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리산국립공원 식물종의 생물계절성 연구
A Study on the Plants for Phenology of the Mt. Jiri National Par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4 no.2, 2011년, pp.47 - 57  

신재성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유난희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강희곤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신현탁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onitored forest plant specie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n Jiri Mountain, one of Korea's representative alpine regions, in order to securely preserve plant genetic resources susceptible to climate change and to utiliz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bioclimatology prediction and manag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개화시기조사를 위해 언제를 개화시작시기로 보았는가? 개화시기조사는 식물의 최소 세군데 이상에서 개화된 꽃이 처음 관찰되었을때를 개화시작시기로 보고 개회된 꽃을 전체의 백분율로 조사하여,전체 90~100%가 시든 시기를 전체 꽃이 시든 시기로 보았다. 개엽시기조사는 잎모양으로 보이는것이 세군데 이상에서 관측되었을 때 개엽초로보고, 단풍이 시작된 시기는 전체 잎중에 단풍이든 것이 세군데 이상관찰되었을 때 단풍초로 보고 전체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기록하였으며, 낙엽은 잎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이 세군데 이상 관찰되었을 때, 낙엽시작시기로 보고 백분율로 기록하였다.
식물페놀로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 어떤 연구들이 진행 중인가? 식물페놀로지에 대한 연구는 식물과 동물의 생활사에 대해 매년 반복해 볼 수 있는 현상이 생기는 시기를 기후에 관련시켜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식물의 생활사이클에서의 가시적인 변화를 기후 및 환경요인과 관계를 통계적 관점에서 발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자발아, 개화, 개엽, 낙엽, 초본의 지상부의 회수등의 성장패턴, 식물의 발달단계, 세포분화, 양분저장양식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근래에는 지구 온난화 등의 지구환경변동이 가져오는 생물상에의 영향 예측하는데 페놀로지 접근법이 활용되고 있다(藤本, 2007).
지리산 국립공원은 언제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제 1호로 지정되었는가? 본 조사지역인 지리산 국립공원은 1967년 12월 27일에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제 1호로 지정되었다(내무부, 1993). 남한 내륙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을 주봉으로 하여 면적 485Km2 로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가장 넓으며, 아고산대가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공우석. 2007. 생물지리학으로 보는 우리식물의 지리와 생태. 서울:지오북. 

  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2003. 지리산 자연자원 조사 모니터링 -식물상-.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지리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plate -5차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4. 국립산림과학원. 2009. 기후변화의 산림생태계 영향과 적응. 국립산림과학원 보고서. 

  5. 국립산림과학원. 2010. 기후변화에 대응한 난.아열대 수종의 육성방안. 서울:국립산림과학원. 

  6.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 -남부아구(전라도 및 지리산)-. 서울:국립수목원. 

  7. 국립수목원. 2009. 2009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전?적응사업 보고서. 국립수목원 보고서. 

  8. 김준호?류병태. 1985. 관악산의 고도에 따른 진달래와 철쭉꽃의 개화와 개엽시기. 한국생태학회지 8:53-59. 

  9. 김진석?정재민?이병천?박재홍. 2006. 한반도 풍혈지의 종조성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6(1):61-89. 

  10. 김원. 1978. 대구분지의 식물의 개화에 관하여. 경북생물학회지 8:137-147. 

  11. 내무부. 1993.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지리산 국립공원). 내무부 보고서. 

  12. 민병미?최재규. 1993. 수 종 목본식물의 화력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6(4):477-487. 

  13. 박종철?양금철?장동호. 2010.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5(1):29-41. 

  14. 산림청. 2008. 기후변화가 임업?임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연구. 산림청 보고서. 

  15. 산림청?국립수목원. 2009.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전?적응사업 조사 매뉴얼. 서울:국립수목원. 

  16. 이승법?신경섭?조영순?손승희. 2003. 식물계절에 나타난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13(1):468-471. 

  17. 임양재. 1986. 한국산 식물의 화기에 미치는 온도기후의 영향. 한국양봉학회지 1:67-84. 

  18. 임양재. 1987. 한국산 식물의 개화에 미치는 온도기후의 영향. 양봉을 위한 밀원식물과 화분원 식물의 개발을 위하여. 한국양봉학회지 2:9-28. 

  19. 임양재?김정언. 1992. 지리산의 식생. 서울:중앙대학교 출판부. 

  20. 임양재?임문교?심재국. 1983. 한국의 온도기후와 생물의 계절변화. 한국식물학회 26(2):101-117. 

  21. 임양재?조무연. 1977. 홍릉수목원 수종의 개화기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1:17-23. 

  22. 추갑철?김갑태. 2004.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 지대의 식물분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181-186. 

  23. 한국자연보존협회. 1983. 지리산 피아골 일대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보고서. 

  24. 환경부. 2008.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환경부 보고서. 

  25. 환경부. 2009. 국가장기생태연구(II). 환경부 보고서. 

  26. 환경청. 1998. 지리산지역의 식물상. 지리산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청 보고서. 

  27. 藤本征司. 2007. 廣葉樹29種の10年間の開芽フェノロジ?觀測に基づく開芽日予測法の檢討.日本森林學會誌 89(4):253-261. 

  28. Houghton, J. T., L. G. Meira Filho, B. A. Callander, N. Harris, A. Kattenberg and K. Maskell.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29. Menzel, A., Sparks, T., Estrella, N., Koch, E., Aasa, A., Ahas, R., Alm-Kubler, K., Bissolli, P., Braslavska, O., Briede, A., Chmielewsky, F., and Crepinsek, Z. 2006. European phenol- ogi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matches the warming pattern. Global Change Biology. 12(10):1969-1976. 

  30. Root T. L., Price J. T., Hall R .K., Schneider S. H., Rosenzweig C., and Pounds J. A. 2003. Fingerprints of global warming on wild animals and plants. Nature 421:57-60. 

  31. Schwartz, M. D. 2003. Phenology:Anintegrative environmental science. Springe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