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성과 달성도의 공학교육인증 졸업기준 적용에 대한 논의점
Discussions on Applying Program Outcomes to Graduation Requirements in ABEEK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4 no.4, 2011년, pp.62 - 68  

박진원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engineering schools in Korea implement ABEEK programs. One of the core parts of ABEEK is accreditation criterion 2, the program outcomes and their appraisal. This paper tries to discuss the program outcomes and to study the impact of applying the program outcomes to one of the graduation requ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공학교육인증제에서 학습성과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비해 일정 수준의 학습 성과 달성 여부를 졸업 기준과 연계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전반적인 의견 일치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프로그램 학습성과와 다른 인증 기준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과, 이를 졸업 기준으로 설정함에 따른 논의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I장 서론에 이어, II장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분석하고, III장에서 학습성과를 실제 공학교육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 대학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학교육인증제의 핵심 부분은 무엇인가? 국내 공과대학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공학교육인증제에서 핵심 부분은 인증기준 2 ‘프로그램 학습성과 및 평가’일 것이다. 그러나 공학교육인증제를 처음 접하는 교수나 학생들은 인증기준 2를 가장 어렵게 생각하고 이를 명확히 이해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사용한다(김복기 외, 2009).
학습성과 달성도를 인증졸업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학습성과 평가가 프로그램의 CQI 측면과 졸업생의 QC를 위해 설정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타당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성과 달성도를 인증졸업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은 학습성과 평가가 프로그램의 CQI 측면과 졸업생의 QC를 위해 설정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일견 타당해 보인다(김명랑 외, 2007). 졸업생들이 달성한 학습성과를 평가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교육 성과가 어느 수준으로 달성되었는지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 인증제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성과평가를 통해 졸업생들이 일정 수준의 자질을 갖추고 졸업하는가 평가하는, 졸업생 QC의 개념으로도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학습성과 달성도를 졸업생 개개인의 인증졸업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은, Table 2에 정리된 인증 졸업 기준과 앞 장에서 서술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제시할 수 있다.
기타 학습성과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을 묻는 설문에 제시된 의견에는 무엇이 있는가? 기타 학습성과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을 묻는 설문에 대해, 학습성과 항목 자체를 각 교육기관의 상황과 철학에 맞게 자율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게 하자, 전공별 특성에 따른 세부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학습성과에 대한 목표가 추상적이고 모호하다, 학습성과 항목이 너무 많다, 학습 성과의 형식 자체는 이상적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Washington Accord 가입을 위해 억지로 추진하는 것 아닌가, 9번(정보기술의 사회적 연관성 이해), 10번(시사적 기본 지식), 11번(책임 의식), 12번(국제 감각)은 측정도구 개발이 어렵고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객관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높다는 등의 이유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곽진숙 외(2007), 학생들이 인지한 학습성과 달성도와 학점과 의 상관관계 연구, 공학교육연구, 10(1): 34-59. 

  2. 김명랑 외(2004),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1 초점그룹, 공학교육연구, 7(4): 22-31. 

  3. 김명랑 외(2005),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2 학생 포트폴리오, 공학교육연구, 8(4): 64-71. 

  4. 김명랑 외(2007a),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3 졸업 논문, 공학교육연구, 10(1): 97-108. 

  5. 김명랑 외(2007b),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공학교육연구, 11(4): 46-57. 

  6. 김복기 외(2009), 국제성함양과 관련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선 연구, 공학교육연구, 12(2): 63-70. 

  7. 김정식(2007), 교과목 및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전략적 접근, 공학교육연구, 10(2): 73-86. 

  8. 박강 외(2000), ABEEK 인증을 대비한 프로그램 교육목적 및 학습성과 설정, 공학교육연구, 3(2): 51-60. 

  9. 박윤국(2006), 교과목 성취도에 근거한 학습성과의 평가 -시험과 보고서를 위주로, 공학교육연구, 9(3): 62-66. 

  10. 한지영(2008),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관한사례 연구1), 공학교육연구, 11(1): 23-33. 

  11. 한지영(2009),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코스임베디드 평가의 적용 가능성 고찰, 공학교육연구, 12(3): 96- 106. 

  12.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0), 평가위원 워크샵 자료, 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