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 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항산화활성과 in vitro 항암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 2012년, pp.14 - 19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태명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박동식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재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대중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아기간에 따른 발아 벼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발아는 0, 2, 4, 6 및 8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발아 후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2~4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차에서 4.0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0, 2, 4, 6 및 8일차 각각 29.25, 34.82, 31.17, 26.27 및 18.51%로 발아 2일차에 가장 높았으며, 총 항산화력은 발아기간별로 각각 3.05, 3.17, 3.84, 2.43 및 2.167 mg AA eq/100 g으로 발아 4일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 또한 발아 4일차에 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세포주 성장억제효과는 위암세포주(AGS) 보다 대장암세포주(HCT-116)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리활성 증가를 위해서 벼를 발아시킬 경우3~4일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새로운 물질의 생성과 생리활성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Rough rice was germinated at $37^{\circ}C$ for 8 days and then extracted with 70% ethanol. It was then analyz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redu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곡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아처리공정을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벼 전곡의 발아 전후 성분 변화 및 생리활성 등의 연구는 진행되어져 왔으나 적절한 발아기간 선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 전곡의 발아 정도와 발아기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활성의 변화 그리고 암세포주 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생리활성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적절한 발아 기간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의 구성은 무엇인가? )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식으로 이용되는 곡물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하루 열량의 절반 이상을 섭취하고 있는 중요한 곡류이다(1). 벼는 현미 80%, 왕겨 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미는 과피, 종피 및 호분층으로 구성된 미강과 배아 및 배유로 이루어져 있다(2,3). 그중 미강은 외피의 주요성분인 식이섬유가 대부분이며 인체 소화효소로는 분해될 수 없는 비소화성 물질로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pectin 및 gum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항산화 효과 및 혈압상승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4) 특히 항산화력 등 생리활성이 우수한 tocopherol, phytic acid, phenolic acid, oryzanol, GABA 및 fer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5).
벼(Oryza sativa L.)은 무엇인가? 벼(Oryza sativa L.)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식으로 이용되는 곡물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하루 열량의 절반 이상을 섭취하고 있는 중요한 곡류이다(1). 벼는 현미 80%, 왕겨 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미는 과피, 종피 및 호분층으로 구성된 미강과 배아 및 배유로 이루어져 있다(2,3).
벼의 구성 중 효능이 뛰어난 부분은 어디이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 벼는 현미 80%, 왕겨 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미는 과피, 종피 및 호분층으로 구성된 미강과 배아 및 배유로 이루어져 있다(2,3). 그중 미강은 외피의 주요성분인 식이섬유가 대부분이며 인체 소화효소로는 분해될 수 없는 비소화성 물질로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pectin 및 gum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항산화 효과 및 혈압상승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4) 특히 항산화력 등 생리활성이 우수한 tocopherol, phytic acid, phenolic acid, oryzanol, GABA 및 fer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wak TS, Teo JH. 2004. Varietal variation of ripen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rice ecotypes. J Korean Intl Agric 16: 130-135. 

  2. Kim LS, Son YK, Son JR, Hur HS.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J Korean Crop Sci 46: 221-228. 

  3.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4. Saunder RM. 1990. The properties of rice bran as a food stuff. Cereal Food World 35: 632-636. 

  5. Andreason MF, Christensen LP, Meyer AS, Hansen A. 2000. Release of hydrodynamic and hydrobenzoic acid in rye by commercial plant cell degrading enzyme preparation. J Sci Food Agric 79: 411-413. 

  6. Ko SC, Kim BK, Lee KS, Choi WY, Choi HR, Cho EA, Yun SJ. 2005.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Korean J Crop Sci 50: 378-383. 

  7.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8-1135. 

  8. Kim IS, Kwon TB, Oh SK. 1988.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88-193. 

  9.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J Korean Food Sci Technol 36: 294-298. 

  10.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r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121-129. 

  11. Kang BR, Park MJ, Lee HS. 2006.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12. Cho BM, Yoon SK, Kim WJ. 1985.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J Korean Food Sci 45: 87-91. 

  13. Choi KS, Kim ZU. 1985.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71-275. 

  14. Colmenarse DRAS, Bressani R. 1990.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Aamaranth grain. Cereal Chem 67: 519-523. 

  15. Kim IS, Kwon TB, Oh SK. 1985.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71-376. 

  16. Hsu D, Leung HK, Finney PL, Morad MM. 1980.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J Food Sci 45: 87-91. 

  17. Choi HD, Kim YS, Choi IW, Seog HM, Park YD. 2006. Antiobesity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in rats fed with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74-678. 

  18. Ikeda K, Arioka K, Fujii S, Kusano T, Oku M. 1984.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Cereal Chem 61: 230-236. 

  19. Kim HY, Hwang IG, Kim TM, Kim DJ, Park DS, Kim JH,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07-1112. 

  20.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21. Tepe B, Sokmen M, Akpulat HA, Sokmen A. 2006.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six Salvia species from Turkey. Food Chem 95: 200-204. 

  22.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3.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24.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 1518-1520. 

  25. Kim DJ, Oh SK, Yoon MR, Chun AR, Choi IS, Lee DH, Lee JS, Yu KW, Kim YK. 2011. The change in biological activitie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81-789. 

  26. Tian S, Nakamura K, Cui T, Kayahara H. 2005.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J Chromatogr A 1063: 121-128. 

  27. Kang MY, Kim S, Koh HJ, Nam SH.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germinated giant embryonic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93-299. 

  28. Kim HY,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H, Kim DJ, Lee YR, Jeong HS. 2011. Changer in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65-1270. 

  29. Lee YR, Woo KS, Kim JY, Son JR, Je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Food Sci Biotechnol 16: 765-770. 

  30. Kim HY, Hwang IG, Joung EM, Kim TM, Kim DJ, Park DS,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25-330. 

  31.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2006.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