적용과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검사하는 도구인 SRT Ⅶ을 활용하여 CASE 프로그램의 ‘생각하는 과학’의 모든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과 이를 경험하지 못한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전략의 적용과 변인의 효과 추론 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SRT Ⅶ은 금속막대가 휘어지는 데 영향을 미치는 길이, 굵기, 재질, 모양, 추의 무게 등의 다섯 가지 변인들의 효과를 분류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생들이 실험을 할 때 변인들을 통제해야하는 필요성을 아는지, 효과적으로 변인 통제 전략을 적용하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들, 즉 길이, 굵기, 추의 무게 등의 효과를 연역적으로 추론하는 능력과 직관적으로 얻기 힘든 변인들, 즉 모양과 재질의 효과를 연역적으로 추론하는 능력을 검사한다.

가설 설정

  • S1: 그냥, 둥근 막대가 네모 막대보다 더 잘 휠거라고 생각했어요. 네모는 각이 져있어서 잘 휠거같지 않아요.
  • S2: 실험4에서 철보다 구리 길이가 더 짧으니까..
  • S: 그렇긴 한데요 어려워요.
  • S: 실험 4가 첨으로 모양이 틀린 것 갖고 실험하잖아요..
  • T: 둥근 막대 B가 네모 막대 E 보다 잘 휘어진다고 적었는데,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어요. 왜 그렇게 생각했나요?
  • T: 왜 둥근 막대 B가 네모 막대 E 보다 잘 휘어진다고 생각했어요?
  • T: 왜 막대 모양의 효과는 답을 쓰지 않았나요?
  • T: 왜 비슷한 정도로 휘어져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인 통제 전략 유형은 조작변인의 인식과 변인 통제의 여부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 연구에서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이 이를 경험하지 못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변인 통제 전략의 적용과 변인의 효과를 추론하는 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변인 통제 전략 유형은 조작변인의 인식과 변인 통제의 여부에 따라 변인 통제전략 성공형, 변인 통제전략 미완성형, 부분통제형, 통제 불가능형, 변인 통제전략 실패형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변인 통제 전략을 보다 정화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의 효과 추론 능력을 분석한 결과 가역적 사고가 가능한지의 여부와 변인의 효과를 추론할 수 있는지에 따라 어떻게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는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변인 통제 전략을 보다 정화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변인의 효과 추론 능력을 분석한 결과 가역적 사고가 가능한지의 여부와 변인의 효과를 추론할 수 있는지에 따라 변인효과 추론 가능형, 변인효과 추론 불가능형, 가역적 사고 불가능형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이 변인효과 추론 가능형에서 통제집단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기초탐구능력과 문제 해결의 직접적인 도구로 쓰이는 고차원적인 능력인 통합 탐구능력에는 어떤 요소가 포함되어있는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기초탐구 기능으로는 관찰, 분류, 측정, 추리, 예상과 같은 탐구 활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합탐구 기능에는 문제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변환 및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와 같은 탐구 활동 요소가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선자, 최병순 (2005). 변인 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11-121. 

  2. 김영민, 김수현 (2009).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논리적 사고 능력에 대한 메타 분석 -1980-2000년까지의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37-449. 

  3. 김영식 (1999).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에 따른 변인 통제 능력의 형성과 특수 전이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과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5.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 변인 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6. 최병순, 최미화, 남정희, 이상권 (2002a). Thinking Scinece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22-431. 

  7. 최병순, 한효순, 강성주, 이상권, 강순희, 박종윤, 남정희 (2002b). CASE 프로그램에 의한 중학생들이 인지가속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37-850. 

  8. 한윤덕 (2001). CASE의 변인 통제 학습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변인 통제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 (2002). '생각하는 과학'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 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10. Adey, P., & Shayer, M. (1990).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67-285. 

  11. Adey, P., & Shayer, M. (1992).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I:Testing the permanency of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0), 1101-1115. 

  12. Adey, P., & Shayer, M. (1993).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V:Three years after a two-year interv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51-366. 

  13. Adey, P., & Shayer, M. (1994). Really raising standards. London and New York. 

  14. Ginsburg, H., & Opper, S. (1979). Piaget's theory of intellectual development. NJ: Prentice-Hall, Inc. 

  15. Karplus, R. (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CA. 

  16. Lawson, A. E., & Wollman, W. T. (1976). Encouraging the transition from concrete to formal cognitive functioning an experiment. Jo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3, 413-430. 

  17. Lawson, A. E. (1993). Deductive reasoning, brain maturation, and science concep acquistion: Are they linke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029- 1051. 

  18. Linn, N. C. (1980). When do adolescents reason?.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29-440. 

  19. Piaget, J., & Inhelder, B.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New York: Basic Books, INC. 

  20. Rosental, D. (1979). The ac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The effects of two training procedure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4, 125-140. 

  21. Ross, J. A. (1988). Controlling variables: A meta-analysis of training strategi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1), 405-437. 

  22. Wylam, H., & Shayer, M. (1980). CSMS science reasoning tasks. NFER Publishing Co.: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