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연구목적 호모시스테인은 인지기능의 손상과 다양한 정신과 증상들과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사이에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법 DSM-IV에 의해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된 환자 41명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Objectives : Homocysteine has been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various psychiatric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Methods : 41 subject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for the diagnosis of dementia of Alzheimer's type based on DSM-IV. We scored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Clinical Dementia Rating(CDR), and the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We also measured levels of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후향적 연구이다 보니 인지기능평가 날짜와 혈액검사 날짜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검사 날짜의 간격을 3개월 이내로 제한을 두어 시간적 개연성을 높이려 노력하였다. 환자의 식사내용에 대한 자료수집도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본 논문은 AD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12의 농도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이제까지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12와 인지기능과의 연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많았으나, 행동심리증상과의 연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전에 호모시스테인과 치매의 행동심리증상과의 연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몇 편 있었으나, 임상적으로 뚜렷한 연관성을 찾지는 못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인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이 AD와 연관된다는 여러 연구 결과를 기초로 AD의 혈액검사결과를 비교분석하고 행동심리증상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인에서의 행동심리증상과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대한 연구는 이제까지 시행된 바가 없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메티오닌 | 메티오닌의 대사과정에서 호모시스테인이 시스테인이나 메티오닌으로 전환되지 않고 일정량 이상 축적될 경우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데 이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
이는 혈관을 수축상태로 만들고 혈압과 혈전을 조절해주는 인자인 프로시타시클린 생성을 억제하며, 저밀도 지단백 등을 축적하여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킨다. 결국 우리 몸의 혈관을 파괴하고 노화시킴으로써 혈전이나 혈액 응고를 불러오게 되어, 동맥경화, 치매,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원인이 되는 독성물질이 되는 것이다
2) 필수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호모시스테인이 시스테인이나 메티오닌으로 전환되지 않고 일정량 이상 축적되면 심혈관 질환을 일으킨다. 이는 혈관을 수축상태로 만들고 혈압과 혈전을 조절해주는 인자인 프로시타시클린 생성을 억제하며, 저밀도 지단백 등을 축적하여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킨다. 결국 우리 몸의 혈관을 파괴하고 노화시킴으로써 혈전이나 혈액 응고를 불러오게 되어, 동맥경화, 치매,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원인이 되는 독성물질이 되는 것이다.3,4) 이러한 호모시스테인을 분해해서 시스테인으로 전환하거나 메티오닌으로 되돌리는 데 필요한 효소들은 엽산, 비타민 B12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들이 부족하면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증가하기 시작한다. |
고호모시스테인 혈증 | 고호모시스테인 혈증은 어떤 정신과적 문제와 관련되는가? |
정신증, 우울증 그리고 기타 정신과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엽산과 비타민 B12의 민감한 표지자이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는 심혈관계 질환 뿐만 아니라 인지손상 및 치매의 심각도와도 깊은 연관이 있음이 발표되고 있다. 또한 고호모시스테인 혈증은 정신증, 우울증 그리고 기타 정신과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5,6) 이런 관점에서 접근해보면 치매의 행동심리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이하 BPSD)이 위의 혈액검사인자들과 관련이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겠다. |
알쯔하이머병 | 알쯔하이머병이 초래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
점진적으로 인지기능의 퇴행을 일으키고, 지적 기능의 전반적인 손상, 기억력 및 사고력, 기분, 행동, 지각, 판단력 등에도 장애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환된 노인들에게 독립적인 생활 능력의 저하를 일으켜 결국 가정적, 사회적 부담을 크게 증가
특히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치료가 쉽지 않아 치매의 발병 이전에 조기발견과 예방, 조기치료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치매 중에서도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이하 AD)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질환은 점진적으로 인지기능의 퇴행을 일으키고, 지적 기능의 전반적인 손상, 기억력 및 사고력, 기분, 행동, 지각, 판단력 등에도 장애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환된 노인들에게 독립적인 생활 능력의 저하를 일으켜 결국 가정적, 사회적 부담을 크게 증가시킨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