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농축액이 급성주정중독량 및 장기간 주정을 투여한 흰쥐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Concentrate on Blood Alcohol Clearance and Hepatoprotective Function in Rats Induced by Acute Ethanol Intoxication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139 - 1147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  이경원 (한국식품연구원) ,  박성선 (종근당건강(주)) ,  정지윤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과 장기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급성주정중독시험은 흰쥐에게 급성주정중독량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300분, 360분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여 경시적인 알코올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은 전반기(4주)는 급성주정중독량(22,23)을 참고하여 1/2용량의 시험주정(Chivas Regal, 40%)을 투여하였고, 후반기(4주)는 시험주정과 함께 물과 오미자추출물(150 mg, 1.0 mL)을 각각 투여하였다. 급성주정중독량시험에서 주정투여 후 90분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가장 높았고, 주정투여 후 알코올의 기준 농도 대비 360분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은 주정단독투여군(A) 81.4%, 오미자투여군(B) 96.1%, 주정+물투여군(C) 85.3%로 오미자투여군이 다른 두 주정투여군보다 평균 13% 더 높았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에서 간장무게는 두 주정투여군(A, B)이 일반대조군(C)보다 통계적으로 무거웠다(P<0.05). 혈청과 간 조직의 중성지방(TG) 함량은 일반대조군이 두 주정투여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간 조직의 TG 함량은 오미자투여군(B)이 주정대조군(A)에 비해 26.5% 낮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TC) 함량은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간 조직의 TC 함량은 B군이 A군보다 18.8% 낮았다. 주정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측정한 ${\gamma}$-GT, ASTALT 활성은 오미자추출물군(B)이 주정대조군(A)보다 각각 26%, 12%, 19% 감소하였다. 혈액학치(CBC)는 혈소판을 제외하고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간세포 조직의 Steatosis score는 주정대조군이 3점인 반면 오미자추출물군과 일반대조군에서는 각각 1점이었고, 붉게 염색된 지방미세과립이 주정대조군에서는 고도 내지 중등도로 세포질내에 침윤(infiltration)된 반면 오미자추출물군에서는 경도로 침윤되었다. 본 연구에서 오미자추출물은 경시적으로 혈중 알코올 분해율을 높여주고, 간 조직의 중성지방량과 간기능치(${\gamma}$-GT, ALT)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알코올성 지방변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미자 가공식품의 개발과 관련한 기초 및 홍보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알코올성 간 기능 보효 효과와 관련된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Schisandra chinensis (SC),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alcohol-induced fatty liver and blood alcohol clearance. Two tests focused on acute intoxication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were carried out. For the chronic ethanol treatm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 및 장기간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급성주정중독시험은 주정단독투여군과 주정+오미자추출물투여군 및 주정+물투여군으로 배치하였고, 장기주정투여시험은 주정+물투여군, 주정+오미자추출물투여군 및 주정무투여군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과 장기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급성주정중독시험은 흰쥐에게 급성주정중독량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300분, 360분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여 경시적인 알코올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 에탄올을 급성으로 단회투여 한 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의 경구투여로 상승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킨 결과가 보고되었다(21).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과 장기간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란 무엇인가? 오미자는 오미자나무과에 속하는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로서 다섯 가지의 맛이 다양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뜻에서 불린 이름으로 비타민 C와 유기산뿐만 아니라 페놀화합물이나 테르펜 등의 향기성분과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한 붉은색을 지닌 식물체로(4) 간염, 두통, 신경쇠약 등의 치료 및 진해, 거담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제이다. 오미자의 약리 기능은 중추 억제 작용과 간 보호(5-8), 혈압 강하(9), 항산화 작용(10,11), 장내 미생물 개선(12, 13), 위암세포 사멸과 면역력 증강(14), 당뇨병 예방과 치료 효과(15), 항균 효과(16)가 보고되었고, 특히 in vitro 실험에 의한 간 보호 효과가 보고되었다(17).
선례 연구를 통해 보고된 오미자의 약리 기능은 무엇인가? 오미자는 오미자나무과에 속하는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로서 다섯 가지의 맛이 다양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뜻에서 불린 이름으로 비타민 C와 유기산뿐만 아니라 페놀화합물이나 테르펜 등의 향기성분과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한 붉은색을 지닌 식물체로(4) 간염, 두통, 신경쇠약 등의 치료 및 진해, 거담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제이다. 오미자의 약리 기능은 중추 억제 작용과 간 보호(5-8), 혈압 강하(9), 항산화 작용(10,11), 장내 미생물 개선(12, 13), 위암세포 사멸과 면역력 증강(14), 당뇨병 예방과 치료 효과(15), 항균 효과(16)가 보고되었고, 특히 in vitro 실험에 의한 간 보호 효과가 보고되었다(17).
장기간(8주) 주정투여한 대조군과 오미자추출물군에서 실험동물의 증체량, 간장무게에 나타나는 차이는? 본 실험에서 종료 시 체중과 간 무게를 측정한 결과 주정대조군(A)과 오미자추출물군 (B)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Table 4). 이러한 결과는 주정대조군의 경우 매일 주정을 투여함으로써 과량의 알코올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된 반면 오미자군에서는 오미자추출물의 급여가 간 조직에서의 지질 침착을 완화시킴으로써 체중과 간장무게가 다소 감소된 것으로 사료되었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2013.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bSeq&aSeq308560&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2012. p 22. 

  2. Lieber CS. 1993. Aetiology and pathogenesis of alcoholic liver disease. Bailliere's Clin Gastroenterol 7: 581-608. 

  3. Kim MJ, Lee JS, Ha OM, Jang JY, Cho SY. 2002. Effects of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water extracts on hepatic alcohol metabolic enzyme syste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2-97. 

  4. Sung KC. 2011.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8: 290-298. 

  5. Zhu M, Lin KF, Yeung RY, Li RC. 1999.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on phase I drug metabolism using a CCl4 intoxication model. J Ethnopharmacol 67: 61-68. 

  6. Xing J, Guo Y, Hu H, Qu XL, Sun XZ, Liu SH, Wang H. 2012. A herbal composition of Semen Hoveniae, Radix Puerariae, and Fructus Schisandrae shows potent protective effects on acute alcoholic intoxication in rodent mode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doi:10.1155/2012/638197. 

  7. Cheng N, Ren N, Gao H, Lei X, Zheng J, Cao W. 2013. Antioxide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pollen extract on CCl4 induced acute liver damage in mice. Food Chem Toxicol 55: 234-240. 

  8. Hikino H, Kiso Y, Taguchi H, Ikeya Y. 1984. Antihepatotoxic actions of lignoids from Schizandra chinensis fruits. Planta Med 50: 213-218. 

  9. Yeo SG, Ahn CW, Lee YW, Lee TG, Park YH, Kim SB.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9-304. 

  10. Toda S, Kimura M, Ohnish M, Nakashima K, Ikeya Y, Taguchi H, Mitsuhashi H. 1988. Natural antioxidants (IV). Antioxidative components isolated from Schisandra fruit. Shoyakugaku Zasshi 42: 156-159. 

  11. Huang YS, He Y, Zhang JT. 1990. Antioxidative effects of three components isolated from fruit of schisandrae. Chinese J Pharmacol Toxicol 4: 275-277. 

  12. Chung KH, Lee SH, Lee YC, Kim J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13. Lee JY, Min YK,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9-994. 

  14. Park JH, Kim JH, Kim DH, Mun HC, Lee HJ, Seo SM, Paik KH, Ryu LH, Park JI, Lee HY. 2004. Comparison of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by purification proces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rui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41-148. 

  15. Ko BS, Park SK, Choi SB, Jun DW, Choi MK, Park SM. 2004. A study on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58-264. 

  16. Lee JY, Min YK,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9-394. 

  17. Nakagiri R, Oda H, Kamiya T. 2003. Small scale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with applications for screening hepatoprotective substanc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1629-1635. 

  18. Kim KS, Kang SS, Ryu SN. 2002.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from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Kor J Pharmacogn 33: 272-276. 

  19. MacRae WD, Towers GHN. 1984. Biological activities of lignans. Phytochemistry 23: 1207-1220. 

  20. Kim JS, Choi S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 Nutr 21: 35-42. 

  21. Lee JS, Lee SW. 1990. Effects of water extracts in frui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alcohol metabolism. Korean J Dietary Culture 5: 259-263. 

  22. Fujii H, Ohmachi T, Sagami I, Watanabe M. 1985. Liver microsomal drug metabolism in ethanol-treated hamsters. Biochem Pharmacol 34: 3881-3884. 

  23. Han CK. 1999. Effect of natural drink on the hangoverrelieving function in alcohol treated rats and human volunteers (No I01399-9935).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Korea. p 10. 

  24. Choi HS, Beik KY, Kim JB. 2012.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seed extract. J Kor Soc Cosm 18: 908-915. 

  25. Sung MS, Park SS, Kim SS, Han CK, Hur JM.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extracts containing active components in alcohol-induced Hep G2 cells. Food Sci Biotechnol (In press). 

  26. Park HJ, Lee SJ, Song Y, Jang SH, Ko YG, Kang SN, Chung BY, Kim HD, Kim GS, Cho JH. 2014. Schisandra chinensis prevents alcohol-induced fatty liver disease in rats. J Med Food 17: 103-110. 

  27. Ock ES. 1995.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4: 658-662. 

  28. Sun N, Pan SY, Zhang Y, Wang XY, Zhu PL, Chu ZS, Yu ZL, Zhou SF, Ko KM. 2014. Dietary pulp from Fructus Schisandra Chinensis supplementation reduces serum/hepatic lipid and hepatic glucose levels in mice fed a normal or high cholesterol/bile salt diet. Lipids Health Dis 13: 46-55. 

  29. Choo BK, Chung KH, Seo YB, Roh SS. 2013.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chizandrae Fructus processed with differenciated steaming number. Kor J Herbology 28:83-92. 

  30. Kim HH, Park GH, Park KS, Lee JY, An BJ. 2010.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fractions from Aster glehni Fr. Sch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434-441. 

  31. Park SH, Han JH. 2004.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1. Effects of Schisandra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