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자 추출물이 돈육 패티의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Storage Properties of Pork Patties Added with Gardenia Fructus Extrac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1 no.5, 2011년, pp.741 - 747  

전미란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최성희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및 식용색소로 사용되어 온 치자는 혈당 저하, 항 종양, 항 혈전, 혈관신생 억제, 항산화,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자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나 육제품에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자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와 항균활성 등 기능성을 살펴보아 치자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이 부여된 건강 지향적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아질산염(50, 100, 150 ppm)과 치자 추출물(0, 0.25, 0.5%)의 첨가량에 따른 돈육 패티의 물리 화학적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을 살펴보았다. 패티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치자 추출물의 첨가에 따라 명도(CIE $L^*$)와 적색도(CIE $a^*$)가 감소되는 반면 황색도(CIE $b^*$)가 증가하였다. 돈육 패티를 가열한 결과 치자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control 군에서는 아질산 첨가량이 많을수록 가열감량이 작았으나, 치자 추출물 첨가에 의한 가열감량의 변화는 명확히 관찰되지 않았다. $4^{\circ}C$에서 6주간 저장 후 패티의 pH, TBARS 및 VBN을 살펴본 결과 치자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은 경향이었으나, TBARS와 VBN은 변화가 없었다. 돈육 패티의 아질산염 잔류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치자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잔류량이 낮았다. 저장 중 미생물 오염을 살펴본 결과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세균은 치자 추출물 첨가에 따라 감소하여 항균 작용을 위한 아질산염 사용의 대체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돈육 패티 제조 시 치자 추출물의 첨가는 아질산염 잔류량을 감소시킴과 함께 저장시 항균성을 증가시켜 건강 향상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 치자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rdenia fructus has been reported to have bioactivities of lowering blood glucose, antitumor, antithrombosis, repression of neogenesis of blood vessels, antioxidant and antibiosis. However,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utilization in meat products have not been studied. The substitution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자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와 항균활성 등 기능성을 살펴보아 치자의 다양한 건강기능성이 부여된 건강 지향적인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아질산염과 치자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패티육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을 살펴보았다.
  •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및 식용색소로 사용되어 온 치자는 혈당 저하, 항 종양, 항 혈전, 혈관신생 억제, 항산화,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자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나 육제품에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자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와 항균활성 등 기능성을 살펴보아 치자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이 부여된 건강 지향적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아질산염(50, 100, 150 ppm)과 치자 추출물(0, 0.25, 0.5%)의 첨가량에 따른 돈육 패티의 물리 화학적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을 살펴보았다. 패티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치자 추출물의 첨가에 따라 명도(CIE L*)와 적색도(CIE a*)가 감소되는 반면 황색도(CIE b*)가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자란 무엇입니까?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상록관목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예로 부터 옷감의 염료 및 식용색소로 사용되어 왔다. 치자는 또한 열을 식히고 이뇨와 해독작용을 하여 한방에서 불면, 혈뇨, 소갈, 황달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NAPRI, 2003).
치자의 용도는 무엇입니까?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상록관목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예로 부터 옷감의 염료 및 식용색소로 사용되어 왔다. 치자는 또한 열을 식히고 이뇨와 해독작용을 하여 한방에서 불면, 혈뇨, 소갈, 황달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NAPRI, 2003). 치자의 성분은 genipin, geniposide, gardenoside 등의 iridoid 배당체, crocin, crocetin 등의 carotenoids, gardanin 등 flavonoid, gardenone, gardendiol 등의 monoterpenes, β- sitoxterol, stigmasterol 등 sterol 화합물 성분이 보고 되어 있다(NAPRI, 2003; Tsai et al.
아질산염의 과다섭취로 인한 부작용은 무엇입니까? , 1998). 그러나 아질산염의 과다 섭취는 methemoglobin 증과 같은 중독 증상을 초래하며, 제 2급 및 3급 아민류와 반응하여 발암성 nitrosamine을 생성하기도 한다(Fiddler et al., 1972). 이렇듯 아질산염의 과다섭취에 대한 부작용과 위험성은 오래 전부터 인지되어 왔지만 아질산염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 발견되지 않음에 따라 이의 사용은 허용하되 잔존량을 철저히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물질을 천연물에서 찾으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931-937. 

  2. Choi, S. H., Kwon, H. C., An, D. J., Park, J. R., and Oh, D. H. (2003) Nitrite contents and storage properties of sausage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299-308. 

  3. Choo, N. Y. (2002) Effect of water extract of Gardenia jasminoides on the sensory quality and putrefactive microorganism of cooked r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43-547. 

  4. Collins-Thompson, D. L., Chang, P. C., Davidson, C. M., Larmond, E., and Pivnick, H. (1974) Effect of nitrit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organoleptic quality and toxinogenesis by Clostridium botulinum in vacuum-packed side bacon. J. Food Sci. 39, 607-609. 

  5. Eakes, B. D., Blumer, T. N., and Monroe, R. J. (1975) Effect of nitrate and nitrite on color and flavor of country-style hams. J. Food Sci. 40, 973-976. 

  6. Fiddler, W., Piotrowski, E. G., Pensabene, J. W., Doerr, R. C., and Wasserman, A. E. (1972) Effect of sodium nitrite concentration on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in frankfurters. J. Food Sci. 37, 668-670. 

  7. Forrest, J. C., Aberle, E. D., Hedrick, H. B., Judge, M. D., and Merkel, R. A. (1975) Principles of Meat Science. W. 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CA, pp. 193-201. 

  8. Giddings, G. G. (1977) The basis of color in muscle foods. J. Food Sci. 9, 81-114. 

  9. Han, Y. N., Oh, H. K., Hwang, K. H., and Lee M. S. (1994) Antioxidant components of Gardenia fruit. Kor. J. Pharmacogn. 25, 226-232. 

  10. Honikel, K. O., Kim, C. J. and Hamm, R. (1986) Sarcomere shortening of prerigor muscles and its influence on drip loss. Meat Sci. 16, 267-282. 

  11. Jeong, H. G. and Kim, Z. U. (1986)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nitrite on lipid oxidation of pork during cooking. J. Korean Agric. Chem. Soc. 29, 148-158. 

  12. Johnston, M. A., Pivnick, H., and Samson, J. M. (1969) Inhibition of Clostridium botulinum by sodium nitrite in a bacteriological medium and in meat. J. Can. Inst. Food Technol. 2, 52-55. 

  13. KFN (2000a)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eoul, pp. 766-767. 

  14. KFN (2000b)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eoul, pp. 786-788. 

  15. Kim, H. G. and Lee, S. J. (1998) Production of Gardenia blue color from Gardenia waste by the Bacillus subtilis. Korean J. Food Nutr. 11, 606-611. 

  16. Kim, I. S., Jin, S. K., Hur, I. C., Choi, S. Y., Jung, h. J., Lee, J. K Kang, S. H., Woo, G. M., and Kang, S. N. (2009) Effect of tomato powder on meat patties as nitrite alternativ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382-390. 

  17. Kim, M. L.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37-243. 

  18. Kim, J. G., Kang, Y. M., Eum, G. S., Ko, Y. M., and Kim, T. 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e, Scirus 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Life Sci. 37, 69-75. 

  19. Miura, T., Nishiyama, Y., Ichimaru, M., Moriyasu, M., and Kato, A. (1996) Hypoglycemic activity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iridoidal glycosides. Biol. Pharm. Bull. 19, 160-161. 

  20. Moon, Y. H., Kang, S. J., Kim, Y. K., Yang, J. B., Jung, I. C., and Hyon, J. S. (2003)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97-102. 

  21. NAPRI (2003) Treatise on Asian herbal medicines.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422-423. 

  22. Park, C. S. (2005)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 631-636. 

  23. Pham, T. Q., Cormier, F., Farnworth, E., Tong, V. H., and Van Calsteren, M. R. (2000) Antioxidant properties of crocin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and study of the reactions of crocin with linoleic acid and crocin with oxygen. J. Agric. Food Chem. 48, 1455-1461. 

  24. Ryu, E. J. and Cho, S. H. (2004)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test of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J. Agric. Life Sci. 38, 11-19. 

  25. Sanz, Y., Vila, R., Toldra, F., and Flores, J. (1998) Effect of nitrate and nitrite curing salts on microbial changes and sensory quality of non-fermented sausages. Int. J. Food Microbiol. 42, 213-217. 

  26. Shin, H. J. (2007) A tren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ural Gardenia pigme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2, 271-277. 

  27. Suzuki, Y., Kondo, K., Ikeda, Y., and Umemura, K. (2001) Antithrombotic effect of geniposide and genipin in the mouse thrombosis model. Planta Med. 67, 807-810. 

  28. Tsai, T. R., Tseng, T. Y., Chen, C. F., and Tsai, T. H. (2002)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geniposide contained in Gardenia jasminoides and in two preparations of mix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J. Chromatogr. A 961, 83-88. 

  29. Wesley, R. L., Marion, W. W. and Sebranek, J. G. (1982) Effect of sodium nitrite concentration, sodium erythrobate and storage time on the quality of franks manufactured from mechanically deboned turkey. J. Food Sci. 47, 1626-1653. 

  30. Witte, V. C., Krause, G. F., and Bailey, M. 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582-585. 

  31. Yun, I. R., Choi, Y. J., Heo, J. H., Choi, C. Y., Seoung, T. J., Kim, Y. G., and Kim, J. S. (2010)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the Puerariae Radix and green tea extract on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Korean J. Vet. Serv. 33, 275-285. 

  32. Zhao, W. M., Xu, J. P., Qin, G. W., and Xu, R. S. (1994) Two monoterpenes from fruits of Gardenia jasminoides. Phytochemistry 37, 1079-10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