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11일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1주년을 계기로 한국 국민의 방사선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론적 설계는 양적 조사로 하고, 빈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전국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일반인으로부터 수거한 설문 응답지 2754부이다. 연구 도구는 설문지이며, 직접 배포한 뒤 수거하였다. 설문은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영역별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는 '방사선의 자아인식' 0.620, '방사선의 위험' 0.830, '방사선의 편익' 0.781, '방사선의 관리' 0.685, '방사선의 정보원' 0.831, '후쿠시마 사고의 영향 정도' 0.763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설문 분석 결과 응답자의 방사선 개념에 대한 지식은 100점 만점 환산 평균 69.5점이며, 이는 자신들이 '방사선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 53.7%, '보통 알고 있다'는 응답이 37.4%인 것과는 상당히 다른 결과다. '방사선이 위험하다'고 느끼는 중요 원인 중 하나는 '방사선에 노출되면 지금은 아니더라도 다음 세대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66.1%)으로 분석됐다. 방사선에 대한 정부 발표를 믿지 못하는 응답자가 41%에 이르러 정부에 대한 불신이 높았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문에 원전을 운영하지 말아야 한다는 쪽으로 생각을 바꾼 응답자도 39.5%나 됐다.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선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인식을 처음 조사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향후 방사선에 대한 정부의 정책 수립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1주년을 계기로 한국 국민의 방사선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론적 설계는 양적 조사로 하고, 빈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전국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일반인으로부터 수거한 설문 응답지 2754부이다. 연구 도구는 설문지이며, 직접 배포한 뒤 수거하였다. 설문은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영역별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는 '방사선의 자아인식' 0.620, '방사선의 위험' 0.830, '방사선의 편익' 0.781, '방사선의 관리' 0.685, '방사선의 정보원' 0.831, '후쿠시마 사고의 영향 정도' 0.763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설문 분석 결과 응답자의 방사선 개념에 대한 지식은 100점 만점 환산 평균 69.5점이며, 이는 자신들이 '방사선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 53.7%, '보통 알고 있다'는 응답이 37.4%인 것과는 상당히 다른 결과다. '방사선이 위험하다'고 느끼는 중요 원인 중 하나는 '방사선에 노출되면 지금은 아니더라도 다음 세대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66.1%)으로 분석됐다. 방사선에 대한 정부 발표를 믿지 못하는 응답자가 41%에 이르러 정부에 대한 불신이 높았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문에 원전을 운영하지 말아야 한다는 쪽으로 생각을 바꾼 응답자도 39.5%나 됐다.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선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인식을 처음 조사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향후 방사선에 대한 정부의 정책 수립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 year has passed since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Fukushima on March 11, 2011, and a survey for public perception on radiation by Korean people has been made. The methodological design was based on a quantitative survey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he analysis objects were survey pa...
A year has passed since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Fukushima on March 11, 2011, and a survey for public perception on radiation by Korean people has been made. The methodological design was based on a quantitative survey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he analysis objects were survey papers (n=2,754pcs) answered by random ordinary citizens chosen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s, and study tool, were directly distributed and collected. A total of 40 questionnaires using a coefficient of Cronbach's ${\alpha}$ per each area was 'self perception of radiation' (0.620), 'radiation risk' (0.830), 'benefit from radiation' (0.781), 'radiation controlled' (0.685), 'informative source of radiation' (0.831), 'influence degree from Fukushima accident' (0.763), showing rather high score from all areas.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the knowledge of radiation concept was 69.50 out of 100 points, which shows a rather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know well about radiation' (53.7%) and 'just know about radiation' (37.40%). According to the survey, one of the main reasons why radiation seems risky was that once exposed to radiation, it may not have negative impacts presently but, the next generation could see negative impacts (66.1%). About 41% of our respondents showed a negative position against the government's report on radiation while 39.5% of respondents said that we should stop running nuclear power in light of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is study was done for the first time by Korean people's public perception on radiation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We expect this might hav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s policy on radiation.
A year has passed since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Fukushima on March 11, 2011, and a survey for public perception on radiation by Korean people has been made. The methodological design was based on a quantitative survey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he analysis objects were survey papers (n=2,754pcs) answered by random ordinary citizens chosen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s, and study tool, were directly distributed and collected. A total of 40 questionnaires using a coefficient of Cronbach's ${\alpha}$ per each area was 'self perception of radiation' (0.620), 'radiation risk' (0.830), 'benefit from radiation' (0.781), 'radiation controlled' (0.685), 'informative source of radiation' (0.831), 'influence degree from Fukushima accident' (0.763), showing rather high score from all areas.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the knowledge of radiation concept was 69.50 out of 100 points, which shows a rather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know well about radiation' (53.7%) and 'just know about radiation' (37.40%). According to the survey, one of the main reasons why radiation seems risky was that once exposed to radiation, it may not have negative impacts presently but, the next generation could see negative impacts (66.1%). About 41% of our respondents showed a negative position against the government's report on radiation while 39.5% of respondents said that we should stop running nuclear power in light of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is study was done for the first time by Korean people's public perception on radiation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We expect this might hav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s policy on radi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연구 방법 설계는 설문 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로 하여, 한국 국민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명지대학교 조성경 교수에게 의뢰하여 개발하였다.
제안 방법
연구 방법 설계는 설문 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로 하여, 한국 국민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명지대학교 조성경 교수에게 의뢰하여 개발하였다. 한국 국민의 대표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전국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일~2012년 2월 29일 한 달 동안 인쇄된 설문지를 일반 성인에게 무작위로 배포하여 2,754부를 수거하였다.
설문 문항은 6개 하위 영역으로 나눈 뒤 총 40문항으로 만들었다. 인구 사회학적 기본 정보(성별, 나이별, 직업별, 교육 수준별)와 ‘방사선 지식 정도(O, X)’ 6문항, ‘방사선 지식 수준 인식 평가’ 2문항(이하 5점 리커드 척도), ‘방사선의 위험’ 5문항, ‘방사선의 편익’ 6문항, ‘방사선의 관리’ 6문항, ‘방사선의 정보원’ 12문항, 후쿠시마 사고의 영향 정도‘ 3문항이다.
응답자 자신이나 남들의 방사선 지식이 얼마라고 평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2개 문항을 만들었다. ‘사람들은 방사선에 대해 잘 알지 못 한다’라는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55.
방사선의 편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6문항을 구성하였다. 6문항 모두 응답자 중 방사선의 편익에 긍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이 아주 높았다.
방사선 관련 정보를 얻는 채널과 신뢰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12문항을 만들었다. 응답자들이 정보는 얻는 채널은 인터넷 46.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한국인의 원전 안전에 미친 영향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알아보기 위한 3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자력발전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라는 문항에 긍정 86.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한국 국민의 방사선 인식도를 파악하였다.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와 위험성에 대한 인식, 방사선 관리에 대한 정부의 역할, 방사선 정보를 얻는 채널, 정부와 언론의 방사선 관련 발표의 신뢰 정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끼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한국 국민의 방사선 인식도를 파악하였다.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와 위험성에 대한 인식, 방사선 관리에 대한 정부의 역할, 방사선 정보를 얻는 채널, 정부와 언론의 방사선 관련 발표의 신뢰 정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끼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설문은 명지대학교 조성경 교수에게 의뢰하여 개발하였다. 한국 국민의 대표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전국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일~2012년 2월 29일 한 달 동안 인쇄된 설문지를 일반 성인에게 무작위로 배포하여 2,754부를 수거하였다. 설문지 배포 기간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1주년을 맞추기 위해 최대한 2012년 3월 11일에 근접하게 하였다.
총 응답자는 2,754명이며, 남성은 1,501명(54%), 여성은 1,211명(44%), 성별을 밝히지 않은 응답자는 42명(1.5%)이었다. 연령별로는 18~30세가 855명(31%), 31~40세가 903명(32%), 41~50세가 627명(22.
데이터처리
수거된 설문지의 안정성과 일관성, 예측 가능성을 제대로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신뢰도 계수로 사용하였다.
설문지 배포 기간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1주년을 맞추기 위해 최대한 2012년 3월 11일에 근접하게 하였다. 분석은 SPSS18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수거된 설문지 분석은 문항별 빈도 분석을 하였고,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성능/효과
본 연구 조사를 통해서는 일반인들의 ① 방사선 관련 지식 수준, ② 방사선 지식 수준의 자각 정도, ③ 방사선의 위험, ④ 방사선의 편익, ⑤ 방사선의 제어, ⑥ 방사선 정보의 습득 창구, ⑦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런 인식도 결과를 활용하면 정부 정책을 입안할 때 어떤 점에 주안점을 둬야할지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그 정책에 대한 효과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표 1은 그 결과로 ‘방사선의 자아 인식’ 0.620, ‘방사선의 위험’ 0.830, ‘방사선의 편익’ 0.781, ‘방사선의 관리’ 0.685, ‘방사선의 정보원’ 0.831, ‘후쿠시마 사고의 영향‘ 0.763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주요 문항 별 정답을 맞힌 비율을 보면, ‘방사선은 일종의 에너지이다’라는 문항의 경우 남자의 76.8%, 여자의 78.0%, 나이별로는 74.2% (31~40세)~82.0% (18~30세)로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문항은 일반인에게는 어려운 문제이어서인지 정답자 비율이 아주 낮았다. 이런 결과를 보았을 때 일반인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수준이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부 정책 입안자나 원자력 계는 일반인의 방사선 지식 수준에 맞는 인식도 향상 정책을 펴야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수용 의사를 묻는 문항인 ‘나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방사선을 이용할 의사가 있다’에는 긍정이 58.2%,부정이 12.4%,‘나는 맛과 품질을 위해 방사선을 사용한 식품을 이용할 의사가 있다’에는 긍정이 15.6%,부정이 58.6%로 나타났다.
방사선 관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은 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과학기술로 방사선의 통제가 가능하다는 비율이 전체의 절반 이상(54.3%)을 차지해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가 높았다. 그러나 방사선의 위험은 개인적인 노력으로 통제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응답자의 절반 이상(50.
정보원의 신뢰를 묻는 문항인 ‘방사선과 관련한 정부 발표는 믿을만한 수준이다’에는 긍정이 전체의 10.4%, 부정이 41.0%, ‘방사선과 관련한 언론 보도는 믿을만한 수준이다’에는 긍정이 14.1%, 부정이 33.9%로 나타났다.
이들 6문항의 응답 결과에서 보듯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는 높았으며, 개인보다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과학기술과 정부에 대한 신뢰도에서 50대와 30대 이하의 연령대 간에 응답 비율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눈여겨 봐야 하며, 이에 대한 원인이 단순 세대 차이인지, 주변 환경 차이인지 좀 더 연구가 필요한 대목이다.
방사선 관련 정보를 얻는 채널과 신뢰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12문항을 만들었다. 응답자들이 정보는 얻는 채널은 인터넷 46.2%, 방송 42.3%, 종이신문 22.1%, 기관 홈페이지 11%, 정부의 인쇄물 10.4%, 교과서 9.1%, 지인 15.2%, 소셜 네트워크(SNS) 10.5%로 나타났다.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는 연령대를 나눠 보면 51세 이상이 30.
후속연구
그래서 방사선에 대한 대국민 인식도 조사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정부와 원자력 계가 대국민 방사선 인식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6문항의 응답 결과에서 보듯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는 높았으며, 개인보다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과학기술과 정부에 대한 신뢰도에서 50대와 30대 이하의 연령대 간에 응답 비율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눈여겨 봐야 하며, 이에 대한 원인이 단순 세대 차이인지, 주변 환경 차이인지 좀 더 연구가 필요한 대목이다. 더구나 방사선 관리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그 대응체제는 잘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점은 정부 신뢰도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석 대상은 누구인가?
연구 방법론적 설계는 양적 조사로 하고, 빈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전국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일반인으로부터 수거한 설문 응답지 2754부이다. 연구 도구는 설문지이며, 직접 배포한 뒤 수거하였다.
설문 문항의 구성은 어떠한가?
설문 문항은 6개 하위 영역으로 나눈 뒤 총 40문항으로 만들었다. 인구 사회학적 기본 정보(성별, 나이별, 직업별, 교육 수준별)와 ‘방사선 지식 정도(O, X)’ 6문항, ‘방 사선 지식 수준 인식 평가’ 2문항(이하 5점 리커드 척도), ‘방사선의 위험’ 5문항, ‘방사선의 편익’ 6문항, ‘방사선의 관리’ 6문항, ‘방사선의 정보원’ 12문항, 후쿠시마 사고의 영향 정도‘ 3문항이다.
한국 정부의 방사선 관리에 대한 설문조사는 어떠했는가?
6%)에 이르렀다. 한국 정부가 방사선을 ‘잘 관리하고 있다’와 ‘그렇지 못하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26.0%, 26.2%%로 거의 같았다. 이는 방사선 관리에 있어서 정부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보는 반면 정부가 방사선 관리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5)
중앙일보. 레벨7은 최악의 원전 사고 등급. 2011. 04.13. 3면.
중앙일보. 후쿠시마 바닷물, 한국 오는 데 5년. 2011. 04.13. 8면.
중앙일보. 고리 원전 1호, 수명연장 후 첫 사고. 2011. 04.14. 1면.
이재기.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방사능에 대한 이해: 일본 원전사고 관련 국내 방사선 영향 긴급토론회. 한국과학기자협회.한국동위원소협회 2011.
Cho SK, Trone JR, Whang J, Lee MY. Assessment of public perception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Korea. SANDIA REPORT SAND2011-8529. 201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