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최근 5년간 중국내 미병 연구동향 고찰
Review of Subhealth and Mee-byung Research Trend as a Method of Network Analysis from 2007 to 2011 in China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6 no.5, 2012년, pp.615 - 620  

이재철 (한국한의학연구원) ,  진희정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subhealth and meebyung(未病) research as a method of network analysis from 2007 to 2011 in China. A total of 3,933 papers were involved in analysis from 5,465 searched papers, which title have '未病', '亞健康' in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It ...

주제어

참고문헌 (12)

  1. 閔眞夏, 白裕相, 張祐彰, 丁彰炫. 治未病 사상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3(1):257-277, 2010. 

  2. 이상재, 이송실, 김도훈. '未病' 연구의 경향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3(5):23-24, 2010. 

  3. 진희정, 백영화, 이영섭, 이재철, 김명, 김상혁, 미병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6(4), 2012. 

  4. Available from: http://apps.isiknowledge.com/ 

  5.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pubmed/ 

  6. 김상혁, 주종천, 황동욱, 이시우. 중의체질의학과 치미병(治未病)센터에 대한 보고. 사상체질의학회지 22(3):59-66, 2010. 

  7. Available from: http://scholar.cnki.net/join/intro.aspx# dian_three 

  8. Smith, M., Milic-Frayling, N., Shneiderman, B., Mendes Rodrigues, E., Leskovec, J., Dunne, C., (2010). NodeXL: a free and open network overview, discovery and exploration add-in for Excel 2007/2010, http://nodexl.codeplex.com/ from the Social Media Research Foundation, http://www.smrfoundation.org 

  9. 이광희. 지식지도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10. 윤문섭 외. 국가연구개발의 전략기획을 위한 새로운 연구기획 방법론 개발-기술로드맵(TRM)과 지식맵(KM)의 통합적 접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Available from: http://www.statoids.com/ucn.html 

  12. Available from: http://baike.baidu.com/view/2451087.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