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임계수를 이용한 사과 과피 플라보노이드의 효율적 추출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fficient Flavonoid Extraction from Apple Peel by Subcritical Water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3, 2011년, pp.458 - 463  

최찬익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서연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명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subcritical water for the extraction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apple peel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estimated. Maximum yields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36.4{\pm}1.9mg$ quercetin equivalent(QE)/g dried ma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과의 가공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사과과피의 효과적인 이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비교적 새로운 추출 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추출 조건에서 사과 과피로부터 유용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열수, 메탄올, 에탄올을 이용한 기존 추출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플라보노이드의 추출 효율 및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아임계 추출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가공부산물인 사과 과피로부터 기능성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하였고, 이들 성분의 추출 효율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추출 온도와 시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건조된 사과 과피 시료로부터 폴리페놀(36.
  • 9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 이상의 추출 온도에서는 더 이상 활성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제시된 총 폴리페놀및 플라보노이드의 아임계 추출에 대한 추출 온도의 효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들 항산화 물질들의 추출 수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결정되고 있음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가 함유하는 플라보노이드류는 어떤 효과를 갖는가? 사과는 탄수화물,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 등의 영양 성분뿐만 아니라 catechins, procyanidins, dihydrochalcones, flavonols, 및 hydroxycinnamic acid 등의 페놀계 성분 및 다른 유용 식물성분(phytochemicals)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yer & Liu 2004). 사과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이들 식물성분 가운데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는 매우 강력한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계 질환, 암, 및 당뇨 등 다양한 만성질환에 효과를 보여왔으며(Pierpoint WS 1986; Boyer & Liu 2004), 특히 이들 유용 성분이 사과의 과피에 다량 함유된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예방식품소재로서 이들 과피의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이 제시되고 있다(Schieber 등 2003; Boyer & Liu 2004).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방법 중 아임계 추출법의 특징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방법 가운데 하나가 아임계 상태의 순수한 물(subcritical water)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아임계 추출법(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이다. 대기압에서의 100℃ 이하의 물은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상대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 ε)이 매우 높기 때문에(ε>80) 오로지 극성 화합물의 추출에만 이용할수 있고, 비극성 페놀계 화합물이나 플라보노이드의 추출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 그러나 압력 및 온도 조절을 통하여 고온, 고압의 아임계 상태로 만듦으로써 상대유전율이 낮게 전환된(1<ε<25) 아임계 상태의 물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비극성 화합물(non-polar compound)을 추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amos 등 2002). 아임계 상태의 물을 이용한 아임계 추출은 일반적인 추출방법보다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유용물질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는 환경 친화적 공정으로서 현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매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a 등 2001; Smith RM 2002; Ko 등 2011).
사과의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사과 과피 및 사과박 등의 가공 부산물로부터 폴리페놀계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무엇일 사용되었는가? 우리나라의 사과 총 생산량은 2006년 기준으로 약 40만 톤으로 보고되었으며, 직접 섭취 외에 음료 및 잼 등의 가공품 생산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과피 및 부산물의 양은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소재로써 그들의 이용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MAF 2006; Park & Kim 2009). 그러나, 사과의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사과 과피 및 사과박 등의 가공 부산물로부터 폴리페놀계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방법은 식품 제조및 산업화에 있어 추출 용매의 잔류성, 추출 효율 등의 경제성, 그리고 사용상의 법적 규제 등 여러 가지 적용 한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Alonso-Salces 등 2001; Pawliszyn J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onso-Salces RM, Korta E, Barranco A, Berrueta LA, Gallo B, Vicente F. 2001.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phenols in apple. J Chromatogr A 933: 37-43 

  2. Andersson T. 2007. Parameters affecting the extrac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with pressurised hot water. Ph.D. Thesis, Uni. of Helsinki, Finland 

  3. Balasinska B, Troszynska A. 1998.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of evening primrose(Oenothera paradoxa) cake extract measured in vitro by liposome model and murine L1210 cells. J Agric Food Chem 46:3558-3563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8-1200 

  5. Boyer J, Liu RH. 2004. Apple phytochemicals and their health benefits. Nutr J 3:1-15 

  6. Duh PD, Yeh DB, Yen GC. 1992.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component from peanut hull. JAOCS 69:818-819 

  7. Ko MJ, Cheigh CI, Cho SW, Chung MS. 2011.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flavonol quercetin from onion skin. J Food Eng 102:327-333 

  8. Kondo S, Tsuda K, Muto N, Ueda J.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apple skin or flesh extracts associated with fruit development of selected apples cultivars. Sci Hort 96:177-185. 

  9. Lide DR. 2005.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6th ed. Boca Raton, FL, CRC Press 

  10. MAF. 2006. Director-general of investment evaluation and statistics bureau. Agricultural &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pp. 116.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orea 

  11.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12. Park MK, Kim CH.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35-540 

  13. Pawliszyn J. 2002. Comprehensive Analytical Chemistry, Sampling and Sample Preparation for Field and Laboratory. pp. 255-257. Elsevier Science BV 

  14. Pierpoint WS. 1986. Plant Flavonoids in Biology and Medicine,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pp.125-140. Alan R. Liss, Inc. 

  15. Ra YJ, Lee YW, Kim JD, Row KH. 2001.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catechin compounds from green te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327-331 

  16. Ramos L, Kristenson EM, Brinkman UA. 2002. Current use of pressurised liquid extraction and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in environmental analysis. J Chromatogr A 975:3-29 

  17. Schieber A, Hilt P, Streker P, Endre HU, Rentschlber C, Carle R. 2003. A new process for the combined recovery of pectin and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 pomace.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4:99-107 

  18. Smith RM. 2002. Extractions with superheated water. J Chromatogr A 975:31-46 

  19. Whang HJ. 1999.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in Korean apple (fuji)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 Nutr 12: 364-3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