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성의 관점에 기초한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의 특성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e Fashion Desig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1, 2012년, pp.13 - 23  

권정숙 (경남대학교 패션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stainability" and buzzword as in many areas of products produced and studies in progress, in situations of domestic "green fashion" of the Progress and identify problems and advanced in value sustained growth that can be done fashion design, the future of the gauge view there is need. For the pu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에서 생태학의 특성은? 디자인에서 생태학의 개념은 단순한 자연의 통제, 오염 규제를 벗어나 자연의 순환 원리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다. 자연의 물성과 인간의 기술이 합일하는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특성을 지닌다. 지속가능성은 성장과 이익을 전제로 한 자본주의의 생산과 소비체제에 도전하는 개념이다.
지속가능성은 어떠한 개념인가? 자연의 물성과 인간의 기술이 합일하는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특성을 지닌다. 지속가능성은 성장과 이익을 전제로 한 자본주의의 생산과 소비체제에 도전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자연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자연을 보호해야 하는 인간의 의무를 강조하며 경제, 사회 전반적인 조건을 윤리성과 지속성이라는 관점과 결부시켜 인식하고 행동하는 사고와 실천을 의미한다.
지속가능 디자인이란? 이것은 자연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자연을 보호해야 하는 인간의 의무를 강조하며 경제, 사회 전반적인 조건을 윤리성과 지속성이라는 관점과 결부시켜 인식하고 행동하는 사고와 실천을 의미한다. 지속가능 디자인이란 단순히 심미성과 실용성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인류의 지속을 목적으로 하며, 인간 사회의 환경, 경제, 사회적 양상의 연속성에 관련된 체계적 개념이다. 지속가능 디자인의 대표적인 방법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 및 기술개발, 자원 효율성의 극대화, 재생 가능한 재료 사용, 변형이 쉽거나 부품 대체 가능 상품, 폐기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스타일 개발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ukers, A. & Van Hinte, E. (1999). The Inevitable Renaissance Of Minimum Energy Structures, Rotterdam: 010 Publishers. 

  2. Chae, H. S. (2009).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ustainable Slow Design and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4), 531-542. 

  3. Fuad-luke, A.(2010). The eco-design handbook, London: Thames & Hudson. 

  4. http://en.wikipedia.org/wiki/Upcycling 

  5. http://okfashion.co.kr/index.cgi?actiondetail&number10075&thread81r19 

  6. http://www.fashionbiz.co.kr 

  7. http://www.freitag.ch 

  8. http://www.greenyourdecor.com 

  9. http://www.kuyichi.com 

  10. http://www.kuyichi.com/collection/ 

  11. http://www.nikebiz.com/ 

  12. http://www.reblank.com 

  13. http://www.touch4good.com 

  14. Jang, E. S. (2010). A study on the eco-sustainable design for the upcycling products-focused on the case study products.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3(3), 145-152. 

  15. Kim, C. J., & Ro, M. K. (2010). Fashion Accessories Designed from Recycled Fabric Remna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60(10), 65-79. 

  16. Kim, S. B., & Lee, K.H. (2008).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cycle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10(4), 436-444. 

  17. Kim, S. H. (2007).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18. Kwan, J. S. (2009). A study on the ethical thinking in modern fashion. 人文論叢, 24, 51-77. 

  19. Kwon, J. w. (1997). A study on the recycling fashion design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0. Lee, E. Y. (1997). A study on Eco-design of the fashion. indus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21. Lee, Y. H. & Lee, Y. M.& Ha, S.Y.(2004). Sustainable Slow Design Based on Victor Papanek's Ecological Aesth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1, 287-301. 

  22. McDonough, W. & Braungart, M. (2002). Cradle to Cradle : Remaking the Way We Make Things. New York: Tuttle Publishing. 

  23. Oh, K. H. (2005). A Study on Sustainable Design in the View of Ecological Aesthetics. Korea Design Forum, 11, 287-301. 

  24. Park, W. J. (2011, March 23). Fashion, catching a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and ethical. Hankookilbo. Retrieved May 11, 2011, from http://weekly.hankooki.com. 

  25. Ryu, K. J., & Huh, E. O. (2006).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Design, 6(1), 57-78. 

  26. Sin, H. N. (1997). The study on minimalism in fashion design from environment-friendly aspect.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27. Son, S. R. & Kim, J. H. (2004). A Study of Fashion Design in the view of Ecologic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Design, 4(1), 23-34. 

  28. Thinking About A Green Future. (1994, October 11). Salvo in Germany, P.11. 

  29. UN Documents; Gathering a body of global agreements. (1987).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Geneva. Conference of NGOs. http://www.undocuments.net. 

  30. Youn, S. M. (2010, March 12). 2010 pid: take the lead in environmentfriendly trends. fashion journ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