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IT Industry Employees' Intent to Leav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5, 2011년, pp.369 - 383  

이우경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최수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IT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교환론적 시각에 입각하여 이직의도 결정요인들을 체계적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Price의 이직의도모형에 근거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10개 IT업체 종업원 370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도구로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주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과업보상변수(직무다양성, 직무자율성, 직무도전성, 역할모호성), 두 개의 사회적 지원 변수(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세 개의 조직보상변수(승진기회,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그리고 환경변수인 구직기회가 총효과의 측면에서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의 방향은 이론적 예측과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보상변수들에 덧붙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두 변수도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총효과의 크기의 측면에서 이직의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고, 향후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among IT industry employees, based on the Price's structural model of employee turnover.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70 employees from 10 IT firm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IT기업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폭넓은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종합적 실증적으로 탐구함으로써 IT산업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변수들간의 단순상관계수가 .
  • 본 연구결과는 이직의도와 관련하여 IT업계 종사자들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관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는 Price의 구조적 모형에 입각하여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이 모형이 그동안 이직 및 이직의도에 대하여 수행된 다양한 이론적·경험적 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검토에 바탕을 두고 구성되었기 때문에 모형이 매우 포괄적이고 종합적일 뿐만 아니라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이 경험적으로 매우 확고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 [24]은 다양한 내적 경력지향 변수들을, 그리고 Igbaria & Greenhaus[7]는 승진가능성, 커리어기회, 급여,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인구통계변수를 이직의도 결정요인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수의 결정요인들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보다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이직율을 보이고 있는 IT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교환론적 시각에 입각하여 이직의도 결정요인들을 체계적·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Price의 이직의 도모형에 근거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산업에서 이직 의도를 보이는 종업원들이 높은 비율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IT산업에서 이직을 하거나 이직의도를 보이고 있는 종업원들이 이처럼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한 이유는 IT산업의 고속성장에 따라 인력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수요를 충족시킬 정도로 충분한 인력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많은 IT기업들이 신규인력의 충원부족은 물론 숙련된 연구개발 인력이나 기술인력의 이직과 유출로 인해 인적자원 확보 및 관리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4][5].
이직이 기업에 주는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이직은 개인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경력개발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가치를 높이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있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채용 관련 비용의 증가는 물론 업무공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동료 구성원들의 동요와 사기저하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3][6]. IT산업의 높은 이직률을 감안할 때 IT산업에서의 이직관리와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있다.
이직이 개인에게 주는 긍정적 효과는 무엇인가? 사정이 이렇다보니, 많은 IT기업들이 신규인력의 충원부족은 물론 숙련된 연구개발 인력이나 기술인력의 이직과 유출로 인해 인적자원 확보 및 관리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4][5]. 이직은 개인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경력개발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가치를 높이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있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채용 관련 비용의 증가는 물론 업무공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동료 구성원들의 동요와 사기저하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이광수, "이직의도에 관한 요인분석: IT업계에 종사하는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통계청 웹사이트,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3. 최병권, "미래기업의 인재코드: 새로운 제안", LG 경제연구원, 2005. 

  4. 이선로, 김기영, "국내 IT요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정보화정책, 제13권, 제4호, pp.85-107, 2000. 

  5. P. W. Hom and R. W. Griffeth, "Employee Turnover," Cincinnati, Ohio: South-Western Publising Co., 2000. 

  6. M. Igbaria and J. H. Greenhaus, "Determinants of MI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 Communication of ACM, Vol.35, No.2, pp.478-499, 1992. 

  7. B. J. Thatcher, P. L. Stepina, and J. R. Boyle, "Turnover Intention of Technology Workers: Examining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Attitudes, Job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Market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Vol.19, No.3, pp.231-261, 2003. 

  8.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 pp.237-240, 1997. 

  9. R. W. Griffeth, P. W, Hom, and Gaertner,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oyee Turnover: Updates,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ium," Journal of Management, Vol.26, No.3, pp.463-488, 2000. 

  10. J. L. Price and C. W. Mueller,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1986. 

  11. 서영준, 고종욱, "의약분업 이후 종합병원 의사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보건행정학회지, 제12권, 제4권, pp.68-90, 2002. 

  12. P. A. Armknecht and J. F. Early, "Quits in Manufacturing: A Study of Their Causes," Monthly Labor Review, Vol.95, pp.31-37, 1972. 

  13. C. R. Forest, L. L. Cummings, and A. C. Johnson,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A Critique and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 pp.586-601, 1977. 

  14. R. M. Steers and R. T. Mowday, "Employee Turnover and Post-decision Accomodation Processes,"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Greenwich, ed. L. Cummings & B. Staw, CT: JAI press, pp.235-281, 1981. 

  15. V. H. Vroom, Work and Motivation, NY: Wiley, 1964. 

  16. J. L. Price and C. W. Mueller, Prefessional Turnover: The Case of Nurses, Bridgeport, CT: Luce, 1981. 

  17. J. G. March and H. A. Simon, Organizations, NY: John Wiley, 1958. 

  18. L. W. Porter, R. M. Streers, R. T. Mowday, and P.V. Boulia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9, pp.603-609, 1974. 

  19. J. L. Price, The Study of Turnover,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20. T. W. Lee, and T. R. Mitchell, "An alternative Approach,"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9, pp.51-89, 1994. 

  21. 김종민,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2. 오정환, 관광호텔종사원의 이직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3. 최무진, "국내 IS요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7권, 제1호, pp.49-65, 2001. 

  24. M. K. Hsu, J. J. Jiang, G. Klein, and Z, Tang, "Perceived Career Incentive and Intent to Leav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0, No.3, pp.361-369, 2003. 

  25. A. L. Kalleberg,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2, pp.124-143, 1997. 

  26. R. T. Mowday, L. M. Porter, and R. M. Steers,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pp.603-609, 1974. 

  27. R. Katz and J. Van Maanan., "The Loci of Work Satisfaction: Job Interaction and Policy," Human Relations, Vol.30, pp.469-486, 1977. 

  28. C. J. Mottaz,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 Vol.41, No.4, pp.467-482, 1988. 

  29. J. R. Hackman and E. E. Rawler III,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5, No.3, pp.259-286, 1971. 

  30. J. R. Hackman and G. R. Oldham, Work Rede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1980. 

  31. J. R. Rizzo, R. J. House, and S. I. Lirtzma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5, pp.150-163, 1970. 

  32. J. S. House, Work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2004. 

  33. J. W. Adams, "Inequality in Social Change," in Berkowits, L. (ed), Advances in Experimental and Social Psychology, NY: Academic Press, 1965. 

  34. F. W. Taylor,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NY: Harper and Row, 1911. 

  35. J. L. Price, The Development of a Causal Model of Voluntary Turnover," in Innovative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on Employee Turnover, ed. Griffeth, R. W. and P. W. Hom, Greenwich, Conneticut: Information Age Publishing Co., pp.3-32. 2004. 

  36. J. L. Cotten and J. M. Tuttle, "Employee Turnover: A Meta-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pp.55-70, 1985. 

  37. R M. Griffeth, P. W. Hom, and S. Gaertner,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loyee Turnover: Updates,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ium," Journal of Management, Vol.26, No.3, pp.463-488, 2000. 

  38. J. L. Price, "A Role of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Study of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er Management, Vol.7, No.5, pp.26-32, 1995. 

  39. G. B. Roberta and J. N. Ian, "Testing a Model of Absence and Intent to Stay in Employment: A Study of Registered Nurses in Malt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y Vol.34, No.5, pp.375-384, 1997. 

  40. T. S. Bateman and S. A. Strasser,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7, pp.95-112, 1984. 

  41. D. B. Currivan, "The Causal Order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odel of Employee Turnover,"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9, No.4, pp.495-524, 1999. 

  42. D. M. Irvine and M. G. Evan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Nurses: Intergrating Research Findings across Studies," Nursing Research, Vol.44, No.4, pp.246-253, 1995. 

  43. P. T. Robert and P. M. Joh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i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al Psychology, Vol.46, pp.259-295, 1993. 

  44. 김계수, AMOS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고려정보산업, 2001. 

  45.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4, 1988. 

  46.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47.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New York: MacMiillan Publishing Co. 

  48.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49. P. W. Hom and R. W. Griffeth, Employee turnover, An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Company, 1995. 

  50. R. T. Mowday, L. M. Porter, and R. M. Steers,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Y; Academic Press, 1982. 

  51. 김상욱, 유홍준,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요인: 전국 패널조사를 사용한 GLM 및 GEE추정", 2001년도 후기 한국사회학 학술대회 연제집,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