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의 삶의 전환과정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Life Transition Proces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861 - 869  

이애란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홍선우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주세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life transition proc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against the backdrop of a lack of research on this topic. Methods: Seventy preliminary items were drawn from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and content validity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총 29개의 항목,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부정’, ‘방황’, ‘몰입’, ‘좌절’, ‘수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폐성장애 아동 어머니의 삶의 전환 과정을 ‘부정기’, ‘방황기’, ‘몰입기’, ‘마음 조정기’, ‘수용기’ 등 다섯 단계로 구분한 Lee 등(2010)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논의는 삶의 전환 단계에 따라 전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의 삶의 전환과정을 사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정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측정도구는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가 경험하고 있는 삶의 전환과정을 나타내줌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개별화된 중재법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며, 궁극적으로 자폐성장애 아동과 부모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의 삶의 전환과정을 사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의 삶의 전환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의 삶의 전환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도구를 개발하기위해서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아동 부모의 삶의 전환과정을 사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성장애는 언제, 무엇에 의해 장애 범주에 포함되었는가? 6%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그러나 자폐성장애는 2007년 4월 11일 장애인복지법시행령에 의해서 장애 범주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에는 지적장애, 언어장애로 등록되어 있으며, 특히 아동의 연령이 어린 경우에는 부모들이 자녀의 장애를 인정하지 않고 장애인 등록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은 자폐성 장애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자폐성장애로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은 2011년 12월말 기준 몇명인가? 우리나라에서 자폐성장애로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은 2011년 12월말 기준 15,857명으로 남자 13,466명(84.9%), 여자 2,391명(15.
자녀의 자폐증 진단에 대한 부모들의 반응을 Lee, Hong, Kim과 Ju는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Fleischmann (2005) 역시 자폐증에 대한 부모 자신의 견해를 변화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질병을 가진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게 되는 6단계의 대처 과정을 제시하였는데, 처음에는 자녀에게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아동에게 문제가 있음을 감지하고, 검사를 받고 난 후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치료에 몰입하다가 아동의 행동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되고 결국에는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게 되는 과정을 겪는다고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Lee, Hong, Kim과 Ju (2010)에 의해서 부정기, 방황기, 몰입기, 마음 조정기, 수용기 등의 5단계로 구분되었으며, 기대치 낮추기, 비교하지 않기, 마음 열기, 신앙에 의지 하기 등의 전략을 통해서 결과적으로 받아들임, 감사함, 서로 의지 함의 특성을 가진 삶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어떤 어머니는 수용기에 도달한 반면 다른 어머니는 부정기 또는 방황기, 몰입기에 머물러 있으며, 수용기에 도달했다고 생각되어지는 어머니도 상황에 따라서 다시 방황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H. Y. (2004). The effect of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663-672. 

  2. Beck, A. T., Steer, R. A., & Brown, G. K. (1996).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2nd ed.).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3. Brobst, J. B., Clopton, J. R., & Hendrick, S. S. (2009). Paren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ouple's relationship.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 38-49. http://dx.doi.org/10.1177/1088357608323699 

  4. Carver, C. S. (1997). You want to measure coping but your protocol's too long: Consider the brief COP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92-100. http://dx.doi.org/10.1207/s15327558ijbm0401_6 

  5. Cho, S. J., Singer, G. H. S., & Brenner, B. (2003). A comparison of adaptation to childhood disability in Korean immigrant and Korean mothers.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1), 9-19. http://dx.doi.org/10.1177/108835760301800103 

  6. Dale, E., Jahoda, A., & Knott, F. (2006). Mothers' attributions following their child's diagnosis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Exploring links with maternal levels of stress, depression and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s future. Autism, 10, 463-479. http://dx.doi.org/10.1177/1362361306066600 

  7. Duarte, C. S., Bordin, I. A., Yazigi, L., & Mooney, J.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utism, 9, 416-427. http://dx.doi.org/10.1177/1362361305056081 

  8. Estes, A., Munson, J., Dawson, G., Koehler, E, Zhou, X. H., & Abbott, R. (2009).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function among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and developmental delay. Autism, 13, 375-387. http://dx.doi.org/10.1177/1362361309105658 

  9. Fleischmann, A. (2005). The hero's story and autism: Grounded theory of website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Autism, 9, 299-316. http://dx.doi.org/10.1177/1362361305054410 

  10. Green, S. E. (2007). "We're tired, not sad": Benefits and burdens of mothering a child with disability. Social Science & Medicine, 64(1), 150-163.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6.08.025 

  11. Hamlyn-Wright, S., Draghi-Lorenz, R., & Ellis, J. (2007). Locus of control fails to mediate between stress and anxiety and depress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order. Autism, 11, 489-501. http://dx.doi.org/10.1177/1362361307083258 

  12. Hastings, R. P., Kovshoff, H., Brown, T., Ward, N. J., Espinosa, F. D., & Remington, B. (2005). Coping strategies in mothers and fathers of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with autism. Autism, 9, 377-391. http://dx.doi.org/10.1177/1362361305056078 

  13. Hines, M., Balandin, S., & Togher, L. (2012). Buried by autism: Older parents' perceptions of autism. Autism, 16, 15-26. http://dx.doi.org/10.1177/1362361311416678 

  14. Hoffman, C. D., Sweeney, D. P., Hodge, D., Lopez-Wagner, M. C., & Looney, L. (2009). Parenting stress and closeness: Mother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 178-187. http://dx.doi.org/10.1177/1088357609338715 

  15. Johnson, B. S. (2000). 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5, 127-132. http://dx.doi.org/10.1097/00005721-200005000-00005 

  16. Kim, J. S., & Lee, A. R. (2008). A comparison of mothers'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The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 315-323. 

  17. Kim, S. J., & Lee, J. E. (1997).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accident proneness prospect in preschooler.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6, 372-386. 

  18. King, G. A., Zwaigenbaum, L., King, S., Baxter, D., Rosenbaum, P., & Bates, A. (2006).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changes in the belief system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or Down syndrome.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 353-369.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6.00571.x 

  19. Lee, A. R. (2009). A structural model of caring behavior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13-622.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673 

  20. Lee, A. R., Hong, S. W., Kim, J. S., & Ju, S. J. (2010). Life transi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808-819. http://dx.doi.org/10.4040/jkan.2010.40.6.808 

  21. Lee, A. R., Hong, S. W., & Yun, S. N. (2009). Factors influencing mothers' caring behavior in health promo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311-320. 

  22.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 98-113. 

  23.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 DeAnne, K., & Schumacher, K.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3, 12-28. 

  24. Midence, K., & O'neill, M. (1999). The experience of parents in the diagnosis of autism: A pilot study. Autism, 3, 273-285. http://dx.doi.org/10.1177/1362361399003003005 

  25. Nelson, A. M. (2002). A metasynthesis: Mothering other-than-normal children.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2, 515-530. http://dx.doi.org/10.1177/104973202129120043 

  26. Roberts, K., & Lawton, D. (2001). Acknowledging the extra care parents give their disabled children.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7, 307-319. http://dx.doi.org/10.1046/j.1365-2214.2001.00178.x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March 15). Registered disabled persons data. Retrieved April 1, 2012, from http://stat.mw.go.kr/stat/data/cm_data_view.jsp?menu_codeMN01020702&cont_seq18349& page1&search_key&search_word 

  28. Trapolini, T., McMahon, C. A., & Ungerer, J. A. (2007)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and marital adjustment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3, 794-803.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7.00739.x 

  29. Wachtel, K., & Carter, A. S. (2008). Reaction to diagnosis and parenting styl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ASDs. Autism, 12, 575-594. http://dx.doi.org/10.1177/13623613080945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