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 구명
Optimum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4, 2012년, pp.359 - 364  

이점식 (국립식량과학원) ,  박노봉 (국립식량과학원) ,  이종희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조준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원용재 (국립식량과학원) ,  박향미 (국립식량과학원) ,  천아름 (국립식량과학원) ,  장재기 (국립식량과학원) ,  곽도연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유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하운구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기환 (경북대학교) ,  여운상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정도 5.5%(현백율 94.5%, 7분도)~13.5%(현백율 86.5%, 17분도)별 식미 및 이화학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화학특성은 도정을 많이 할수록 백도와 아밀로스함량, 강하점도, 밥의 부착성은 증가하였으나, 반면 단백질함량, Mg/K 당량비, 지방함량, 취반점도, 밥의 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미관능평가에 의한 식미총평은 도정도 9.5%와 1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현미를 도정하여 남는 쌀의 수율을 고려 할 때 식미총평이 좋은 최적 도정도는 9.5%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이론적인 도정도 8%나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쌀의 도정도 9% 보다 더 많이 도정한 것이다. 식미와 이화학특성과의 관계는 단백질함량, 아밀로스함량, 취반점도 및 밥의 경도는 부의 상관이, Mg/K 당량비, 강하점도, 밥의 부착성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정을 많이 할수록 식미와 부의 상관이 있는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아밀로스함량은 증가 하는 등 이화학특성들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정도 9.5%~11.5%에서 식미총평이 가장 좋았던 것은 이들 이화학특성들 간에 적정수준의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optimal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and minimizing yield los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ies using five different degree of milling(5.5~13.5%, based on brown rice). With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정도 5.5%(현백율 94.5%, 7분도)∼13.5%(현백율 86.5%, 17분도)별 식미 및 이화학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정도 5.5%(현백율 94.5%, 7분도)∼13.5%(현백율 86.5%, 17분도)별 식미 및 이화학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정하여 쌀로 이용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도정도란 현미의 쌀겨 층 즉 과피, 종피 및 호분이 깎여진 정도를 말하며, 쌀겨 층과 배를 제거하여 전분 저장조직만 남아 있는 것이 쌀이다. 도정하여 쌀로 이용하는 것은 현미의 쌀겨 층에는 왁스함량과 섬유질이 많고, 단단한 세포조직으로 인해 수분흡수가 잘 안되어 취반 한 밥이 거칠고 딱딱하여 도정을 통해 조리를 쉽게 하고, 특히 밥에 대한 질감, 찰기 등 기호를 좋게 하기 위해서다.
도정도란? 도정도란 현미의 쌀겨 층 즉 과피, 종피 및 호분이 깎여진 정도를 말하며, 쌀겨 층과 배를 제거하여 전분 저장조직만 남아 있는 것이 쌀이다. 도정하여 쌀로 이용하는 것은 현미의 쌀겨 층에는 왁스함량과 섬유질이 많고, 단단한 세포조직으로 인해 수분흡수가 잘 안되어 취반 한 밥이 거칠고 딱딱하여 도정을 통해 조리를 쉽게 하고, 특히 밥에 대한 질감, 찰기 등 기호를 좋게 하기 위해서다.
도정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어떠한 목적에서 이루어져 왔는가? 도정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세 가지 목적에서 이루어져 왔다. 첫째 쌀의 가공 이용을 증진하기 위해서, 특히 양조용 쌀은 전분함량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아야 쌀의 수분흡수가 빠르고, 균사번식이 쉽고, 당화작용이 잘되도록 하기 위해 10%∼50%까지 도정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Chun et al., 2012, Kim et al., 2010). 둘째 현미의 쌀겨 층에는 암이나, 성인병의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와 항산화 활력이나 생리활성이 우수한 phytic acid, phenolic acid, Se, Fe,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주로 분포하기 때문에 최소도정(5% 이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Kim et al., 2004, Lee et al., 2006, Liang et al., 2008, Liu et al., 2009, Slavin et al., 1997). 마지막으로 쌀의 외관품질과 이화학특성은 도정을 많이 할수록 쌀의 백도, 아밀로스함량, 쌀가루의 호화특성인 최고점도, 최저점도, 취반점도가 증가하였으나 단백질함량과 완전미율은 감소하였다(Perdon et al., 2001, Yadav and Jindal, 2008). 식미와 관련하여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맛 측정기계(taste sensing system SA 402 Anritsu, Co. Atsugi, Japan)를 이용한 결과 단맛이 감소하였다는 보고도 있고(Tran et al., 2004), 반면 식미관능평가 결과 단맛, 밥의 윤기 및 부착성이 증가하였다(Park et al., 2001)는 상반된 보고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S) : 15-32. 

  2. Chun A., D. J. Kim, M. R. Yoon, S. K. Oh, I. S. Choi, H. C. Hong, and Y. G. Kim. 2012. Effect of milling degre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Sogo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 : 136-142. 

  3. Hoshikawa K. 1989. The growing rice plant : An anatomical monograph Noubunkyo Tokyo : 255-292. 

  4. Juliano, B. O. 1971.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rice amylose. Cereal Sci. Today. 16 : 334-336, 338, 360. 

  5. Kim H. R., A. R. Lee, Y. H. Kwon, H. J. Lee, S. J. Jo, and B. H. Ahn.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 75-81. 

  6. Kim S. R., J. Y. Ahn, H. Y. Lee, and T. Y. Ha.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al. 36(6) : 930-936. 

  7. Lee, S. M., H. B. Lee, J. S. Lee, 2006.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E in some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2) : 248-253. 

  8. Liang J, Z. Lia, K. Tsujic, K. Nakanoc, M. J. Robert Nout, and R. J. Hamer. 2008. Milling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phytic acid and zinc in long-medium and short-grain rice. Journal of Cereal Science 48 : 83-91. 

  9. Liu K., X. Cao, Q. Bai, H. Wen, and Z. Gu. 2009.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and degree of milling and loss of selenium. Journal of Food Engineering 94 : 69-74. 

  10. Mohapatra D. and S. Bal. 2006. Cooking quality and instrumental textural attributes of cooked rice for different milling fractions. Journal of Food Engineering 73 : 253-259. 

  11.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003. Evaluate the quality and taste of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2. Park J. K., S. S. Kim, and K. O. Kim. 2001. Effect of milling ratio on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 and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and cooked rice. Cereal Chem. 78 : 151-156. 

  13. Perdon, A. A., T. J. Siebenmorgen, A. Mauromoustakos, V. J. Griffin, and E. R. Johnson. 2001. Degree of milling effect on rice pasting properties. Cereal Chemistry. 78 : 205-209. 

  14. Slavin J, D. Jacobs, L., and Marquart. 1997. Whole-grain consumption and chronic disease. Prot. Mech. Nutr. Cancer 27 : 14-21. 

  15. Tran, T. U., K. Suzuki, H. Okadome, S. Homma, and K. Ohtsubo. 2004. Analysis of the tastes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with different milling yields using a taste sensing system. Food Chemistry 88 : 557-566. 

  16. Yadav B. K. and V. K. Jindal. 2008. Changes in head rice yield and whiteness during milling of rough rice(Oryza sativa L.). Journal of Food Engineering 86 : 113-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