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재활훈련이 알츠하이머 노인의 우울정서와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aining in Exercise Rehabilitation on Depressive mood, BPSD in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1, 2012년, pp.37 - 47  

조성현 (보람요양병원) ,  김철용 (울산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ining in exercise rehabilitation on depressive emo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BPSD) caused by Alzheimer's disease elde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over 65 and 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근력과 근지구력 및 균형 능력의 증진과 기능 부전을 예방한다. 또한, 치매노인의 불안과 우울증을 완화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운동프로그램은 8주 동안 매주 3회 1일 60분씩 실시하였고, 본 운동 전 10분간 가벼운 준비운동 후에 본 운동을 40분간 실시하고, 본 운동 후 마무리운동으로 10분간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총 60분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노인의 우울정서와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1년 6 program 월 13일부터 8월 8일까지 8주간 운동재활훈련을 실시하여, 데이터 수집 후 분석하였다. U광역시 ◯◯노인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신경과 전문의로부터 의무기록상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받고 MMSEK점수가 11-23점 사이인 65세 이상의 노인 34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하지만 알츠하이머증상을 지닌 노인의 우울정서와 정신행동증상을 위한 운동의 효과에 대하여 보다 적게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운동재활훈련이 알츠하이머 노인의 우울정서 및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높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운동재활프로그램은 김설향(2005)의 치매노인을 위한 신체자극 운동프로그램과 박현숙(2009)의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기초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근력과 근지구력 및 균형 능력의 증진과 기능 부전을 예방한다. 또한, 치매노인의 불안과 우울증을 완화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대하여 알츠하이머 노인에서의 신체적 활동과 운동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훈련을 통하여 알츠하이머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정서 및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병이란 무엇인가? 알츠하이머병은 대뇌피질세포의 점진적인 퇴행변화로 인하여 기억력과 언어기능의 장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판단력과 방향 감각이 상실되고 성격도 변화되어 결국은 환자가 자신 스스로를 돌보는 능력이 상실되는 질환이다(Knopman 등, 2001). 치매 증상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물질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축적되는 아밀로이드 프러그 (amyloid plaques)의 구성 물질 가운데 하나인 β-아 밀로이드 단백질이(Cedazo-Minguez 등, 2003; Prince 등, 2004), 이 단백질 증가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이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DHEAs의 감소가 또 하나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Linda 등, 1999).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도인지장애에서 자주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 5에서는 수면 변화, CDR 1에서는 무감동ㆍ무관심, 우울ㆍ낙담, CDR 2에서는 여러 가지 이상행동과 수면변화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CDR 3에서는 무감동ㆍ무관심, 망상, 환각, 우울ㆍ낙담, 불안, 식욕ㆍ식습관의 변화가 흔하게 나타났다(Hui 등, 2003). 경도인지장애에서는 우울ㆍ낙담, 무감동ㆍ무관심, 초조ㆍ불안이 자주 나타나고, 초기의 치매에서는 우울ㆍ낙담, 무감동ㆍ무관심이 자주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증상은 중기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rris등, 2001).
치매 증상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물질로 무엇이 있나? 알츠하이머병은 대뇌피질세포의 점진적인 퇴행변화로 인하여 기억력과 언어기능의 장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판단력과 방향 감각이 상실되고 성격도 변화되어 결국은 환자가 자신 스스로를 돌보는 능력이 상실되는 질환이다(Knopman 등, 2001). 치매 증상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물질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축적되는 아밀로이드 프러그 (amyloid plaques)의 구성 물질 가운데 하나인 β-아 밀로이드 단백질이(Cedazo-Minguez 등, 2003; Prince 등, 2004), 이 단백질 증가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이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DHEAs의 감소가 또 하나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Linda 등,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김상윤. 경도인지장애의 임상소견. 대한치매학회지. 2003;2(2):96-100. 

  2. 김설향. 치매노인을 위한 신체자극 운동프로그램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5; 25:503-15. 

  3. 김영숙.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 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 김혜순, 이여진, 박광희 등. 인지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10;10(8):227-39. 

  5.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한국형 치매 평가검사. 서울. 학지사. 2003. 

  6.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치매-일찍 알고 밝게 살자. 서울. 조선일보사. 2002. 

  7. 대한치매학회. 치매 임상적 접근. 서울. 아카데미아. 2006. 

  8. 박현숙.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능력 및 평형성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유용성. 서울기술과 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9. 배재남. DSM-III-R 주요 우울증에 대한 geriatric depression scale의 정확 진단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10. 보건복지가족부. 치매노인유병률조사. 2008. 

  11. 연병길, 서국희, 류성곤 등. 정상노인 및 노인 치매 환자와 우울증 환자의 삶의 질 비교. 노인정신의학. 1999;3(2):157-64. 

  12. 이은희, 이정화.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 30:237-61. 

  13.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등.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9;38 (1):48-63. 

  14. Alexopoulos GS. New concept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ate-life depression. Am J Psychiatry. 2001;158(6):835. 

  15. Arkin SM. Elder Rehab: A student- supervised exercise program for Alzheimer's patients. Gerontologist. 1999;39(6):729-35. 

  16. Bartels SJ, Clark RE, Peacock WJ et al. Medicare and medicaid costs for schizophrenia patients by age cohort compared with costs for depression, dementia and medically ill patients. Am J Geriat Psychiat. 2003;11(6):648-57. 

  17. Blumenthal JA, Babyak MA, Moore KA et al.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olde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rch Intern Med. 1999;159 (19):2349-56. 

  18. Bondareff W. Neuropathology of psychotic symptoms in Alzheimer's disease. Int Psychogeriatr. 1996;8 (3):233-7. 

  19. Carpenter B, Ruckdeschel K, Ruckdeschel, H et al. R-E-M psychotherapy: A manualized approach for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depression and dementia. Clin Gerontol. 2002;25:25-49. 

  20. Cedazo-Minguez A, Popescu O., Blanco-Millian JM et al. Apolipoprotein E and beta-amyloid regula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3beta. J Neurochem. 2003;87(5):1152-64. 

  21. Chung JA, Cummings JL. Neurobehavioral &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Alzheimer's disease: Characteristrics and treatment. Neurol Clin. 2000;18(4):829-46. 

  22. Corey-Bloom J. Alzheimer's diseas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Continuum Dementia. Pliladelphia. PA. 2004;10(1): 29-47. 

  23. Fiatarone MA, O''Neill EF, Ryan ND et al. Exercise training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for physical frailty in very elderly people. New Engl J Med. 1994;330(25):1769-75. 

  24. Forsell Y, Jorm AF, Winblad B. Outcome of Depression in Demented and Non-demented Elderly: Observations from a three-year follow-up in a community- based study. Int J Geriatr Psych. 1994;9(1):5-10. 

  25. Frisoni GB, Padovani A, Wahlund LO. The predementia diagnosis of Alzheimer disease. Alz Dis Assoc Dis. 2004;18(2):51-53. 

  26. Hui JS, Wilson RS, Bennett DA et al. Rate of cognitive decline and mortality i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2003;61(10):1356-61. 

  27. Jhoo JH, Kim KW, Huh Y et al. Prevalence of dementia and its subtypes in an elderly urban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KLoSHA). Dement Geriatr Cogn. 2008;26(3):270-76. 

  28. Kaufer DI, Cummings JL, Ketchel P et al. Validation of the NPI-Q, a Brief Clinical Form of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J Neuropsych Clin N. 2000;12(2):233-9. 

  29. Kawas C, Gray S, Brookmeyer R et al. Age-specific incidence rates of Alzheimer's disease: The Baltimore Longi- tudinal Study of Aging. Neurology. 2000;54(11):2072-77. 

  30. Knopman DS, DeKosky ST, Cummings J et al. Practice parameter: Diagnosis of Demetia.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2001;56(9):1143-53. 

  31. Knopman D, Donohue JA, Guttreman EM. Patterns of care in the early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Impairments to timely diagnosis. J Am Geriatr Soc. 2000;48(3):300-4. 

  32. Larson EB, Wang L, Brown JD et al. Exercise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for incident dementia among persons 65years of ages or order. Ann Intern Med. 2006;144(2):73-81. 

  33. Labbe EE, Welsh MC, Delaney D. Effects of consistent aerobic exercise on the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women. Percept Mot Skills. 1988; 67(3):919-25. 

  34. Linda E, Carlson BB, Sherwin HM. Relat- ionships between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DHEAs) and cortisol(CRT) plasma levels and everyday memory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Horm Behav. 1999;35(3): 254-63. 

  35. Low LF, Brodaty H, Draper B. A Study of premorbid personality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nursing home residents. Int J Geriatr Psych. 2002;17(8): 779-83. 

  36. Mather AS, Rodriguez C, Guthrie MF et al. Effects of exercise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ith poorly responsive depressive disorder. Brit J Psychiat. 2002;180(5):411-5. 

  37. Mathews RM, Clair AA, Kosloski K. Keeping the beat: Use of rhythmic during exercise activ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s. 2001;16(6):377-80. 

  38. McKhann G, Drachman D, Folstein M et al.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1984;34(7):939-44. 

  39. Morris JC, Storandt M, Miller JP et al. Mild cognitive impairment represents early-stage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1;58(3):397-405. 

  40. O'Connor PJ, Aenchbacker III LE, Dishman RK.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 Aging & Physical Activity. 1993;1(1):34-58. 

  41. Prince JA, Zetterberg H, Andreasen N et al. APOE epsilom 4 allele is associated with reduced cerebrospinal fluid levels of a beta 42. Neurology. 2004;63(11): 2116-228. 

  42. Raggi A, Iannaccone S, Marcone A et al.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of Alzheimer's disease in a hospital setting. Behav Neurol. 2007;18(1):1-6. 

  43. Ransford CP. A role for amines in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exercise: a review. Med Sci Sports Exerc. 1982; 14(1):1-10. 

  44. Sadock BJ, Sadock VA.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8th ed. New York.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5:3671-83. 

  45. Snowden M, Sato K, Roy-Byrne P. Assessment and treatment of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pression or behavioral symptoms associated with dement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Am Geriatr Soc. 2003;51(9):1305-17. 

  46. Tallis R, Fillit HM. Brocklehurst's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6th ed. Churchill & Livingstone. 2003. 

  47. Teri L, Gibbons LE, McCurry SM et al. Exercise plus behavioral management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JAMA. 2003;290(15):2015-22. 

  48. Yesavage J.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depression and dementia. Am J Med. 1993;94(5):23-28. 

  49. Yesavage JA, Brink L, Rose TL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Psychiat Res. 1983; 17(1):37-49. 

  50. Williams CL, Tappen RM. Effect of exercise on mood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M J Alzheimer Dis Other Demen. 2007;22(5):389-97. 

  51. Williams CL, Tappen RM. Exercise training for depressed olde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ging Ment Health. 2008; 12(1):7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