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 관련 행태, 인식 및 선호음식 양상 분석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5, 2012년, pp.589 - 602  

소지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한성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society has gone through a dramatic change in its population, with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since 1990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families in three areas related to dieta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관련 행태, 의식, 선호음식 양상을 한국인 기혼 여성 및 남성과 비교하여 알아보고, 다문화가정의 사회환경적 특성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또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의 식생활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여부도 구체적인 식생활 양상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2009년과 2010년에 걸친 1, 2차 조사를 통해 한국인가정의 기혼남녀 500명과 베트남인-한국인 배우자 104쌍을 대상으로 각 가정의 식생활관련 행태, 의식, 선호음식 양상 및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음식에 대한 접근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관련 행태, 의식, 선호음식 양상을 한국인가정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의 사회환경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결혼이주여성의 구체적인 식생활 양상들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그들이 한국에서의 식생활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식생활 변화를 겪고 있는 주체인 결혼이주여성 당사자에게만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으로, 한국인 남편의 식생활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관련 행태, 의식, 선호음식 양상을 한국인 기혼 여성 및 남성과 비교하여 알아보고, 다문화가정의 사회환경적 특성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또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의 식생활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여부도 구체적인 식생활 양상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은, 결혼이주여성들이 편입된 가정의 특성으로부터 오는 영향이 큰 이유는? 식생활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쉽게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Turrell & Kavanagh 2005; Raberg Kjollesdal 등 2010) 결혼이주여성들이 편입된 가정의 특성으로부터 오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식생활 변화를 겪고 있는 주체인 결혼이주여성 당사자에게만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으로, 한국인 남편의 식생활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2009년과 2010에 걸친 1, 2차 조사를 통해 한국인가정의 기혼남녀 500명과 베트남인-한국인 배우자 104쌍을 대상으로, 각 가정의 식생활관련 행태, 의식, 선호음식 양상 및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음식에 대한 접근성 등을 살펴본 결과는? 1. 다문화가정 부부는 가정에서 식사를 하는 횟수가 남편의 경우 하루 2회가 52.9%, 아내의 경우 하루 3회가 57.7%로 가장 많았고, 그 중 한식을 먹는 비율은 남편의 경우 95% 이상이 48.1%, 아내의 경우도 95% 이상이 43.3%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에서 직접 준비된 음식으로 식사를 하는 비율은 남편의 경우 95% 이상이 46.2%, 아내의 경우도 95% 이상이 38.5%로 가장 많아 한국인가정의 남녀와 각각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높았다. 2. 음식 선택 시 최우선으로 하는 요인은 다문화가정의 남편은 한국인가정의 남성에 비해 ‘경제성’을 고려하고 있었고, 다문화가정의 베트남 아내는 한국인가정의 여성에 비해 ‘건강’을 특히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하고 신선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 하루 식사의 균형, 열량·염분·당분·지방 등의 과다 섭취 등 영양에 대한 관심도는 다문화가정 부부가 전반적으로 한국인가정의 남녀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선호음식은 한국인가정의 남성, 여성, 다문화가정의 남편의 경우 김치찌개, 된장찌개, 삼겹살, 김치 등의 한식 중심이었으나 다문화가정의 베트남 아내의 경우는 쌀국수, 후라이드 치킨, 샤브샤브 등의 음식도 포함되어 있어 비교적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4.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이 모국음식의 식재료에 지출한 비용은 10% 이하 35.6%, 10-30% 43.3%이었고, 모국음식을 섭취하는 빈도는 가정에서의 경우 대부분 주 1~2회, 외식을 하는 경우 대부분 월 1~2회였다. 또한 대부분은(88.5%, 92명) 모국음식의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다고 답했고, 그 구입장소는 걷거나 차로 30분 이내로 갈 수 있는 접근성을 가지고 있었다.
Lyu 등의 연구에 따르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또한 한국인 에너지 필요 추정량보다 낮게 섭취하는 비율이 89%에 이르며, 평균필요량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이 50%가 넘는 영양소도철,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2, 칼슘, 비타민 C, 엽산 등으로 영양상태가 불량하다고 보고되었다(Kim 등 2009). Lyu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490 kcal로 동일 연령대의 한국인 에너지 필요추정량(2,100 kcal)과 베트남 영양권장량(2,200 kcal)보다 낮게 섭취하고 있으며, 이를 베트남 호치민에 거주하는 40~50세 남녀의 영양섭취실태를 보고한 Hanh 등(2001)의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도심지역(1,932kcal)과 교외지역(1,755kcal)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들보다 낮은 수준이며,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들(1,475kcal)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Kim & Lee(2009)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길수록 각 식품군에서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아 식이섭취에 소홀한 경향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YA (2010): A study on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risk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in Korea.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pp. 50-53 

  2. Choi JH, Lee GI (1995): The study on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food consumption patter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pp. 19-39 

  3. Chung ES (2004):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food expenditure pattern of urban household. Nonghyup Monthly Report 557: 1-18 

  4. Hanh TTM, Komatsu T, Hung NT, Chuyen VN, Yoshimura Y, Tien PG, Yamamoto S (2001): Nutritional status of middle-aged Vietnamese in Ho Chi Minh city. J Am Coll Nutr 20(6): 616-622 

  5. He J, Klag MJ, Wu Z (1996): Effect of immigration and related environmental changes on serum lipid levels in southwestern Chinese men. Am J Epidemiol 144(9): 839-849 

  6. Hiroyasu ISO, Aaron RF, Kenneth K (1989): Hemostatic variables in Japanese and Causian men. Plasma fibrinogen, factor VIIc, factor VIIIc, and von Willebrand factor and their relations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 J Epidemiol 130(5): 925-934 

  7. Huang B, Rodriguez BL, Burchfiel CM, Chyou PH, Curb JD, Yano K (1996): Acculturation and prevalence of diabetes among Japanese-American men in Hawaii. Am J Epidemiol 144(7): 674-681 

  8. Hwang JY, Lee SE, Kim SH, Chung HW, Kim WY (2010): Psychological distress is associated with inadequate dietary intake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J Am Diet Assoc 110(5): 779-785 

  9. Kim BR (2008): The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tion and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of immigrants. Dissertation, Sogang University, pp. 34-35 

  10.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5(4): 405-418 

  11. Kim KH (2010):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Korean Contents Soc 10(8): 370-380 

  12. Kim MS (1998): Food away from home expenditure of the urban household : Effect of wive's employment.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0-18 

  13.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14(1): 22-30 

  14.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1): The stat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 [cited 2012 April 14] 

  1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8): Korean Education at a Glance (KEAG). Available from http://cesi.kedi.re.kr [cited 2012 September 21] 

  16. Lyu JE (2008) Dietary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pp. 51-61 

  17. Lyu JE, Yang YJ, Lee SE, Chung HW, Kim MK, Kim WY (2009): Nutritional status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Korea in relation to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n Nutr Metab 55: 317-324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Available from http://www. mw.go.kr [cited 2012 September 21] 

  19. Park HR, Lee KY, Ryu JS (1997):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by income levels using annual report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4): 633-646 

  20. Parrish JB (1971): Implication of changing food habits for nutrition educators. J Nutr Educ 2(4): 140-146 

  21. Raberg Kjollesdal MK, Holmboe-Ottesen G, Wandel M (2010): Associations between food patterns, socioeconomic position and working situation among adult, working women and men in Oslo. Eur J Clin Nutr 64(10): 1150-1157 

  22. Statistics Korea (2011):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 trends in the first quarter 201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012 September 21] 

  23. Turrell G, Kavanagh AM (2005): Socio-economic pathways to diet: modelling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food purchasing behavior. Public Health Nutr 9(3): 375-383 

  24. Yang EJ, Chung HK, Kim WY, Bianchi L, Song WO (2007): Chronic diseases and dietary changes in relation to Korean American's length of residence in the United States. J Am Diet Assoc 107(6): 942-950 

  25. Yang W, Read M (1996): Dietary pattern changes of Asian immigrants. Nutr Res 16(8): 1277-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