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방향 고찰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7 no.2, 2011년, pp.246 - 256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ith the decrease in available clinical sites, a decrease in adequately prepared clinical faculty, and demand to prepare health care students to begin work, we need alternative methods to teach clinical skill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use of simulation as an educational proces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을 위한 방향이 제시된다면 좀 더 표준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라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을 고찰하여 현재까지 다루어진 주요 컨텐츠와 검토된 효과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을 국내 간호학 실습교육에 적용할 때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효과적인 정착과 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구축할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을 적용하려면 본 연구의 틀로 제시된 것처럼 학습자, 사용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그룹 크기, 사례나 시나리오, 시뮬레이터 타당도, 성과 측정 등의 내용을 검토해야 한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최근 부각되고 있는 시뮬레이션기반학습과 관련되어 검토해야 할 내용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는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멀티미디어 기술, 모형, HPS 등 실제와 같은 환자와 시나리오를 통해 재현된 임상환경에서 사람이나 사물과 상호작용하며 문제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의 임상 및 상황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하는 실제적인 현장체험학습을 말한다(이우숙 등, 2009).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 지식전달을 통한 지적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환자를 대하는 태도 및 간호술기 함양 등을 위해 대학의 실습실에서 이루어지는 교내실습 교육을 지칭한다.
  • 기계적 조작을 통해 발생 가능한 상황을 인위적으로 재현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훈련에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시뮬레이터(모델이나 기구)를 사용하여 모의적으로 교육 또는 훈련하는 것을 말한다(Cooper & Taqueti, 2004).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무와 가장 유사하게 만든 상황이나 사건으로 표현되는 모의현실로서 의사소통 기술의 함양을 돕고, 의사결정이나 비판적 사고를 보이도록 고안된 활동을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간호교육의 목적이 대상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도울 수 있도록 이론과 술기 및 태도를 습득한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이론과 실습교육의 병행은 필수적이다(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양진주, 2008). 간호학 실습교육은 기초간호과학, 건강사정, 기본간호학 등의 교과목에서 대학의 실습실을 이용해 시행되는 교내실습교육과 병원이나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교육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최근 간호계에서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을 보완하는 방안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실습교육을 주목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최근 간호계에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을 보완하는 방안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실습교육이 화두로 떠오르며 주목받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해마다 간호교육기관이 늘어 나지만 실습병원은 턱없이 부족하여 실습기관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급증하는 간호교육기관의 질 관리를 위해 한국간호 평가원은 교과과정 및 교육여건과 교육활동에 대한 최소기준을 설정 및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주기적인 인증평가를 실시 하고 있다.
인증평가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급증하는 간호교육기관의 질 관리를 위해 한국간호 평가원은 교과과정 및 교육여건과 교육활동에 대한 최소기준을 설정 및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주기적인 인증평가를 실시 하고 있다. 인증평가의 목적은 양질의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사회적 책무성 제고, 간호교육의 질적 향상 도모, 간호교육기관 스스로 교육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도록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함(한국간호평가원, 2010)이다. 그러므로 인증평가 과정에서 간호교육기관마다 어려운 실습여건을 어떻게 해결하며 교육을 진행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점검을 통해 질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일선, 김희순, 김인숙,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등 (2010).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평가-응급실 내원 천식환자사례를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17(3), 371-381. 

  2.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2010). MicroSim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24-32. 

  3. 김윤희, 장금성 (201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교육학회지, 41(2), 245-255. 

  4.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시뮬레이션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13. 

  5. 대한간호협회 (2011). 간호교육제도현황 웹사이트: http://koreanurse.or.kr/notice/notice031.asp 

  6. 백지윤 (2006).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송지호 (2011, 5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간호학 임상실습교육의 방향, 한국간호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서울. 

  8. 양진주 (2008).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0(4), 548-560. 

  9.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 90-94. 

  10.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 (2010).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51-60. 

  11.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12.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2009).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83-193. 

  13. 정승은, 이순희 (2010).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경험, 질적연구, 11(1), 50-59. 

  14. 한국간호평가원(2009). 2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의 방향, 서울 

  15. 한국간호평가원(2010). 2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방안. 서울. 

  16. Alinier, G., Hunt, B., Gordon, R., & Harwood, C. (2006). Effectiveness of intermediate-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echnology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3), 359-369. 

  17. Anderson, J. M., Murphy, A. A., Boyle, K. B., Yaeger, K. A., & Halamek, L. P. (2006). Simulat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mergencies to improve human performance. Part II: assessment of technical and behavioral skills. Simulation in Healthcare. 1(4), 228-232. 

  18. Birch, L., Jones, N., Doyle, P. M., Green, P., McLaughlin, A., Champney, C., Williams, D., Gibbon, K., & Taylor, K. (2007). Nurse Educator, 27(8), 915-22 

  19. Bremner, M. N., Aduddell, K., Bennett, D. N., & VanGeest, J. B. (2006). The use of human patient simulators: best practices with novic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31(4), 170-174. 

  20. Cant, R. P., & Cooper, S. J.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21. Cooper, J. B., & Taqueti, V. R. (2004).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1), 11-18. 

  22. Durham, C. F., & Alden, K. R. (2008).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Retrieved May 1, 2011, fro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U.S. Web site http://www.ncbi.nlm.nih.gov/bookshelf/br.fcgi?booknursehb&partch51. 

  23. Gibbons, S. W., Adamo, G., Padden, D., & Ricciard, R. (2002). Clinical evaluation in advanced practice nursing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health assess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5), 215-221. 

  24. Granneman, S., & Conn, V. S. (1996).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cased code blue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2(6), 283-288. 

  25. Harder, B. N. (2010). Use of simul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health scienc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 23-28. 

  26. Issenberg, S, B., McGaghie, W, C., Petrusa, E, R., Lee Gordon, D., & Scalese, R, J. (2005),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27(1), 10-28. 

  27. Kardong-Edgren, S., Lungstrom, N., & Bendel, R. (2009). VitalSim versus SimMan: a comparison of BSN student test scores, knowledge retention, and satisfac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3), e105-e111. 

  28. Larew, C., Lessans, S., Spunt, D., Foster, D., & Covington, B. G. (2006). Innovations in clinical simulation: Application of Benner's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 car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1), 16-21. 

  29. Rivera, T. M., & Gavriel, S. (1995). How effectively do you function in a cardiac arrest? A creative program approach to code skill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6(5), 226-229. 

  30. Wadas, T. M. (1999). Role rehearsal: A mock code program.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8(6), 36-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