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생의 채소 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 및 관련 인자의 영향
Acceptance of Vegetable Menus of a School Lunch Program by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ts Association with Health and Dietary Behavioral Factor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1, 2012년, pp.121 - 134  

홍재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급식 채소 메뉴의 기호도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건강 및 체중 관련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응답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건강 자각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체중 감소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높았다. 식습관은 총점 49점으로 다소 높은 편인 반면 식태도 및 영양지식은 만점의 절반 수준으로 비교적 저조한 편이었다. 채소 메뉴 중에서는 튀김류와 일품요리를 선호하였으며(기호도 점수 4.0-4.1), 볶음, 나물, 무침류에 대한 기호도가 낮았다. 전반적으로 각 조리군 중 기호도가 높은 음식들은 단맛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조사 대상자들에게 친숙한 채소로 조리된 음식들이었다. 또한 섭취량과 기호도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섭취량이 적은 이유로는 '맛이 없어서', '좋아하는 채소가 아니어서', '좋아하는 조리법이 아니어서' 등으로 응답하여 기호도가 높을수록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소 메뉴에 대한 기호도는 건강 자각도, 체중 조절 목적, 부모님의 웰빙/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과 노력, 식습관, 식태도, 영양 지식 등의 요인들과 유의적인 약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 중 건강 자각도, 체중 조절 목적, 부모님의 웰빙/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노력과 관심에 따라 기호도 응답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뚜렷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식습관, 식태도, 영양지식 점수는 채소 메뉴의 기호도와 섭취량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기호도가 낮은 나물, 무침, 조림류 등에서 특히 강했다. 본 연구 결과는 채소 메뉴의 섭취량은 기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식태도, 식습관, 영양 지식 등은 기호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건강 및 체중 관련 요인들은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상관관계가 낮았다. 채소에 대한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영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습관, 영양 지식, 채소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기호도 자체를 증가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노출과 기존에 선호되는 향미 또는 재료와 함께 제시하는 flavor-flavor learning 등의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ceptance of vegetable menus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eptability. Second-grade high school students (n=389) in Seoul were asked to assess their acceptability of vegetable menus and plate waste, and answered survey qu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채소에 대한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을 제시하는가? 반면 건강 및 체중 관련 요인들은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상관관계가 낮았다. 채소에 대한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영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습관, 영양 지식, 채소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기호도 자체를 증가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노출과 기존에 선호되는 향미 또는 재료와 함께 제시하는 flavor-flavor learning 등의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채소에 대한 기호도는 쓴맛과 같은 특성뿐만 아니라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가? 채소에 대한 기호도는 쓴맛과 같은 관능적 특성 뿐 아니라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채소에 대한 반복 노출, 특히 가정에서 부모 주도의 노출은 채소 섭취와 기호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22). 또한 다양한 영양 교육 프로그램은 영양 지식 뿐 아니라 채소의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5,26). 특히 최근 건강 지향의 웰빙(well-being) 트렌드는 부모 뿐 아니라 청소년의 건강 및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건강관련 요소들은 식품의 선택과 기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들이며(27,28), 채소 기호도는 영양지식, 식행동 및 자가 평가 건강상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므로(18,19), 궁극적으로는 채소 메뉴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식행동과 식태도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29)가 보고된 바 있어, 긍정적인 식태도 역시 채소 기호도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건복지부에서는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지정하였는데, 청소년에게 권장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장과 체중의 빠른 증가, 성적 성숙 등의 발달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로,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 요구량이 급증하는 시기이다(1). 보건복지부에서는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지정하여 청소년의 경우 튀긴 음식, 패스트 푸드,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채소, 과일, 유제품을 매일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2). 그러나 한국 청소년층의 식품 소비를 분석하면 쌀, 쇠고기, 어패류, 채소류, 과일류 등 신선식품의 소비는 감소하는 반면, 가공식품, 편의식품, 외식 등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retchmer N, Zimmermann M. Developmental Nutrition. Kang SA, Koo JO, Kim DY, Kim MH, Kim SK, Kim ES, Kim HY, Noh HK, Park DY, Ahn HS, Lee YS, Lim HS, Cho YW, Choi YR, Hwang EM (Trans.). Kyomunsa, Seoul, Korea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97). pp. 477-547 (2000) 

  2.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Dietary guideline for Korean. Available from:http://www.mohw.go.kr. Assessed Aug. 16, 2011. 

  3. Lee KY, Joo HJ, Ishikawa K, Lee YS, Cheon HJ. Comparison of food consumption trends of juveniles in Korea, China, and Japan. Rural Economy 32: 1-19 (2009) 

  4. Kim KW, Shin EM.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s,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by weight control attempt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 23-31(2002) 

  5. Son Y, Kim HJ.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nutrition and dietary fiber intakes of teenagers in Gyeongnam areas. Korean J. Home Econ. Educ. Assoc. 17: 1-26 (2005) 

  6. Cho HS, Kim MH, Choi MK. A study on vegetable intakes and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Koean J. Community Nutr. 15: 525-535 (2010) 

  7. KCDCP.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2008) 

  8. Chu MA, Choe B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3: 142-152 (2010) 

  9. WHO.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orld Health Organzation, Geneva, Switzerland (2003) 

  10. Ness AR, Powles JW. Fruit and vegetabl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Int. J. Epidemiol. 26: 1-13 (2002) 

  11. Key TJ, ALlen NE, Spencer EA, Travis RC. The effect of diet on risk of cancer. Lancet 360: 861-868 (2002) 

  12. Kwon SJ, Koo NS, Seo JS, Song MY, Lee JW, Shin MS, Woo MK. Dietary Life for Well-being. 2nd ed. Kyomunsa, Paju, Korea. pp. 104-115 (2010) 

  13. Nebeling L, Yaroch, AL, Seymour JD, Kimmons. J. Still not enough: Can we achieve our goals for Americans to eat more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future? Am. J. Prev. Med. 32: 354- 355 (2007) 

  14. Lee KH, Park ES. School food service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 focused on Iksan, Jeonbuk. Korean J. Community Nutr. 15: 108-123 (2010) 

  15. Cha MH, Kim YK.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frequency and school food wast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81-487 (2007) 

  16. Park SH, Kim MJ.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vegetables in menu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60-1666 (2008) 

  17. Byun GI, Jung BH.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n the menu of school lunch servi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ju area. Korean J. Food Cult. 21: 481-490 (2006) 

  18. Ku UH, Seo JS.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 151-162 (2005) 

  19. Chung EJ, Lee SH, Ahn HS. Vegetable preferen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5th and 6th grade school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5: 83-96 (2009) 

  20. Dinehart ME, Hayes JE, Bartoshuk LM, Lainer SL, Duffy VB. Bitter taste markers explain variability in vegetable sweetness, bitterness, and intake. Physiol. Behav. 87: 304-313 (2006) 

  21. Wardle J, Cooke LJ, Gibson EL, Sapochnik M, Sheiham A, Lawson M. Increasing children's acceptance of vegetables; a randomized trial of parent-led exposure. Appetite 40: 155-162 (2003) 

  22. Granner ML, Sargent RG, Claderon KS, Hussey JR, Evans AE, Watkins KW. Factors of fruit and vegetable intake by race, gender, and age among young adolescents. J. Nutr. Educ. Behav. 36: 173-180 (2004) 

  23. Lee EA, Lee YS.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and awareness of the fish menu. Korean J. Food Cult. 26: 53-62 (2011) 

  24. Lee KE, Hong WS, Kim MH. Students' food preferences on vegetarian menus served at middle and high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1: 320-330 (2005) 

  25. Parmer SM, Salisbury-Glennon J, Shannon D, Struempler B. School gardens: An experimental learning approach for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fruit and vegetable knowledge, preference, and consumption among second-grade students. J. Nutr. Educ. Behav. 41: 212-217 (2009) 

  26. Park S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6: 17-25 (2000) 

  27. Shin SY, L Chung.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beverages related to health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2: 420-433 (2007) 

  28. Yoon HR, Cho MS. Healthy dining out attitude of restaurant diners by self-rated health status. Korean J. Food Cult. 22: 323-329 (2007) 

  29. Kim KN, Lee K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 89-99 (1996) 

  30. Kim SH, Chang MJ, Cho MS, Chung HG, Oh SY, Chang YA. Korean food culture. pp. 147-234. In: Understanding Cultural Aspect of Diet. Shinkwang publishing, Seoul, Korea (1998) 

  31. Choi MY, Kim HY.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 13: 653-662 (2008) 

  32. Kim HJ, Jang HS. Comparison between body perception, attitude on weight-control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weight group of highs school students in Daegu. Korean J. Home Econ. Educ. Assoc. 21: 1-22 (2009) 

  33. Kim YK, Shin WS. A comparison study of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3: 153-163 (2008) 

  34. Choi JY, Lee SS.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ttentiion deficit heyperactivity disorder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Nutr. 42: 682-690 (2009) 

  35. You JS, Kim SM, Chang KJ.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42: 256- 267 (2009) 

  36. Park HO, Hyun HJ, Song KH. Th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non-majors of 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4: 363- 373 (2009) 

  37. Lee JS, Lee KH. A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 of college freshmen by nutrition knowledge, purpose value of meal and reside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00-1006 (1998) 

  38. KNS.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1st rev.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p. 2 (2010) 

  39. Kim MH, Bae YJ, Lee HJ, Choi MK.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ex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21-927 (2009) 

  40. Tuorila H, Cardello AV. Consumer response to an off-flavour in juice in presence of specific health claims. Food Qual. Prefer. 13: 561-569 (2002) 

  41. Rozin P. The selection of food by rats, humans and other animals. pp. 21-76. In: Advances in the Study of Behavior. Rosenblatt R, Hinde RA, Beer C, Shaw E (ed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1976) 

  42. Kalat JW, Rozin P. Learned safety as a mechanism in long delay taste aversion learning in rats. J. Comp. Physiol. Psychol. 83: 198-207 (1973) 

  43. Distel H, Ayabe-Kanamura S, Martinez-Gomez M, Schicker I, Kobayakawa T, Saito S, Hudson R. Perception of everyday odors: Correlation between intensity, familiarity, and strength of hedonic judgement. Chem. Senses 24: 191-199 (1999) 

  44. Havermans RC, Jansen A. Increasing children's liking of vegetables through flavour-flavour learning. Appetite 48: 259-262 (2007) 

  45. Zellner DA, Rozin P, Aron M, Kulish C. Conditioned enhancement of human's liking for flavours associated with sweetness. Learn. Motiv. 14: 338-350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