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산수유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orni fructus Extrac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3, 2012년, pp.390 - 395  

이혜진 (한국식품연구원)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수유의 추출조건별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중심합성법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에너지(30, 60, 90, 120 및 150 watt), 에탄올 농도(0, 25, 50, 75 및 100%), 추출시간별(1, 3, 5, 7 및 9분)로 추출조건에 따라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반응표면의 회귀식 $R^2$값이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 저해효과,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각각 0.8937, 0.9254, 0.9552와 0.9708로 분석되었다. 4차원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superimposing 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얻은 범위는 산수유의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78~98 watt, 에탄올 농도 3~33%, 추출시간 3.6~9분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monitor the characteristics of Corni fructus. A maximum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81.27% was obtained at 119.71 W of microwave power, 7.71% of ethanol concentration, and 4.21 min of extraction time. The maximum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was 105.92%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수유의 다양한 생리적 효능이 입증되고 있으나 항산화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용성분 추출 조건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추출 용매, 추출시간 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활성을 측정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의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수유란? 산수유(Corni fructus)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로, 가을에 붉은색의 열매를 맺어 가을 산호라고도 불린다. 맛은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나며, 따뜻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차와 술등의 재료로 이용되고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산수유는 한방에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었는가? 맛은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나며, 따뜻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차와 술등의 재료로 이용되고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산수유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다뇨증, 요통, 이명, 폐결핵 치료, 고혈압, 항암, 항균 및 신경쇠약 치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1), 이러한 효능은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등에도 기록되어 있는 약효가 뛰어난 천연물이다. 예부터 효능이 입증된 산수유는 현재까지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산수유의 맛은? 산수유(Corni fructus)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로, 가을에 붉은색의 열매를 맺어 가을 산호라고도 불린다. 맛은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나며, 따뜻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차와 술등의 재료로 이용되고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산수유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다뇨증, 요통, 이명, 폐결핵 치료, 고혈압, 항암, 항균 및 신경쇠약 치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1), 이러한 효능은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등에도 기록되어 있는 약효가 뛰어난 천연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2. Guilian T, Zang T, Yang F, Ito Y. 2000. Separation of gallic acid from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886: 309- 312. 

  3. Kim YD, Kim HK, Kim KJ. 2003.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Cornus offici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85-789. 

  4. Kim OK. 2005.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Oil Chemists' Soc 22: 157-167. 

  5.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ro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6. Kim YD, Kim HK, Kim KJ.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29-832. 

  7. Seo YB, Kil GJ, Lee YK, Lee YC. 2002. Study on the effects of Corni fructus about the anti-allergic action. Kor J Herbology 17: 1-12. 

  8. Lee SJ, Kim EH, Lee HG. 2008. Development of rice wine using Cornus officinali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te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10. 

  9. Gontard N, Guilbert S, Cuq JL. 1992. Edible wheat gluten films: influence of the main process variables on film properti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ci 57: 190-196. 

  10. Cochran WG, Cox GM. 1957. Experimental Design.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p 335-375. 

  11. Box GEP, Hounter JS. 1957. Multifactor experimental design for exploring response surfaces. Annal Math Stat 28: 1195-1242.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13. Wong TC, Luh BS, Whitaker JR. 197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of clingstone peach. Plant Physiol 48: 19-23. 

  14.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15.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6. Lee EJ, Kim JS, Kwon JH. 2008. Optimization of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total catechin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5: 840-846. 

  17. Kim SH, Kim IH, Kang BH, Lee KH, Lee SH, Lee DS, Kim SM, Hur SS, Kwon TK, Lee JM. 2009.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propolis (a bee produ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6: 908-914. 

  18. Park JW, Kim HS, Park IB, Shin GW, Lee YJ, Jo YC. 2009.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glasswpot (Salicornia herbac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6: 376-384. 

  19. Lim TS, Do JR, Kwon JH, Kim HK. 2007. Monitoring on extraction yield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5-110. 

  20. Kim HK, Kim MO, Choi MG, Kim KH. 2003. Optimization of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Flammulina velutipe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22-228. 

  21. Lee BM, Do JR, Kim HK. 2007. Prediction of optimal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preserving valuable functional properties of fluid Cheonggukjang obtained from red ginseng. Korean J Food Preserv 14: 474-480. 

  22. Choi MA, Park NY, Woo SM, Jeong YJ. 2003.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Hericium erinaceu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7-782. 

  23. Koh YJ, Cha DS, Choi HD, Park YK, Choi IW. 2008. Hot water extraction optimization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83-289. 

  24. Yoon OH, Cho JS. 2007.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dicum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