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복합어와 구의 음향 음성학적 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ounds and Phras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1, 2012년, pp.49 - 54  

이서배 (창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udies on acoustic correlates of stress in English compounds and English phrases have revealed the difference of changes in acoustic manifestation between English compounds and English phrases with different intonation patterns. However, little effort has been made to compare Korean compo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접근을 통해 드러난 한국어 복합어와 구의 음향 음성적 특성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특히 영어권)의 억양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향후, 복합어와 구의 억양 패턴에 있어서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밝히려는 연구들의 선행 연구로서 도움을 주는 것도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 본 연구는 영어에 나타나는 복합어와 구의 차이를 음향 음성적 자질들로 밝힌 기존 연구(Adams, 2007; Adams, 2011)를 참고해 한국어의 복합어와 구를 음향 음성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영어를 분석한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발화문장에 상응하는 한국어 문장을 디자인하고 한국인 화자 30명의 발화 실험을 통해 한국어에 나타나는 복합어와 구의 음향 음성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피치 액센트와 인토네이션을 피치(pitch), 강도 (intensity), 길이(duration)로 나누어 분석한 기존 연구들(이주경, 2005; 이서배, 2011; Yi, 2007)과 음향 음성학적 접근 방향은 같으나 피치의 측정에 Hz대신 Semitones를 사용해 사람의 청각기재에 좀 더 가까운 음향단위로 피치의 특성을 나타내고자 했다. Semitones는 음성 발화의 인토네이션에 나타나는 피치 간격의 인지를 잘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olan, 200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어에 있어서 복합어와 구의 억양 구조는 어떤 관점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는가? 영어에 있어서 복합어와 구의 억양 구조는 주로 음운론과 통사론의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Chomsky et al., 1968; Liberman et al.
영어 복합 어와 구의 음향 음성적 특징들이 다양한 억양 환경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본 시도는 어째서 주목할 만한 일인가? , 1986; Ladd, 1996). 지금까지 복합어와 구의 연구들 중 실제 발화데이터를 사용해 정량화한 접근을 한 경우는 극히 소수였고 제한적이었다. 한국어에 있어서도 복합어와 구를 발화한 음성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예는 거의 찾기 힘들다. 그런 맥락에서 최근 영어 복합 어와 구의 음향 음성적 특징들이 다양한 억양 환경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본 시도(Adams, 2007; Adams, 2011)는 주목할 만한 일이다.
한국어의 복합어와 구의 구분에 있어서, 의문문말에서 피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이유는? 한국어의 복합어와 구의 구분에 있어서, 의문문말에서 피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전음절보다 낮은 후음절의 피치가 의문문말의 피치 상승으로 동반 상승하면서 복합어와 구의 전, 후음절간 피치 차이가 많이 상쇄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영어의 복합어와 구의 차이를 연구한 기존 연구(Adams, 2007; Adams, 2011)에서 의문문말의 피치 상승에 따른 후음절 강도 증가(Alk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dams, T. (2007). Phonetic cues identifying English compounds,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Saarbrucken, Germany. 

  2. Adams, T. (2011). Acoustic correlates of stress in English adjective-noun compounds, Language and Speech, 1-35, DOI: 10.1177/0023830911417251, las.sagepub.com. 

  3. Alku, P., Vintturi, J. and Vilkman, E. (2002). Measuring the effect of fundamental frequency raising as a strategy for increasing vocal intensity in soft, normal and loud phonation, Speech Communication, 38, 321-334. 

  4. Chomsky, N. and Halle, M.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Inc.. 

  5. Ladd, D. (1996). Intonational Phon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Lee, J. (2005). The problems with Korean speakers' L* production in English and their implications for teaching English intonatio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11(2), 353-366. (이주경 (2005).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저성조 피치액센트 발화의 문제점,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11(2), 353-366.) 

  7. Liberman, M. and Prince, A. (1977). On stress and linguistic rhythm, Linguistic Inquiry, 8(2), 249-336. 

  8. Nespor, M. and Vogel, I. (1986). Prosodic Phonology, Riverton, NJ: Foris Publications. 

  9. Nolan, F. (2003). Intonational equivalence: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pitch scales, 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Phonetic Sciences, Barcelona, Spain, 771-774. 

  10. Oh, G., Guion-Anderson, S., Aoyama, K., Flege, J., Akahane- Yamada, R. and Yamada, T. (2011).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of English and Japanese vowel production by Japanese adults and children in an English-speaking setting, Journal of Phonetics, 39(2), 156-157. 

  11. Park, H. (1999). A study on the variation of vowel lengths in relation to their utterance positions,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Humanities & Social Science Research Center Namseoul Univ., 1, 99-108. (박희석 (1999). 발화위치에 따른 모음길이의 변화연구, 인문 사회연구, 남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센터, 1, 99-108.) 

  12. Yi, S. (2007). Perception of transplanted English prosody by American and Korean listeners, Speech Sciences, 14(1), 73-92. 

  13. Yi, S. (2011). An Analysis of H* productio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ccording to the focus of English sentences in comparison with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3), 57-62. (이서배 (2011). 영어 원어민과 비교한 한국인 학습자의 영 어 문장 초점에 따른 영어 고성조 구현의 분석과 억양교육 에 대한 시사점, 말소리와 음성과학 3(3), 57-62.) 

  14. Yi, S., and Kim, S. (2011). A study on low pitch accent produced in different locations in English sentence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4), 63-70. (이서배, 김수정 (2011). 영어 문장 내 상이한 위치에 나타난 저성조 피치 액센트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3(4), 63-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