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수업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lass Compositi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5, 2012년, pp.991 - 1006  

박성만 (단국대학교) ,  이봉우 (단국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시사점을 찾고자 교사의 수업 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수업 관찰과 면담에서 나타난 수업 구성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 요인들의 형태와 변화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 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크게 교사의 자발적 동기가 수업 구성에 작용하는 정적 동기 요인과 외부의 요구가 수업 구성에 작용하는 부적 동기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정적 동기 요인의 세부 요인으로는 특성 반영 요인, 체험적 요소 반영 요인, 사회 문화적 신념 요인, 대안적 구성 요인, 교과 내용적 신념 요인, 철학적 신념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부적 동기 요인의 세부 요인으로는 내용적 인식차이 요인, 사회 문화적 요구 요인, 인지적 변화 요인, 정서적 차이 요인, 부정적 환경 요인, 과정적 보완요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발된 수업 구성 요인 분석틀을 바탕으로 수업을 관찰하고 교사를 면담한 결과 정적 동기 요인, 부적 동기 요인들은 수업을 구성하는 단계, 수업을 진행하는 단계, 수업 후 단계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각 요인들은 상황에 따라 부적요인이 정적 요인으로, 정적 요인이 더 강화된 정적 요인 등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적 동기 요인들을 최소화하고 극복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 상호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성취감을 증대시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교실 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lass compositions.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class composing factor analysis framework and we observed teachers' class to figure out the class composing factor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ere 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적 동기 요인과 부적 동기 요인은 범주화된 수업 구성 중에 어느 부분에서 나타났는가? 범주화된 수업 구성 요인 분석틀을 바탕으로 물리 교사 5명의 14개 수업을 관찰하고 면담한 결과 정적 동기 요인과 부적 동기 요인들이 수업 중에 관찰되었 으며, 정적 동기 요인과 부적 동기 요인은 교사가 수업 전 수업을 구성하는 단계, 수업을 진행하는 단계, 수업 후 단계에서 모두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교육과정 이해 단계, 수업 구성 단계, 수업 진행 단계에서 나타난 부적 동기 요인들을 수업 구성에 반영하여 보다 나은 수업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정적 동기의 세부 요인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 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크게 교사의 자발적 동기가 수업 구성에 작용하는 정적 동기 요인과 외부의 요구가 수업 구성에 작용하는 부적 동기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정적 동기 요인의 세부 요인으로는 특성 반영 요인, 체험적 요소 반영 요인, 사회 문화적 신념 요인, 대안적 구성 요인, 교과 내용적 신념 요인, 철학적 신념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부적 동기 요인의 세부 요인으로는 내용적 인식차이 요인, 사회 문화적 요구 요인, 인지적 변화 요인, 정서적 차이 요인, 부정적 환경 요인, 과정적 보완요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발된 수업 구성 요인 분석틀을 바탕으로 수업을 관찰하고 교사를 면담한 결과 정적 동기 요인, 부적 동기 요인들은 수업을 구성하는 단계, 수업을 진행하는 단계, 수업 후 단계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각 요인들은 상황에 따라 부적요인이 정적 요인으로, 정적 요인이 더 강화된 정적 요인 등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 교사, 상호 작용 등 수업 전문성에 관하여 진행된 연구로는 무엇이 있나요? 최근 수업 전문성은 평가, 교사, 상호 작용, 좋은 수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평가 측면에서는 주로 수업에 대한 평가와 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연구로써 과학 교사의 자기 평가 도구 개발및 적용(김성원 등 2005), 수업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전화영 등, 2009), 수업 평가 기준 개발(임찬빈 등, 2004) 등이 진행되었으며, 교사 측면에서는 교사의 특성이나 인식에 따른 수업의 특징에 대한 연구로써 수업에 미치는 교사의 지식과 신념(Mulholland & Wallace, 2005), 초임 교사 수업에 대한 연구(곽영순, 2008; 곽영순, 2009; 민희정 등, 2010), 교사의 교육과정 인식(김혜영과 백성혜, 2009; 박상태 등, 2005) 등이 수행되었고, 학생과 교사의 상호 작용 측면에서는 수업 상황 사례 연구(Lee & Luft, 2008)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곽영순과 김주훈(2003)은 과학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과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하여 분류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곽영순 (2008). 과학과 교과 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2. 곽영순 (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3.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4. 김성원, 정세미, 황윤진 (2005). 중등 과학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 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36-745. 

  5. 김혜영, 백성혜 (2009). 제7차 화학I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및 평가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53-665. 

  6. 노태희, 김경순, 박현주, 전경문 (2006). 동기적 학습 환경, 성취 목적, 학습 전략이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2-238. 

  7. 문공주 (2008). 과학 교사 교수 내용 지식(PCK)의 구조와 형성과정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 (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 교사의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37-451. 

  9. 박민정, 김유복, 전동렬 (2007).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유발에 영향을 주는 평가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23-630. 

  10. 박상태, 변두원, 이희복, 김준태, 육근철 (2005). 지식상태 분석법을 통한 예비 물리 교사들의 학년별 물리개념 위계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46-753. 

  11. 박승재, 노태희, 권혁순, 김혜경 (2000). 제6차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실천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20-28. 

  12. 안영돈 (2009). 과학 수업 구조와 내용 분석을 통한 초등 교사의 신념과 교수 실제 사이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양락, 이선경, 홍미영, 홍재식 (1999).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공통과학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59-172. 

  14. 임찬빈, 이화진, 곽영순, 강대현, 박영석 (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15.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5). 과학 교사와 동료 학생에 의해 강조되는 동기적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성취 목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64-370. 

  16. 전화영, 홍훈기, 박은이, 김현정 (2009). 중등 과학 교사 수업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106-115. 

  17.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과 교수 내용 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18. 홍미영, 송현정, 김주아 (2009). 국내외 고등학교 과학과 교실 학습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9-11-1. 

  19. Ball, D. L. (1993). With an eye on the mathematical horizon: Dilemman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73-397. 

  20. Clark, C. & Peterson. P. (1986). Teachers' thought process. In M.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New York: Macmillan. 

  21. Elbaz, F. (1981). The teachers'"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1. 

  22. Grossman, P.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 3-11. 

  23. Holloway, J. (2006). Advancing Student Achievement through Professional Develop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4. Johnson, M. (1989). Embodied knowledge. Curriculum Inquiry, 19(4), 361-377. 

  25. Kagan, D. (1992). Implications of research on teacher belief. Educational Psychologist, 27, 65-90. 

  26. Lee, E. & Luft, J. (2008).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represent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43-1363. 

  27. Leinhardt, G. & Greeno, J. (1986). The cognitive skill of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2), 75-95. 

  28. Mulholland, J. & Wallace, J. (2005). Growing the tree of 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7), 767-790. 

  29. Park, S., and Oliver,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0. Tuan, H.-L. & Kaou, R.-C. (1997). Development of a grade eight Taiwanese physical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Republic of China, Part D: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7(3), 135-154. 

  31.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32. Wenglinsky, H. & Silverstein, S. (2007). The Science Training Teachers Need. Educational Leadership, 64(4), 24-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