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에서 피부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억제대 개발 및 적용효과
Effect of a New Developed Physical Restraint to Reduce Skin Injury in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1, 2011년, pp.28 - 36  

문정숙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  이경남 (거제대학 간호과,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동숙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건강돌봄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new restraint for the intensive care units (ICU) an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ffect in comparison with a control group using existing restrai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임상현장에서의 억제대 적용 경험에 근거하고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중환자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손목 억제대(Benbenbishty et al., 2010; Kim & Park, 2010)에 대하여 피부손상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간호사가 적용하기 편리하도록 고안한 새로운 억제대를 개발하여 직접 임상현장에 사용하고 기존 억제대와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비해 치료적 목적으로 억제대가 빈번하게 사용될 수밖에 없는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억제대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억제대를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Kim과 Park (2010)은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의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중 한 가지라도 발생한 억제대 부작용 발생율이 43.
  • 본 연구는 짧은 기간 내에 억제대의 사용 효과를 측정하였으므로 장기간 억제대의 효과로 설명하는 데는 제한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피부손상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의 억제대 적용 후 그 부위의 발적과 찰과상 발생유무를 확인했다. 먼저 담당간호사와 본 연구자가 억제대를 적용하기 전 피부 손상 유무(발적과 찰과상)를 확인하고 피부손상이 없는 대상자에 한하여 대조군이나 실험군으로 표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억제대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자는 Seo와 Lee (1996)가 개발한 억제대를 토대로 간호학 교수 1인 및 중환자실 간호사들과 논의 후 새로운 억제대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받았다. 이를 기초로 억제대 샘플을 제작하여 중환자실 환자에게 일차적으로 적용해 본 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중환자실에 적합한 억제대를 수정, 보완하였다.
  • , 2010; Kim & Park, 2010)에 대하여 피부손상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간호사가 적용하기 편리하도록 고안한 새로운 억제대를 개발하여 직접 임상현장에 사용하고 기존 억제대와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억제대 사용에 따른 환자의 불편과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간호사에게는 부정적인 억제대 사용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를 감소시키며 효율적이고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억제대 적용 용이성이 높을 것이다.
  • •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억제대 적용부위에 부종이 적게 나타날 것이다.
  • •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억제대 적용부위에 피부손상이 적게 나타날 것이다.
  • • 제 1가설: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억제대 사용 부위의 부종을 적게 나타낼 것이다.
  • • 제 2가설: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억제대 사용부위의 피부손상을 적게 나타낼 것이다.
  • • 제 3가설: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억제대 적용 용이성이 높을 것이다(Table 4).
  • - 부가설 2.1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 보다 발적 발생 건수가 적을 것이다.
  • - 부가설 2.2 개발된 억제대는 기존의 억제대보다 찰과상 발생 건수가 적을 것이다.
  • - 부가설 3.1 개발된 억제대의 적용 및 제거의 용이성은 기존 억제대의 적용 및 제거의 용이성 보다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2 개발된 억제대의 유지성은 기존의 억제대의 유지성보다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3 개발된 억제대의 억제대 적용시 소요시간은 기존 억제대의 억제대 적용 시 소요시간보다 짧을 것이다.
  • - 부가설 3.3 개발된 억제대의 억제대 적용시 소요시간은 기존 억제대의 억제대 적용 시 소요시간보다 짧을 것이다.
  • - 부가설 3.4 개발된 억제대의 체위변경의 용이성은 기존 억제대의 체위변경의 용이성보다 높을 것이다.
  • - 부가설 3.5 개발된 억제대의 억제 후 조여짐 정도는 기존 억제대의 억제 후 조여짐 정도보다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nbenbishty, J., Adam, S., & Endacott, R. (2010). Physical restraint use in intensive care units across Europe: The PRICE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6, 241-245. 

  2. Cho, Y. A., Kim, J. S., Kim, N. R., Choi, H. J., Cho, J. G., Lee, H. J., et al. (2006). A study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IC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 543-552. 

  3. Hofso, K., & Coyer, F. M. (2007a). Part1. Chemical and physical restraints in the management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CU: Contributing factor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3, 249-255. 

  4. Hofso, K., & Coyer, F. M. (2007b). Part2. Chemical and physical restraints in the management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CU: A patient perspectiv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3, 316-322. 

  5. Kang, S. H. (2003). A study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Kwangju. 

  6. Kim, K. S. (2000). A study on perceptions about physical restraint use of nurses' and doctors' in hospital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7. Kim, K. S., Kim, J. H., Lee, S. H., Cha, H. K., Shin, S. J., & Chi, S. A. (2000). The physical restraint use in hospital nursing sit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60-71. 

  8. Kim, M. A., & Seo, M. J. (1992). Study on the sleep amount of pati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o the sleep amount in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4, 30-42. 

  9. Kim, M. J., Ku, M. O., Kim, J. H., Kim, H. S., Kim, W. S., Jang, H. J., et al. (2009).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Hyunmoonsa 

  10. Kim, M. Y., & Park, J. S.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177-186. 

  11. Lee, E. O., Lim, N. R., & Park, H. A. (1998). Medical care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2. Lee, Y. G., Cho, Y. H., Kim, S. A., Kim, J. K., Kim, H. M., Kim, H. E., et al. (2003). The study on physical restraint use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rch, 8(2), 117-130. 

  13. Minnick, A. F., Mion, L. C., Johnson, M. E., Catrambone, C., & Leipzig, R. (2007). Prevalence and varia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setting in the U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 30-37. 

  14. Mion, L. C. (2008). Physical restraint in critical care settings: Will they go away? Geriatric Nursing, 29, 421-423. 

  15. Seo, S. H., & Lee, H. Y.(1996). The development of physical restraints for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8, 361-374. 

  16. Strumpf, N. E., & Evans, L. K. (1988). Physical restraint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erceptions of patients and nurses. Nursing Reserch, 37, 132-137. 

  17. Unpyeong Institute of Language. (1999). Great Korean Dictionary. Seoul: Kumsung. 

  18. Yeo, J. M. (2005).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on the use of restrai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of Korea,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